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략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16)
- 정략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무신 종4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1392년(태조 1) 7월 선건국 직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선절장군(宣節將軍)이라고 하였다가, 1466년(세조 12)에 정략장군이라 개칭하여『경국대전』에 성문화되었다.
- 황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년(선조 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그 뒤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유성룡의 막하에 있으면서 평양‧정주‧구성 등지에서 국난평정에 공을 세웠다. 특히 명군(明軍)의 임진강 도하작전의 공로로 정략장군(定略將軍)의 품계에 올랐다....이칭별칭 치장(致章)| 만휴(晩休)
- 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편의 경우는 문관 정4품은 상계에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에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종4품은 상계에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에 조봉대부(朝奉大夫)로, 무관의 경우는 정4품은 상계에 진위장군(振威將軍), 하계에 소위장군(昭威將軍), 종4품은 상계에 정략장군(定略將軍...
- 오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634년(인조 12) 선략장군(宣略將軍)ㆍ충무위부사과정략장군(忠武衛副司果定略將軍)ㆍ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영백(嶺伯)의 추천으로 쌍령(雙嶺)의 전투에 참여하여 포위망을 뚫고 오랑캐의 추장 두명을 죽이고 말을 빼...이칭별칭 덕원(德源)| 취수당(醉睡堂), 돈재(遯齋)
- 감경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88년(선조 21) 무과에 급제하였고, 1592년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생 경륜(景倫)과 함께 이순신의 진영에 달려가 공을 세워 여도만호(呂島萬戶)가 되었다. 이어 내금위(內禁衛)ㆍ정략장군(定略將軍)이 되고, 원종공신의 적에 올랐다.이칭별칭 여일(汝一)| 관술정(觀術亭)|삼렬(三烈)
고서·고문서(38)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79 0289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2.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3 0293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6.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果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5 0295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8.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直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7 0297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直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90.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副司直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定略將軍 行忠武衛 副司果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85 1233_01 趙基遠을 定略將軍 行忠武衛 副司果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1.JPG 趙基遠을 定略將軍 行忠武衛 副司果에 임명하는 敎旨...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3)
-
정략장군 / 定略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4품 상계의 품계명. 1392년(태조 1) 7월선건국 직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선절장군(宣節將軍)이라고 하였다가, 1466년(세조 12)에 정략장군이라 개칭하여 ≪경국대전≫에 성문화되었다.
-
부호군 / 副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4품의 관직. 태종 초 섭호군(攝護軍)이였다가 5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의 관제개혁 때 종4품 부호군으로 개칭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에는 정원이 54인, 후기에 5위의 기능이 유명무실되면서 문·무관의 보직이 없는 자, 혹
-
종사품 / 從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략장군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