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민병”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0(정조 24)∼1882(고종 19).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문호(文好). 호는 기주(箕疇). 상주 출생. 경세(經世)의 후손으로, 상관(象觀)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이전(二典)ㆍ삼...
    이칭별칭 문호(文好)| 기주(箕疇)
  • 기주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932년 정태묵(鄭泰默)이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 100여 수, 권2에 시 80수, 만사 14편, 권3‧4에 소...
  • 제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상리(鄭象履)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69년(고종 6) 정상리의 손자 정선우(鄭善愚)가 편찬하고, 1873년 재종질 ()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후조(柳厚祚)의 서문, 권말에 의 후지(後識)...
  • 시려만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상정재선생문목(上定齋先生問目)」은 유치명에게 질의한 여러 편의 문답 서찰로, 여기에는 유치명의 답문(答文)도 실려 있다. 대개 학문하는 방법과 인생행로에 관해 짤막짤막하게 문답하고 있다. 이밖에 유후조(柳厚祚)ㆍ허전(許傳)ㆍ()ㆍ이돈우(李敦禹)ㆍ...
  • 묵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허강(許0x9559)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879년(고종 16) 허훈(許薰)의 편집을 거쳐 허육(許堉)이 간행했으며, 부록은 1901년 허육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허전(許傳)ㆍ()...

고서·고문서(13)

  • 19세기 중엽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1870년 ()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870년 ()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870년 ()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870년 ()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800년(정조 24)∼1882년(고종 19). 조선 말기의 학자. 경세의 후손, 상관의 아들이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이 내렸을 때에는 천고의 한이 이보다 더함이 없다고 주장하여 이를 반대, 이듬해 영남유생을 대표하여 서원철폐령의 철폐를 주장하는 상소를 올

  • 황난선 / 黃蘭善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908년(융희 2). 조선 말기 학자. 부친 황인로와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강직‧김도화‧김흥락‧이돈우‧ 등이 있다. 옥동서원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향음주례를 펼치며 친목을 도모

  • 금서집 / 琴棲集 [종교·철학/유학]

    금서 권주환의 시문집. 6권3책. 고종연간에 저자의 조카 유원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이만규가 지은 서문과 전체의 목록이 있다. 권1에는 「동야」 등 시 60수와 <정재선생만> 등 만사 37수가 있다. 권2는 「상정재선생」‚ 에게 보내는 「여기주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