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기안” 에 대한 검색결과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5(숙종 21)∼1767(영조 4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온양(溫陽). 초명은 사안(思安). 자는 안세(安世), 호는 만모(晩慕). 좌의정을 지낸 순붕(順朋)의 후손이며, 휘(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하경(夏卿)...
    이칭별칭 안세(安世)| 만모(晩慕)| 효헌(孝憲)|사안(思安)
  • TD_K4_D_0353 延福亭 건축 鑑, 複道, 碧草, 笙歌, 殷鑑 李奎報, 崔拙翁 龜鑑 D_17_08_03 대동운부군옥 17권 8장 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8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만모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34년(순조 34) 의 아들 정만석(鄭晩錫)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남공철(南公轍)의 서문과 권말에 정만석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이충무공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제승당유허비(制勝堂遺墟碑), 송시열(宋時烈)의 통제영충렬사기(統制營忠烈祠記), 이이명의 고금도유사기(古今島遺祠記) 등의 비갈명(碑碣銘)이 있다. 순천의 충민사(忠愍祠), 해남의 충무사(忠武祠), 남해와 통영의 충렬사, 아산의 현충사(顯忠祠) 등에서...
    연계항목이충무공묘(李忠武公墓)
  • 부응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춘심경(春心經)」ㆍ「언전집포덕천하(言傳集布德天下)」ㆍ「위천신성문어(爲天辰星文語)」ㆍ「의서정리제세경(醫書正理濟世經)」ㆍ「천우신조귀래경(天佑神助歸來經)」ㆍ「부응경(符應經)」 및 「심가(心歌)」ㆍ「신자가(信字歌)」ㆍ「상로가(像路歌)」ㆍ「가요집(歌謠集)」 등이다....

고서·고문서(65)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62968 B06296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二十九年(1753) 六月 영조실록_12906011_001 ○乙未 / 司諫上書, 請亟稟大朝, 收還南泰績島配之命, 答曰: “大朝己處分, 今何更稟?”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收洪致祥復官之命。 請還收緣坐罪人李喜仁放釋之命。 措辭竝同前 持平, 以措辭見上引避而退, 兩款所論, 俱欠平允, 揆以臺體, 勢難仍在。 請持平遞差。 答曰, 不允。 處置事依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072 B07407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7年 7月 14日_020 ○以爲執義, 以任爲司諫, 以柳萬樞·李澤涉爲掌令, 以李齊華爲獻納, 以宋文濟·任遠爲正言, 以張澍爲持平, 以李命熙爲副修撰, 以趙□爲兵曹參知, 以元重會爲竹山府使, 以李敏泰爲通津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813 B0748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7年 7月 14日_020 ○以爲執義, 以任爲司諫, 以柳萬樞·李澤涉爲掌令, 以李齊華爲獻納, 以宋文濟·任遠爲正言, 以張澍爲持平, 以李命熙爲副修撰, 以趙□爲兵曹參知, 以元重會爲竹山府使, 以李敏泰爲通津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5∼1767). 1752년 동지사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보덕·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고, 1766년 한성부우윤·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만모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