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범조”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0)

사전(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3(경종 3)∼1801(순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법세(法世), 호는 해좌(海左). 시한(時翰)의 현손이며, 도항(道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신(永愼)이고, 아버지는 유학 지령(志寧)이며...
    이칭별칭 법세(法世)| 해좌(海左)| 문헌(文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33(순조 33)∼1897년(광무 1). 조선 말기의 대신. [내용]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우서(禹書), 호는 규당(葵堂). 우찬성 기세(基世)의 아들이다.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홍문관에 등용되...
    이칭별칭 우서(禹書)| 규당(葵堂)| 문헌(文獻)
  • 교전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炳始)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를 설치하게 되었다. 구성인원은 총재대원(總裁大員)에 김병시‧조병세(趙秉世)‧(), 부총재대원에 김영수(金永壽)‧박정양(朴定陽)‧윤용선(尹容善)‧이완용(李完用)‧민영준(閔泳駿) 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업무를 담당하는...
    이칭별칭법규교정소
  • 진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관직이나 품계(品階)가 오름. 宗人省狀幸安 而意外晉秩供歡榮感之中 旋切兢.之私耳, (), 41-15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무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명분이 없음. 惠送二繒 何以有此也 却之不恭 受之無名故一留一還 互相表情之意也, (), 41-15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8)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尊季父若從天而降 留之爲十日歡 固已大奇 發章有 惠書淸什 讀之眉眼 森然 怳若爲鼎坐話 此 又可喜也 向寒 客中興胤益吉 弟老親 粗安殊幸 絶域哭幼孫送 屍而廢之 非衰境可堪 薄 邑荒政 令人頭白 又一厄會 奈何 尊季父登臨海嶽 歸 袂飄然 望之如黃鵠之 橫天 徒增惘然耳 丁藤子 彼時未副 □液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82년 () 서간(書簡)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2년12월 19일에 ()가 이봉덕(李鳳德)에게 보낸 서간이다. 자신의 아들이 과거에 급제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 그의 아들 정인승(鄭寅昇)은 이해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882년 () 서간(書簡)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2년12월 19일에 ()가 이봉덕(李鳳德)에게 보낸 서간이다. 연말을 맞아 새해에 복 많이 받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884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4년3월 12일에 한양(漢陽) 회동(會洞)에 사는 ()가 이봉덕(李鳳德)에게 보낸 서간이다. 공무(公務)에 시달리는 상대방을 염려하면서 보낸 안부편지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885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85년5월에 한양(漢陽) 회동(會洞)에 사는 ()가 전라도 전주부 완주 구이동에 사는 이봉덕(李鳳德)에게 보낸 서간이다. 상중에 있는 자신을 위로해 준 데 대한 답례 편지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기타자료(1)

  • 신라가 당에 보낸 질자와 학생 등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巨海洪波 浩浩萬里 一葦濟涉 不越五旬 如鳥斯飛 屆于東國 王事斯畢 迴㯭累程 潮退反風 駐 未達本國 恐懼在舟 夜耿耿而罔爲 魂營營而至曙 (…) 介副相失 舟楫差池 毒惡相仍 疾從此起 扶持歸國 (「王文幹 墓誌銘」: 󰡔唐代墓誌滙篇󰡕)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질자와 학생 등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0년(庚申/신라 문성왕 2/발해 이진 11 咸和 11/唐 開成 5/日本 承和 7)

주제어사전(1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801). 176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사직서직장이 되었다. 왕명에 따라 〈건공가〉·〈백운고시〉를 지어 바침으로써 그 시명이 조야간에 크게 드러났다. 78세가 되던 정조말년까지 조정에 머물며 예문관·홍문관의 제학으로서 문사의 임무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대신(1833∼1898). 기세 아들이다.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홍문관에 등용되고, 1860년 대교를 거쳐 여러 청환직을 역임하였다. 1880년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자 당상으로 취임하고, 이듬해 사대교린사당상·감공사당상경

  • 규정집 / 葵亭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신후재의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778년(정조 2) 그의 외증손인 의 산정을 거쳐 손자 사석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와 의 서문이 있다. 권1∼6에 시 608수, 권7에 잡저 8편, 책제·발·문답·권연문·첩 각 1편, 사

  • 신광하 / 申光河 [종교·철학/유학]

    1729(영조 5)∼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이천령의 딸이다.1751년(영조 2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조경묘참봉,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목만갑·이헌경· 등과 함께 당대 사문장으로 꼽히

  • 강좌문집 / 江左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권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1800년(정조 24) 증손인 신도(信度)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으나, 발문은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