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당문학” 에 대한 검색결과 2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1)

사전(222)

  • 참문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첨의부(僉議府)의 종2품 관직. [내용] 중서문하성 ()의 후신이다. 문종 때 정원을 1인, 품계를 종2품으로 정하였다. 1275년(충렬왕 1) 10월에 몽고의 압력으로 관제를 개혁할 때 참문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종2품 관직. [내용] 문종이 정원과 품계를 정하여 정원은 1인으로 하고 품계는 종2품으로 하였다. 1275년(충렬왕 1)에 몽고의 내정간섭을 받게 되어 관제의 격하개편이 이루어질 때 참문학사(參文學事)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문하부에 설치되었던 관직. [내용] 조선 건국 후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고칠 때 문하부(門下府)에 1인을 두었으나, 1401년(태종 1) 7월 문하부를 의정부(議政府)로 개칭할 때 의정부문학으로 개칭되었다.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
    정의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eongdang munhak | MR표기chŏngdang mun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당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 지명(知命)의 아들이다. 1188년(명종 18) 내시중상령(內侍中尙令)으로서 문과(文科)에 장원 급제(壯元及第) 하였다. 국자사업(國子司業)을 지냈는데, 어려서부터 사장(詞章...

고서·고문서(59)

  • 司左使 元松壽 爲⁄遣密直副使洪師範 如元 謝冊命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八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司左使 元松壽 爲⁄遣密直副使洪師範 如元 謝冊命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八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019 B015019 강화만호 江華萬戶 정치행정 『高麗史』 44卷, 世家44 恭愍王7 恭愍王[癸丑]二十二年 秋七月 乙巳 賜牟尼奴名禑封爲江寧府院大君百官賀命白文寶田祿生大司成鄭樞等傅之⁄江華萬戶河乙沚漢陽尹辛廉不能禦倭王遣內府副令李傑生爲體覆使杖配烽卒
    출처전거『高麗史』 44卷, 世家44 恭愍王7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558 B027558 광해 光海 인물 大東地誌 권6 전라도 錦山 祠院 星谷書院光海主丁巳建顯宗癸卯賜額金侁錦山人高麗元宗甲戌征日本戰亡于一岐島元拜參政高麗官左軍兵馬使尹澤字仲德號栗亭茂松人官謚文貞吉再見善山金淨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1462 B031462 금산 錦山 산악 大東地誌 권6 전라도 錦山 祠院 星谷書院光海主丁巳建顯宗癸卯賜額金侁錦山人高麗元宗甲戌征日本戰亡于一岐島元拜參政高麗官左軍兵馬使尹澤字仲德號栗亭茂松人官謚文貞吉再見善山金淨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의 관직. 조선 건국 후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고칠 때 문하부(門下府)에 1인을 두었으나, 1401년(태종 1) 7월 문하부를 의정부(議政府)로 개칭할 때 의정부문학으로 개칭되었다.

  • 성여완 / 成汝完 [종교·철학/유학]

    1309(충선왕 1)∼1397(태조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창녕 성씨의 시조인 인보의 현손, 할아버지는 공필, 아버지는 군미, 어머니는 오천의 딸이다. 첨서밀직, 등을 역임하였다.

  • 김지대 / 金之岱 [종교·철학/유학]

    로 발탁하고, 전주사록에 임명하였다. 이부상서, 지추밀원사 지공거를 역임하였다.

  • 성석린 / 成石璘 [종교·철학/유학]

    1338(충숙왕 복위 7)∼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이다.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해주목사, , 개성부판사, 좌정승,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415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다시 부원군으로 물러나서 쉬

  •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