[전체] “정사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1)
사전(14)
- 정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16(광해군 8).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군섭(君燮), 호는 수암(守菴). 영천 출신. 일찍이 여러 동지들과 자양동에 들어가 과거공부를 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내용] 장현광(張...이칭별칭 군섭(君燮)| 수암(守菴)
- 입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 있는 서원. [내용] 1657년(효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張顯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숙종 29) 정사진(鄭四震)을 추가배양하고...
- 직천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대동리에 있는 서원. [내용]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사진(鄭四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입암서원(立巖書院)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직천서원으로 개칭하여 선현
- 수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정사진(鄭四震)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6년 이사로(李師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의 서문과 권말에 유치호(柳致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 입암서원일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鄭四象)‧정사진(鄭四震) 등을 배향하고 있다. 1868년(고종 5) 대원군(大院君)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으로 훼손되었고, 1907년 일인(日人)에 의해 묘우(廟宇)가 소실(燒失)되었던 것을 1909년 도내 유림(道內 儒林)들이 강당을 재건하였...연계항목입암서원일원(立岩書院一圓)
고서·고문서(1,088)
- 諜報工作中被逮(첩보공작중피체) 傀儡中央黨間諜(괴뢰중앙당간첩)"鄭史鎭(정사진)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諜報工作中被逮(첩보공작중피체) 傀儡中央黨間諜(괴뢰중앙당간첩)"鄭史鎭(정사진)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대표표제어諜報工作中被逮(첩보공작중피체) 傀儡中央黨間諜(괴뢰중앙당간첩)"鄭史鎭(정사진)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경기도, 첩보, 공작, 괴뢰, 간첩, 체포
- 양산군수 권중은의 보고에 양산군 공전 12,000량을 양산군에 거주하는 정사진이 김해군에 거주하는 임처학에게 출급했으나 아직도 납부하지 않아 공전을 대신 납부했다고 하니, 임처학을 붙잡아 독쇄하여 지급하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조선 유일의 기생 학교 및 춤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학교 및 춤 봉투 있음. 6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기생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大正寫眞工藝所 大正寫眞工藝所 미상 와카야마에 있는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에서 평양에 있는 조선 기생학교의 풍경을 촬영하여 발행한 6매 세...자료명조선 유일의 기생 학교 및 춤 봉투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평양에 있는 조선 유일의 기생 학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기생 학교 및 춤 봉투 있음. 6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기생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大正寫眞工藝所 大正寫眞工藝所 미상 와카야마에 있는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에서 평양에 있는 조선 기생학교의 풍경을 촬영하여 발행한 6...자료명평양에 있는 조선 유일의 기생 학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 미인집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사제엽서 문화생활 기생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大正寫眞工藝所 大正寫眞工藝所 미상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所)에서 조선의 기생을 촬영하여 8매 세트로 발행한 엽서의 봉투이다. 봉투의 뒷면 왼쪽 아래에 다이쇼사진공예소(大正寫眞工藝...자료명조선 미인집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7)
- 碇伊八(碇寫眞舘)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碇伊八(碇寫眞舘) 서울 碇伊八 碇寫眞舘 南大門通 5-9 오락구및운동구 - 사진 촬영 촬영 3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碇伊八(碇寫眞舘)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사진 촬영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家庭寫眞流が行する (가정사진이 유행한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家庭寫眞流が行する | 기사명_한글가정사진이 유행한다 | 부제_원문なるべく自然に寫せ | 부제_한글되도록 자연스럽게 해야 | 게재일19180713 | 게재판조 | 게재면03 | 게재단4-6
- 酒井友喜(酒井寫眞機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酒井友喜(酒井寫眞機店) 서울 酒井友喜 酒井寫眞機店 北米倉町 14 오락구및운동구 - 사진기 및 재료 소매 26.4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酒井友喜(酒井寫眞機店)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사진기 및 재료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4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寺 1578年(宣祖 11) 1冊 23.2x16.4 卷末: 大安元年己巳(1209)夏月日 海東曹溪山牧牛子知訥私記. 刊記: 萬曆六年戊寅(1578)月日刊 江原道江陵地五臺山月精寺晋板. H4, p.740. 서울대학교 규장각 古1840-4A 無 藏書...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40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출판경찰보 140호 성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기병오장(騎兵伍長) 시원문광(柿原文光)」이라는 사진은 올해 8월 25일부 금지처분이 된 6월 5일부 『순환일보(循環日報)』 제20208호의 지정사진과 동일하다.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40호 성도일보 | 출판물명성도일보(星島日報) 1941년 6월 5일
기타자료(2)
- (교육수기) 정사진의 수집 활용이 학습효과에 도움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수기) 정사진의 수집 활용이 학습효과에 도움을 (교육수기) 정사진의 수집 활용이 학습효과에 도움을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매체 교육총류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원현수 | 사료철명강원교육
- (연구보고서요약) 정사진이 사회과학습에 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실천적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구보고서요약) 정사진이 사회과학습에 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실천적 연구 (연구보고서요약) 정사진이 사회과학습에 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실천적 연구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춘천중앙국민학교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3)
-
정사진 / 鄭四震 [종교·철학/유학]
?∼1616(광해군 8). 조선 후기의 학자. 일찍이 여러 동지들과 자양동에 들어가 과거공부를 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장현광의 문하에서 학덕이 높은 사람들과 교유하여 그의 학행이 조정에까지 알려져 1606년(선조 39) 왕자의 사부를 제수받았고, 1611년(광해군
-
직천서원 / 稷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대동리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사진(鄭四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입암서원(立巖書院)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직천서원으로 개칭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8년(
-
입암서원 / 立巖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 있는 서원. 1657년(효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숙종 29) 정사진을 추가배양하고. 그 뒤 권극립·정사상·손우남을 모시게 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