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동파”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3)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는 세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박정양(朴定陽)․이완용(李完用)․이하영(李夏榮)․이채연(李采淵)․이상재(李商在) 등은 1888년 초대 주미공사관원으로 파견된 것을 계기로 정계 내에 친미개화파로 대두한 후 정동구락부를 결성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동구락부에 출입하던 친미, 친러 경향의 조선인 관료군.
    정의정동구락부에 출입하던 친미, 친러 경향의 조선인 관료군.[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eongdong pa | MR표기Chŏngdong p’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켰다. 시종 임최수(林最洙)‧탁지부사계국장(度支部司計局長) 김재풍(金在豐)‧참령 이도철(李道徹)‧정위 이민굉(李敏宏)‧전의원(前議員) 이충구(李忠求)‧중추원의관 안경수(安駉壽) 등과 합작모의해 () 인사들인 이범진(李範晉)‧이윤용(李允用)‧이완용(李...
    이칭별칭 덕일(德一)| 문충(文忠)
  • 춘생문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敏宏), 전의원(前議員) 이충구(李忠求),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안경수(安駉壽) 등이 합작, 모의하였다. 여기에 () 관료 이범진(李範瑨)‧이윤용(李允用)‧이완용(李完用)‧윤웅렬(尹雄烈)윤치호(尹致昊)‧이하영(李夏榮)‧민상호(閔商鎬)‧현흥택(玄興...
    이칭별칭국왕탈취사건
  • 해남윤씨추원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도암면 강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제각. [내용]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29호. 추원당은 해남윤씨(海南尹氏) 덕(德)의 직계선조인 통례공(通札公) 윤사보(尹思甫)와 병조참의 윤경(尹耕)을 제향하기 위...
    연계항목해남윤씨추원당(海南尹氏追遠堂)

고서·고문서(2)

  • 公文雑纂・明治二十九年・第九巻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하고 새 정권을 수립하려고 했던 사건이다. 이 春生門事件은 李範瑨 등 官僚를 비롯해 친미‧친러파의 관리와 군인에 의해 기도되었으나, 협력하기로 약속했던 친위대 대대장 李軫鎬의 배신으로 실패하고 만다. 본 보고서에는 春生門事件 김우진 2016. 11. 0...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주역대전 : 履卦_효사-오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又曰, 夬履, 是做得忒快. 雖合履底, 也有危厲, 所謂, 憂治世而危明主也. 또 말하였다:“과감하게 결단하여 실행한다”는 것은 틀린데도 빨리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부합하여 실행해도 또한 위태로우니, 바로 소동파가 “치세에도 근심하고 밝은 임금에 대해서도 위태롭게...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정치]

    1894년 이전 고종의 반청 자주외교정책에 부응하여 외교관이나 유학생의 신분으로 일본, 미국에서 체류하였던 경력을 바탕으로, 서울 정동에 주재하는 각국의 외교관 및 선교사들의 후원을 받아 정계에서 세력을 황장하려 했던 친미친러파. 는 세 집단으로 분류된다. 정동

  • 춘생문사건 / 春生門事件 [역사/근대사]

    건이다. 이 사건으로 체포된 임최수, 이도철은 사형, 이민굉, 이충구 등은 종신유배형, 이재순, 안경수, 김재풍, 남만리 등은 태(笞) 100, 징역 3년 등의 처벌을 각각 받았다. 그러나 이 사건의 주동세력인 는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을 성사시켜 일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