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만양”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횡계서원 경북 영천군 화북면 횡계리에 있는 서원. 조선 후기의 학자 (1664-1730)과 규양 형제가 강학하던 곳이다.
    이칭별칭 경순(景醇)| 훈수(塤?), 기암(企菴), 정재(定齋)
  • 여대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1(숙종 7)∼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자고(子高), 호는 능천(綾泉). 아버지는 상제(尙齊)이며, 어머니는 강양이씨(江陽李氏)로 숙달(叔達)의 딸이다. ()ㆍ정규양(...
    이칭별칭 자고(子高)| 능천(綾泉)
  • 정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墩)의 딸이다. ()ㆍ정규양(鄭葵陽) 형제 및 이형상(李衡祥)의 문인이다. 경사에 통달하고 전고(典故)와 예제(禮制)에 밝았다. [내용] 1727년(영조 3) 생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31년 승정원주서가 되고, 이...
    이칭별칭 도옹(道翁)| 매산(梅山)
  • 옥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0호. 조선 숙종 때 성리학자인 훈수(塤叟) ()과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 형제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717년(숙...
    연계항목옥간정(玉磵亭)
  • 동오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촉석루(矗石樓)에 올라 삼장사(三壯士)의 넋을 위로한 시에는 우국충정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스승인 ()ㆍ정규양(鄭葵陽)을 비롯하여 정중기(鄭重器)ㆍ정간(鄭幹) 등 당시 도학적으로 명성이 높았던 유현(儒賢)들에 대한 만시가 있다. 서(書) 가운데 ...

고서·고문서(8)

  • 1723년 훈수(塤叟)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함계선생문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장에게 답한 편지. 병이 심해져서 소생할 차도조차 없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答族姪皆春叔向-辛巳 (30) 1701년(숙종 27) 族姪인 塤叟 (1664∼1730)과 篪叟 鄭葵陽(1667∼1732)에게 답장한 편지. 두 사람이 病席에 있는 자신을 방문해 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惜去之切,遮道願留,流輝史冊,以照後世,非聲貌之所能爲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兆,徙平原太守,吏ㆍ民號泣遮道,步步稽留,日行數十里。旣去立碑作頌。 唐袁滋爲華州刺史,爲政淸簡。滿於陵代之,滋行,耆老遮道不得去。於陵使喩曰:“吾不敢易袁公之政。” 人皆羅拜流涕,乃得去。 曾子固在齊,會朝廷變法,遣使四出。公推行有方,民用不擾。旣罷,州人絶橋閉門,遮留之,夜乘間乃去。 曾致堯...
    권차명牧民心書 卷十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회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詞이다. 輓梅山鄭令公-重器 (26) 鄭重器(1685∼1757)년의 죽음을 슬퍼하여 지은 글이다. 정중기의 본관은 迎日, 자는 道翁, 호는 梅山이며 ・鄭葵陽 형제 및 李衡祥의 문인으로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輓金雲山-極齡 (26) 金極齡의 죽음을 슬퍼하여 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종형인 李栽를 제사하는 글이다. 祭李壻世卿文 (17) 사위 李廷萬을 제사하는 글이다. 祭塤叟鄭-萬陽-文 (18) 을 제사하는 글이다. 祭三兄顧齋先生-槾-文 (19) 셋째형 李槾을 제사하는 글이다. 適庵金公-台重-哀辭 (20) 金台重의 죽음...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664년(현종 5)∼1730년(영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주, 어머니는 김방렬의 딸이다. 종조부 시연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동생 규양과 함께 수학하였다. 그는 동생 규양과 함께 경사에서부터 성리학·예학·천문·지리·역학·경제·정치·율려·과제 등에 이르기까

  • 권렴 / 權濂 [종교·철학/유학]

    1701년(숙종 27)∼1781년(정조 5). 조선 후기 학자. 부친 권후준의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권순과 동생 권호·권집이 있다. 제산 김성탁의 문인으로, 훈수 ·지수 정규양 형제와 함께 학문을 토론하기도 하였으며, 1729년(영조 5)에는 밀암

  • 정사하 / 鄭師夏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79년(정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석중, 생부 정만중과 생모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 후에 북계정사에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문집으로 현손 정두영이 편집간행, 유치명이 서문을 쓴 4권 1책의

  •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권해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조선장·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 정제 / 鄭梯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65년(영조 4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사제이다. 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는 여러 차례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오직 학문 정진에 전념하였다.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로 정중기·정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