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도전” 에 대한 검색결과 7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3)

사전(562)

  • TD_L14_D_3969 인물 伐石無釘, 伐石釘, 無餘, 釘 南山 我太宗, 南誾 稡言 D_17_03_10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586 인물 巨肚, 兇㬥, 密囑, 使臣, 枉殺, 無辜 李種學, 李崇仁 寶鑑 D_10_01_57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5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5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927 인물 人名, 尙書, 登第, 文章學識, 經濟, 開國, 斥佛, 判三司事, 奉化伯 奉化, 會津縣, 三角山 宗之, 三峯, 云 敬, 恭愍王, 辛禑, 我太祖, 車原頫, 李崇仁, 芳碩 D_05_01_133 대동운부군옥 ...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1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140 인물 脩竹黃茅, 藩籬, 往往 會津縣, 消災洞 同記 D_05_03_23 대동운부군옥 5권 3장 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3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三峰集 海東雜錄 大東奇聞 燃藜室記述 思想의 硏究(韓永愚, 韓國文化硏究叢書 15, 1973) 三峰人物考(李相佰, 震檀學報 2‧3, 1935) 鄭三峰의 儒佛觀(李丙燾, 白性郁博士回甲紀念論叢, 1959) ...
    이칭별칭 종지(宗之)| 삼봉(三峰)| 문헌(文憲)

논문(1)

  • 의 배불론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아오잉(延邊大學) | 게재정보 : 유불관계와 유교중국화 1권, 게재일 : 2010.10
    유형논문

고서·고문서(89)

구술자료(6)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풍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던 중 무학이 터를 잡을 때 이야기에 대해 조사자가 묻자 정종택씨가 잠시 생각을 하더니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1. 03. 27 (일)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광품 1리 정종택씨 댁 | 제보자정종택
  • 과 경복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자리 잘 잡아서 흥하거나 망한 이야기 등의 풍수 관련 이야기를 청하자 바로 구연했다.
    조사일시2009. 2. 11(수) | 조사장소경기도 가평군 하면 현1리 293-4번지 대한노인회 현리분회 | 제보자김수봉
  • 무학대사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 자신도 무학대사 이야기를 하겠다고 했다. 구연을 마치고 박점세 제보자와는 달리 정도전이 무학대사보다 더 낫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
    조사일시1984-07-20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 제보자노봉현
  • 중국 천자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노봉현 제보자가 정도전 이야기를 구연하자 제보자도 정도전 이야기가 기억 났던지, 구연이 끝나자 스스로 이야기를 했다. *
    조사일시1984-07-20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 제보자박대열
  • 무학대사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02.09 | 조사장소충남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 서천터미널다방 | 제보자이돈직

기초학문(10)

  • 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부남철, 게재일 : 2008
    29295 부남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의 사공학 수용과 정치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도현철, 게재일 : 2003
    33635 도현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03 의 사공학 수용과 정치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과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의 국가관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2943 한국연구재단 일본사상사학회 2010 ()과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의 국가관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의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원석, 게재일 : 2016
    18359 이원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6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의 이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고려 말 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익주, 게재일 : 2006
    38919 이익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고려 말 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

  • 김거사의 집을 방문하다[訪金居士野]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김거사의 집을 방문하다[訪金居士野]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4호 訪金居士野 1907. 02. 01. 사조(詞藻) 98 286 서상호(徐相浩) 대한제국 (, 1342...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수선결사문과석(修禪結社文科釋) 1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1冊 刊記 :天磨山奉印寺殿藏板 H10, p.528.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無 古書目錄( 延世大,1977), p.73.
    대표표제어수선결사문과석(修禪結社文科釋) 15 | 대표서명修禪結社文科釋 | 한글서명수선결사문과석 | 서지형태형태서지
  • 韓國地名の變遷 玉峯 44 上村正己 48 한국읍지(승전) 上村正己 5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06

멀티미디어(51)

  • 조선 전기 의 경세론_3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조선 전기 의 경세론_3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조선 전기 의 경세론_3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조선 전기 의 경세론_3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조선 전기 의 경세론_3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기타자료(1)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34)

  • / [종교·철학/유학]

    1337-1398. 여말선초의 유학자. 이색에게서 배웠다. 1383년 이성계의 참모가 되었고 1388년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조선건국의 기초작업을 하였다. <조선경국전>을 지어 치국의 대요와 관제 등 모든 문물과 제도를 정비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때 이방원에 의해 참수

  • 답전부 / 答田父 [문학/한문학]

    고려 말에 ()이 지은 문답 형식의 글. 의 문집인 『삼봉집(三峯集)』 제4권에 실려 있다. 「답전부」는 이 귀양살이를 할 때에 그곳에서 만난 농부를 통하여 조정에 죄를 짓게 된 여러 경우를 듣고 많은 깨달음을 얻게 되는 내용이다.

  • 성덕가 / 聖德歌 [문학/고전시가]

    1402년(태종 2)하륜(河崙)이 지은 악장(樂章). 총12장. 작품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원래의 명칭은 ‘조선성덕가(朝鮮聖德歌)’이다. 『태종실록』 권4 태종 2년 8월조에 소개되어 있다. 태조를 위하여 지었다 하며, ()의 「수보록 受寶籙」을 대신하고

  • 오호도 / 嗚呼島 [문학/한문학]

    전사명(表箋詞命)이 대부분 그의 손에서 나왔다 한다. 시가(詩家)로서도 ()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다. 의 호매(豪邁)한 시풍과 그의 간결한 시풍은 좋은 대조를 보인다.

  • 남산요 / [문학/구비문학]

    조선 초에 지어진 참요(讖謠). 태조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세자와 세도가 사이에 갈등이 있어, 이것을 풍자하고 예언한 것이다. 『증보문헌비고』 권71에 전한다. 하룻밤 사이에 형세가 역전해서 이방석 형제가 죽고 이방원이 득세하여 과 남은도 함께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