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사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9)
- 정사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6(명종 1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유인(幼仁). 아버지는 성(誠)이다. [내용] 사마시를 거쳐,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이칭별칭 유인(幼仁)
- 정사제(鄭思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763 인물 정사제(鄭思悌) 정사제 鄭思悌 1556 1592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유인(幼仁). 1585년 생원‧진사시에, 159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임계영(...유형분류인물
- 근대신어 : 정부(졍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9235 정부 자항 졍부 지금은 졍부이 궐로 이졉엿스니 출입 수 업슨즉 신참졍뎨로 파송 거시 가타야 지금은 정부가 궐내로 이접했으니 출입할 수 없은즉 신참정사제로 파송하는 것이 옳다 하여 대한매일신보 1...출전대한매일신보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행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오봉정공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의병장‧문인 정사제(鄭思悌)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활자본. 1899년 후손 종구(鍾球)가 편집하고 중간한 것이다. ≪옥봉정공유집≫의 권두에 안수록(安壽祿)의 서문과 김문옥(金文鈺)‧이충호(李忠鎬)의 중간서문이 있다...
- 금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행하는 데 이르자, 그에 반대하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여녹봉정사제생서(餘鹿峰精舍諸生書)」는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 권면하는 내용이다. 이밖에 상산사호(商山四皓)의 실존여부를 논변한 「사호유무변(四晧有無辨)」이 있다. 외집의 「단양진폐소(丹陽陳弊疏)」는 단양군...
고서·고문서(25)
- 與精舍諸生【辛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二 書 四 29 與精舍諸生【辛巳】 12_073_051.jpg 與精舍諸生【辛巳】 春暄海曲, 僉學履安穩否? 日用閒作何功夫, 頻頻聚會講學否? 隨俗應接, 能無怠惰否? 學問之功, 只在存心不苟, 應事以正而已。 此心誠實在義理上, 則終日應俗, 而能不失其正, 此...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答精舍諸生【辛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書 下 80 答精舍諸生【辛巳】 41_112_043.jpg 答精舍諸生【辛巳】 齋僕之來, 謹承僉問, 副以海味二種, 憑審僉學履珍勝, 感慰深仰。 且悉僉勵志操, 不墜學規, 幸甚幸甚。 珥猥蒙天眷, 擢寘六卿之列, 位重而才不充, 憂畏山積。 而際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吳廣霈 : 訴訟 14 - 華商裕德豐稟爲推移抗欠(중국 상인 유덕풍이 빚 갚기를 거부하는 것에 대해 올린 품문 )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오광패 소송(吳廣霈 訴訟) | 주제어채무, 债务, 債務, 중국 상인 裕豊德號 鄭士第, 조선 參政관리 李海鵬 표, 하인 金太卿 수령 銀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石村 入納 梧亭舍弟上書 科事之落莫 伏不勝憤歎 無以爲懷 伏未知何日還次 氣候勞攘餘 能無大損否 馬谷便下書 中路見漏而不傳 伏悵且菀 伏問慈主體內 一向康旺 大都均宜 而昌弟婚日漸近 將何以過行耶 伏慕且念万万 舍弟幸依宿樣 而愁惱之端 去益難堪 伏悶伏悶 令承京候之安 是爲伏幸 昌弟之冠...분야문학 | 유형문헌
- 人事門8_鹿鳴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鹿鳴宴 古者, 鄕飮有四: 一則三年賓興賢能, 二則鄕大夫飮國中賢者, 三則州長習射, 四則黨正蜡祭. 後世多廢不行, 惟鄕大夫飮賢者, 稱“鄕飮酒”, 亦曠世或擧, 所以禮堙敎弛, 而人風日趨於汚下也. 余見, 鄕里丁民, 以農暇群聚習射, 稍有有: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見’으로 되어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2)
- 신태양_1954_02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K기자 58 인정사제 김태운 64 대학교수부인이 다방매담이 되기까지의 비극 김운길 67 괴상...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4
- 조선공론_1936_24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日本パイプ製造株式會社 73 島田の硝子製品 75 株式會社電整社製作所 7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주제어사전(4)
-
정사제 / 鄭思悌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성이다. 사마시를 거쳐,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임계영의 종사관으로 장수에서 최경회와 함께 전공을 세우고 성녕에 나아갔다가 남원
-
정제 / 鄭梯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65년(영조 4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사제이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는 여러 차례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오직 학문 정진에 전념하였다.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로 정중기·정간 등이 있다
-
감정인 / 鑑定人 [사회/사회구조]
미술품·골동품·귀금속·보석 등의 제작자·연대·제작지 및 그 진위 등을 식별, 판단하여 그 가치를 평가하는 사람. 최근까지만 해도 감정인과 감정사를 구별하지 않았으나, 1973년에 공인감정사제도가 생긴 이후부터는 명칭을 구별하여 사용한다. 즉 감정사는 재무부에서 시행하
-
오봉정공유집 / 五峯鄭公遺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의병장 정사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활자본. 1899년 후손 종구(鍾球)가 편집하고 중간한 것이다. 『옥봉정공유집』의 권두에 안수록(安壽祿)의 서문과 김문옥(金文鈺)·이충호(李忠鎬)의 중간서문이 있다. 권말에 송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