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몽주” 에 대한 검색결과 8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0)

사전(6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성으로 돌아오게 하는 한편, 역으로 를 제거할 계획을 꾸몄다. 도 이를 알고 정세를 엿보려 이성계를 문병하였으나 귀가하던 도중 선죽교(善竹橋)에서 이방원의 문객 조영규(趙英珪) 등에게 살해되었다. [학문세계와 저술활동]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
    이칭별칭 달가(達可)| 포은(圃隱)| 문충(文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삼영정실(三楹靜室)에 찾아와 상좌에 머문다. 사선생(四先生)과 함께 사로(四老)와 두 처사를 청하고, 좌중을 이끈다. 수양의 도와 군자의평가는 인품에 있다며 도덕으로 차례를 정하고, 사제 간은 의로써 서열을 삼아 위치를 정하게 한다. 북쪽 벽을 등지고 앉는다. 금생의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문사로 호는 포은(圃隱)이다. 허리에 서각대를 띠고 이마에는 옥을 붙이고 있으며 한림의 업무를 맡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의 충신으로, 이성계가 고려를 망하게 하는 것에 항거하다가 선죽교에서 이성계의 명을 받은 조영규에게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국(東國)에서 온 9명 중 하나. 학문이 유여하고, 충성이 뛰어나 소국의 문신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 『三韓紀畧』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의 번역 및 해설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저자 : 이미지 | 게재정보 : 한국사학보 

고서·고문서(134)

구술자료(4)

  • 고려 충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난 이천 4차 조사 둘째 날인 2011년 2월 12일에 제보자에 대한 3차 조사가 있었다. 그때 조사자들은 제보자로부터 많은 설화들을 전해들을 수 있었지만 시간의 제약 때문에 제보자의 이야기를 모두 들을 수 없었다. 조사를 마치고 조사자들이 아쉬움을 표시하자 ...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167-3번지 향수다방 | 제보자강진구
  • 명정이 날아간 자리에 쓴 의 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를 마치고 제보자는 지금까지의 것들은 모두 쓸데없는 이야기들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책을 읽다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 을 필사해 놓은 자료들을 꺼내어 조사자들에게 보여주었다. 그 자료를 본 후 조사자가 혹 함흥차사에 관한 이야기를 아느냐고 묻자, 그것...
    조사일시2009. 3. 7(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 189-1번지 박희목 자택 | 제보자박희목
  • 를 위해 쑤어주는 동지의 동지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리산 이야기를 이어가기 위해서 조사자가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와 지리산 관련 이야기를 아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제보자가 이성계를 듣 기는 들었지만 아주 오래전 역사라 직접 보지는 못하지 않았냐고 하면서, 고려 말에 고려왕조에 대한 절개를 지키다가 죽어간 정몽주 이야...
    조사일시2011. 1. 24(월)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224-1번지 보성식당 | 제보자최은남
  • 있는 양반이라. 참말로 덕 하나로 산 양반이여. 그릏게 훌륭한 일을 많이 해놔서 사람들이 평생을 이릏게 누가 입에서 욕 나온 소리를 들어본 사 람이 없어. 퇴계 같은 사람이랑게. 퇴계나 같은 사람이여. 앉었으믄 자연적으로 저절로 고 개가 숙이게 되는 사람, 인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기초학문(5)

  • 세조 성종대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보정, 게재일 : 2015
    52226 김보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15 세조 성종대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중종 명종대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보정, 게재일 : 2016
    62315 김보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경역사연구소 2016 중종 명종대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표상으로서의 글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6470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4 표상으로서의 글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조 초기 ‧길재 표창과 그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남욱, 게재일 : 2012
    43183 조남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2 조선조 초기 ‧길재 표창과 그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여말선초의 역사적 도전과 실천 성리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수, 게재일 : 2001
    Id=4b76f6dc193275dd0119494d9a7a2492 와 정도전의 〈歷史‧天道〉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2)

