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사신” 에 대한 검색결과 1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8(명종 13)∼1619(광해군 11). 조선 중ㆍ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부(子孚), 호는 매창(梅窓) 또는 신곡(神谷). 의영고직장 윤소(允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언보(彦輔)이고, 아버지는 두...
    이칭별칭 자부(子孚)| 매창(梅窓), 신곡(神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2(현종 3)∼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성공(聖功), 호는 기수(畸叟). 원주 출신. 언황(彦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시한(時翰)이고, 아버지는 정자 도겸(道謙)이며...
    이칭별칭 성공(聖功)| 기수(畸?)
  • 신익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權斗經)‧이재(李栽)‧()‧권중도(權重道) 등과 학문적으로 교류하였다. 저서로는 『극재집(克齋集)』‧『운곡도산휘음(雲谷陶山徽音)』‧『경재집해(敬齋集解)』‧『이기성정통간도(理氣性情通看圖)』‧『동국승경와유록(東國勝景臥遊錄)』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
    이칭별칭 명중(明仲)| 극재(克齋)
  • 비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남치리(南致利)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9년(고종 26) 후손 두원(斗源)과 ()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목(許穆)ㆍ이광정(李光靖)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유번(鄭維藩)ㆍ남업(...
  • 매창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05년(순조 5) 의 후손 정재후(鄭在厚)‧정경제(鄭經濟) 등이 편집하고, 1821년 7대손 정내성(鄭來成)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시찬(金是瓚)...

고서·고문서(115)

  • 1582~1613년 () 등 매창서사계회도(梅窓筮仕契會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72070 B07207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9年 6月 3日_004 ○執義朴萬鼎所啓, 新除授持平, 時在慶尙道東萊府,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上曰, 竣事自當上來, 勿爲下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734 B048734 대청도 大靑島 도서 인천광역시 東史綱目第十二上 庚辰六年 八月 _ ○流皇子愛牙赤于大靑島⁄明年召還⁄王如元⁄先是王遣朴義獻鷂奏曰東請入朝稟旨帝許之辛未王發王京辛⁄卯至上都時忻都茶丘范文虎皆先受命曰臣若不擧日本何面目復見陛⁄下於是遂定東征之計忻都茶丘率蒙麗漢四...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二上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178 B038178 다구 茶丘 인물 東史綱目第十二上 庚辰六年 八月 _ ○流皇子愛牙赤于大靑島⁄明年召還⁄王如元⁄先是王遣朴義獻鷂奏曰東請入朝稟旨帝許之辛未王發王京辛⁄卯至上都時忻都茶丘范文虎皆先受命曰臣若不擧日本何面目復見陛⁄下於是遂定東征之計忻都茶丘率蒙麗漢四萬軍發合浦文虎將...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二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179 B038179 다구 茶丘 인물 東史綱目第十二上 庚辰六年 八月 _ ○流皇子愛牙赤于大靑島⁄明年召還⁄王如元⁄先是王遣朴義獻鷂奏曰東請入朝稟旨帝許之辛未王發王京辛⁄卯至上都時忻都茶丘范文虎皆先受命曰臣若不擧日本何面目復見陛⁄下於是遂定東征之計忻都茶丘率蒙麗漢四萬軍發合浦文虎將...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二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언황 증손, 할아버지는 시한, 아버지는 도겸, 어머니는 심재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양시에 모두 합격, 생원·진사가 된 뒤, 1691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승정원주서·성균

  • 동문사 / 同文司 [역사/근대사]

    1881년 11월에 이전의 사대사와 교린사에서 담당하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관서. 사대사는 사대문서의 관장과 중국사신의 접대, 군무, 변의 차송, 교린사는 교린문서 관장, 사신접대 등을 맡았다.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