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사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2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

사전(160)

  • 장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을 급습하여 살해한 이른바 방석(芳碩)의 난에 협력한 공으로 () 2등에 책록되고 화성군(花城君)에 봉작되었으며, 1411년(태종 11)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17년 전주에 유배중인 방간(芳幹)의 첩을 거두어 동거하다...
    이칭별칭화성군(花城君)
  • 장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응하게 하는 한편, 직접 왕궁진입에도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유는 () 2등에, 그는 3등에 책록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 이후 남한산성을 수비하기 위하여 삼전도(三田渡)를 요새화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그해 황해도감사가 되자 황주...
  • 장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화도회군에 가담, 조선개국에 기여하였다. 1398년(태조 7) 중추원부사가 되고 그 해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세자인 방석(芳碩)을 보필하고 있던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 등을 살해하고, 방석의 난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
    이칭별칭 장양(莊襄)|화산군(花山君)
  • 김경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는 좌찬성 유근(柳根)의 딸이다. [내용] 1623년 인조반정 때 세운 공으로 () 2등이 되고, 순흥군(順興君)에 봉해졌다. 같은 해 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뒤에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이 때 병자...
    이칭별칭 선응(善應)|순흥군(順興君)
  • 최내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달려가 김류(金鎏) 등 문신ㆍ무신 200여 명과 함께 창의문(彰義門)을 넘어가 궁성을 지킨 공으로 () 3등에 책록되었다. 장악원정을 거쳐 예조참의에 올랐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로 호종하고 완천군(完川君)에 봉하여졌으며...
    이칭별칭 자대(子大)

고서·고문서(40)

  • 1398년 장철(張哲)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8년(태조 7) 11월에 장철을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다만 원 문서가 아니라 그 내용을 그대로 베껴 써서 전해지는 자료이다. 은 정종이 제1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가정대부 중추원부사 도평의사사사장철은 공신...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1404년 태종대왕(太宗大王) 회맹녹권(會盟錄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404년11월 16일에 태종이 조선의 건국과 자신의 즉위에 공을 세운개국공신,,좌명공신62명과 모여 동맹을 서약하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공신회맹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공신회맹문 | 현소장처신안 하의 김해김씨 덕봉강당
  • 1399년 조온(趙溫) 사패(賜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봉훈된 한천군 조온에게 공전을 하사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조온은 1398년(태조7) 제1차 왕자의 난 때 李芳遠[太宗]을 도와 세자 宜安大君 李芳碩을 옹호하는 鄭道傳, 南誾 등을 몰아내는 데에 공을 세워 2등에 봉훈되었다. 그리고 그 포상...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사패교지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사패교지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8439 B038439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4年 4月 3日_022 ○兵曹, 金尙容爲都摠府都摠官, 李景稷爲副摠管, 李廷臣爲五衛將者外, 柳孝傑爲竭誠奮威出氣振武功臣嘉義大夫行京畿水軍節度使晉陽君, 六字缺贊謨立紀嘉善大夫行忠淸水軍節度使二字缺君, 李起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56년 남원부(南原府) 형방(刑房) 전령(傳令)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56년 3월 27일 남원부의 형방이 견소곡방 면임에게 보낸 전령이다. 같은 날 남원부사는 박세중의 후손들에게 평민에게 부과하는 제반 잡역을 부과하지 말도록 하라는 전령을 보내도록 형방에게 명령을 내린바 있으며 이에 따라 견소곡방의 면임에게 이 전령을 보냈...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공신은 이화·방의·방간·방원·이백경·조준·김사형·이무·조박·하륜·이거이·조영무 등 12명, 2등공신은 양우·심종·복근·이지란·장사길·조온·김락·박포·정탁·이천우·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인조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공신은 김류·이귀·김자점·심기원·신경진·이서·최명길·이흥립·구굉·심명세 등 10명, 2등공신은 이괄·김경징·신경인·이중로·이시백·기시방·장유·원두표·이해·신경유·박호립·장돈·구인후·장신

  • 공신회맹제 / 功臣會盟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공신을 녹훈한 뒤 구리쟁반에 담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는 의식. 조선에서 이 제도가 최초로 실시된 것은 1398년(정종 즉위년)이다. 제1차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익안군 방의(芳毅) 등 29인을 으로 책록, 회맹제를 지낸 뒤 경복궁 근정전에서 연회를

  • 계해정사록 / 癸亥靖社錄 [역사/조선시대사]

    1623년 3월 12일부터 이 사건을 매듭짓는 같은해 9월 2일까지 진행되는 과정을 일기체로 기록하고 있다.이어서 인조반정 후 책록된 ()을 3등급으로 나누어서 그들의 최고관직 및 삭훈(削勳)에 관한 상황을 부기하고 있다.또한, 인조반정 후 관료의 교체상

  • 반정공신 / 反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