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명세”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0(명종 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백시(伯時), 호는 독곡(獨谷). 아버지는 희장(希章)이다. [내용] 1570년(선조 3)에 진사가 되고 1579...
    이칭별칭 백시(伯時)| 독곡(獨谷)
  • 근대신어 : 디터미니즘(떼터―미니즘)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2084 디터미니즘 다항 떼터―미니즘 determinism , 宿命論, 決定論 정명설, 숙명론, 결정론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6 인문...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이념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반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반산리에 있는 서원. [내용] 1714년(숙종 4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순신(李舜臣)‧정인걸(丁仁桀)‧정명열()‧정경달(丁景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삼죽사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도 특기할 만하다. [참고문헌] 『한국시조대사전(韓國時調大事典)』(박을수, 아세아문화사, 1992) 『시조(時調)의 문헌적연구(文獻的硏究)』(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조삼죽(趙三竹) 시조(時調)의 연구(硏究)」(, 『영남어문...
  • 제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정명열()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792년(정조 16) 7대손 수익(修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수익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고서·고문서(12)

  • 故誤之判 【兩人爭力,用力掙脫,不意跌倒,觸柴致死 ○乾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370_030_0190_2015_030_XML 030 直隷民黃中著,因醉後拉住伊手,欲與比力,用力掙脫,不期站立不穩,側跌柴上,【東語柴曰莊作】 墊傷殞命。在黃中著,並未與...
    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左副承旨趙德成進, 李益炡爲都摠管, 全春君堦爲都摠管, 沈能建·金尙重爲副摠管, 洪重一爲曹司衛將, 李寅徽爲同知, 金時侃爲僉知, 許瑬爲宣傳官, 曺學臣爲都摠經歷, 金壔· 鄭肯來爲部將, 李海文爲多大浦僉使, 黃演興爲吾乂浦萬戶, 任聖佐爲牛峴僉使, 韓弘謩爲所斤僉使, 爲淸江僉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淮陽府使金鍊光, 晉州牧使徐禮元, 判官成守慶, 沃川郡守權希仁, 義僧將靈奎, 海美縣監, 慶尙右道節度使柳崇仁, 節度使金時敏, 東萊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使金悌甲, 淮陽府使金鍊光, 晉州牧使徐禮元, 判官成守慶, 沃川郡守權希仁, 義僧將靈奎, 海美縣監, 慶尙右道節度使柳崇仁, 節度使金時敏, 東萊府使宋象賢, 僉知中樞府事劉克良, 祥雲察訪南廷?, 保寧縣監李義精等, 或?禦孤城, 或衝犯賊壘, ?身鋒刃, 而不思偸生。 其行狀曰, 壬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 第二統統首김震坤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丁酉戶口相准 第二戶 業武朴廣周年陸拾柒甲午本密陽父業武聖大生父業武守大祖通曾祖通政 興柱外祖業武李淡昌本慶州妻朴姓年陸拾伍丙申本蔚山父業武增業祖嘉善尙雲曾祖 通政成贊外祖業武裵胤錫本김海婢孝德年丙午等丁酉戶口相准 第三戶 幼學朴慶一年伍拾陸乙巳本密陽父學生處大祖學生命瑞曾祖學生興柱外...
    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二新溪里

신문·잡지(21)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희장이다. 1570년(선조 3)에 진사가 되고 1579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해미현감으로 충청도 전 제독관 조헌의 휘하로 진주성에 들어가 사수하다가 성이 함락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