  • 민세안재홍전집 : 一,乙支文德 二,淵蓋蘇文 三,姜邯贊, 四,李舜臣 五,崔 瑩 六,妙淸,七, 八,世宗大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114 1936 7 15 1 1 安在鴻 안재홍 朝鮮史上八大 人物에 대한所感 一,乙支文德 二,淵蓋蘇文 三,姜邯贊, 四,李舜臣 五,崔 瑩 六,妙淸,七, 八,世宗大王 잡지 신동아 57호, 6권7호 30~35쪽 인...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08 1925 8 24 9 4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四) 신문 조선일보 1면4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鄭忠信, 元天錫, 申光漢, 金麟厚, 安裕, 許蘭雪軒, 崔瑩, , 李穡 A19250824조선...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슝院紀念 1908년 5월8일 개성 개성 숭양서원에서 포은 순절일에 개성학회, 상업회의소 임원 등이 모여 개...
    대표표제어슝院紀念 | 연월일1908년 5월8일 | 지역개성
  • 조선출판경찰월보 006호 어린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6호 어린이 어린이 제7권 3호 추가 미기재 방정환(方定煥) 경성(京城) 조선_1929년 2월 7일 삭제 치안 언한문 임진왜란 1. 와 이율곡 이율곡 선생은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6호 어린이 | 출판물명어린이 제7권 3호 추가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이두(吏讀), 최고운(崔孤雲), 최광유(崔匡裕), 최언위(崔彦撝), 김인존(金仁存), 과거법, 김양감, 안문성(安文成), 이학(理學), 섬학전(贍學錢),우탁(禹倬), 역학(易學), 권보(權溥), 이제현(李齊賢), 이색(李穡), (隱夢周), 길야은(吉冶隱), 김숙자...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멀티미디어(51)

  •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몰락한 왕조의 충신 _ 文天祥과 _3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몰락한 왕조의 충신 _ 文天祥과 _3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몰락한 왕조의 충신 _ 文天祥과 _3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몰락한 왕조의 충신 _ 文天祥과 _3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19) 포은 와 충렬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19) 포은 와 충렬서원 (한국교육의 맥19) 포은 와 충렬서원 (한국교육의 맥19) 圃隱 와 忠烈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만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53)

  • / [종교·철학/유학]

    1337-1392. 고려 말의 유학자. 삼은의 한 사람이다. 1360년에 과거급제하 여러관직을 두로 역임하였다. 이성계의 세력이 커지자 그 일파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선죽교에서 피살당했다. 조준, 정도전 등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온건개량파의 입장에서 유교를 진흥하

  • 포은선생문집 / 圃隱先生文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9권 3책. 표제와 판심제는 포은집(圃隱集)이다. 구성은 서(序), 신도비록(神道碑錄), 방목(榜目), 목록(目錄), 권1-6, 부록 권7-9이다. 포은 의 시문집이다.

  • 선죽교 / 善竹橋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 개성의 선죽교를 지나면서, ()의 충절을 회상하고 지은 시이다. 『추재집(秋齋集)』에 실려 있다. 1·2구에서는 교각 아래에서 물결도 울부짖는 바로 그 선죽교에서 가 살신성인하였다고 하였다. 3·

  • 반구서원 / 盤龜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서원. 1712년(숙종 38)에 언양지역 사림들이 포은(圃隱) (),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한강(寒岡) 정구(鄭逑) 등 3현을 제향하기 위해 언양의 반구대 아래에 창건한 서원이다. 1871년(고종 8)에 대원

  • 계룡산초혼각지 / 鷄龍山招魂閣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설립된 ·이색·길재를 배향하는 재실.제각. 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18호. 고려 말에 절의를 지킨 포은(圃隱) (), 목은(牧隱) 이색(李穡), 야은(冶隱) 길재(吉再)를 배향하고 있다.이 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