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난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
사전(126)
- 임자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예천(醴泉). 초명은 예기(藝起). [내용] 한미한 집안에서 입신하여 세조가 주도한 계유정난에 참가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에 책록되어 내구마(內廏馬) 1필, 은 14냥...이칭별칭예기(藝起)|양양군(襄陽君)
- 권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되었다. [내용]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자신의 집권에 장애가 되는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유정난을 일으켰을 때 수양대군을 도와 공을 세워 정난공신 3등에 녹훈되고, 복성군(福城君)에 봉해졌다. 1455년 단종복위운동인...이칭별칭 양정(襄靖)|복성군(福城君)
- 권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52년(단종 즉위년) 우부승지ㆍ좌부승지를 역임하였다. 1453년 우승지로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고 대사헌에 올랐다. 1455년 안천군(安川君)에 봉해지고 한성부윤ㆍ이조참판 등을 거쳐 세조의 즉위와 함께 형조판서가 되...이칭별칭 안숙(安肅)|안천군(安川君)
- 곽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갔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황보 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 원로대신을 제거할 때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집에 있었으나 수양대군의 부름을 받고 즉시 나아가 가담,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록되고 청성군(淸城君)에 봉해졌다. ...이칭별칭 보지(保之)| 안양(安襄)|청성군(淸城君)|청평군(淸平君)
- 유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년(단종 1)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이해에 수양대군이 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한 계유정난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이듬해 첨지중추원사에 승진되고, 1455년(세조 1) 세조가 즉위하자 평안도도절제사에 승진되고, 문산군(文山君)에 봉해졌...이칭별칭 충양(忠襄)|문산군(文山君)
고서·고문서(7)
- 세조조정난공신회맹록(世祖朝靖難功臣會盟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375 B036375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輿地圖書 慶尙道 密陽 人物 大交隣辭命皆出其手謚文肅有春亭集) 朴仲孫(登第歷敭華要以靖亂功臣封密山君官至左參贊謚恭孝子楣登第官至禮曹參議) 孫比長(再登第有文名官至左副承旨) 舊增朴楗(仲孫之子登第官至贊成謚恭簡) 朴說(登第官至贊成謚...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張俊【循國忠烈王】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洮崇信奉寧軍節度使七年充淮西安撫使屯廬州八年賜安民靖難功臣拜少傅九年進少師封濟國公兼河南招討使兼樞密院十一年加太傅廣國公進益國公十二年罷爲醴泉觀使後還三鎭節鉞封清河郡王十六年改静江寧武靖海軍節度使二十一年拜太師二十四年六月薨年六十九追封循王淳熈十五年配享高宗 王初勒兵從梁揚祖勤王大元帥見其英偉擢用之...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덕종 상_010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尹․本府團練使로 삼았다. 정미일 제서를 내려 鳳翔隴右涇原四鎭北庭管內兵馬副元帥․鳳翔隴右道節度使․奉天靖難功臣․司徒兼中書令․鳳翔尹․上柱國․西平郡王․食實封一千五百戶 이성에게 太尉兼中書令을 허락하였다. 경술일 晟甥元帥兵馬使 왕필을 右威衞上將軍으로 삼았다. 신해일 河東의 마수가...권수구당서 권12 | 편명본기12 | 대표표제어덕종 상_010
- 덕종 하_004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정원 7년 3월 조, “初, 上還長安, 以神策等軍有衞從之勞, 皆賜名興元元從奉天定難功臣, 以官領之, 撫恤優厚. 禁軍恃恩驕橫, 侵暴百姓, 陵忽府縣, 至詬辱官吏, 毀裂案牘. 府縣官有不勝忿而刑之者, 朝笞一人, 夕貶萬里, 由是府縣雖有公嚴之官, 莫得舉其職. 市井富民, 往往行賂寄名...권수구당서 권13 | 편명본기13 | 대표표제어덕종 하_004
주제어사전(2)
-
정난공신 / 靖難功臣 [정치·법제/정치]
1453년 세조가 황보 인·김종서 등과 안평대군 제거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수양대군과 정인지·한확·박종우·김효성·이사철·이계전·박중손·최항·홍달손·권람·한명회 등 12명이고, 2등은 권준·신숙주·윤사균·양정·유수·유하·봉
-
정난공신 / 定難功臣 [정치·법제/정치]
1507년 이과의 옥사를 처리하는 데 공이 있었던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으로 노영손·유순·박원종 등 5명, 2등은 추성보사정난공신으로 민효증·이계남 등 5명, 3등은 추성정난공신으로 설맹손·홍숙등 12명을 책정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