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돈섭”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고서·고문서(6)

  • 투장 무덤(偸葬) 이장(掘移) 청구 소송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0730 산송 판결 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투장 무덤(偸葬) 이장(掘移) 청구 소송에 관한 건 융희(隆熙) 2년 민제81호 1908년 10월 09일 강화군수(江華郡守) 고청룡(高靑龍) 정규원(丁奎元), () 42세,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1908년 10월 09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해 인격을 도야할 것을 당부하였다. 答權士尹(成佐,1889) 3 근본이 서지 않은 사람이라면 학자라고 할 수 없으니, 丁奎弼(字 學初), (字 伯崇) 등과 절차탁마하기를 충고하였다. 答鄭敬伯(承禹,1891) 4 독서를 하면서 의심나는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깊이 사...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편지이다. 앞의 편지에서 논했던 것들을 겨울내내 師友들을 따라 연구한 결과 자신의 견해에 오류가 있었다고 하면서 心統性情圖의 中圖와 下圖에 대해 논하였다. 與族叔伯崇(敦燮) 4 族叔 에게 보낸 편지이다. 오늘날 異端과 物慾의 해는 걱정거리가 아니고 오히려 吾黨에서...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持心當敬, 修己當 勤, 處世當和, 臨事當忍, 父母當孝, 兄弟當友, 夫婦當別, 子孫當敎이며, 十勿은 勿怠稼穡, 勿廢學問, 勿妄言語, 勿閑出入, 勿好是非, 勿 挾驕矜, 勿謟富貴, 勿侮貧賤, 勿淫酒色등이 다. 配義城金時行의 女. 陶庵丁公墓誌銘幷序 64 (1870∼1...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고 하면서 상대의 안부를 물었다. 與族祖謹夫(1901) 26 族祖인 金思鎭(1878~1954)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는 謹夫, 호는 西洲이다. 金玏 의 후손이고 金輝轍의 문인이다. 1917년 ‧ 李承熙 등과 함께 서간도로 건너가 덕흥보에...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1)

  • (명사의 잊지 못할 스승이야기) 만수무강하소서 은사님께 큰절을 올리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명사의 잊지 못할 스승이야기) 만수무강하소서 은사님께 큰절을 올리며 (명사의 잊지 못할 스승이야기) 만수무강하소서 은사님께 큰절을 올리며 교육 문헌 교육총류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준형 | 사료철명충북교육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 3월 17일∼1947년 6월 14일.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 증조는 정의찬, 조부는 정원교이다. 부친 정대진과 모친 이개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박기양의 딸이다. 이병호의 문하에서 수학, 곽종석에게 나아가 주돈이의 태극통서를 공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