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극후”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7(선조 10)∼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효익(孝翼), 호는 쌍봉(雙峯). 경주 출신. 고려의 명신 습명(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군자감주부 삼외(三畏)이다. [내용] ...
    이칭별칭 효익(孝翼)| 쌍봉(雙峯)
  • 명지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除法假令)ㆍ구궁오행산(九宮五行算)ㆍ문산가령(文算假令)ㆍ역가비결(曆家祕訣)ㆍ동방국도고(東方國都考)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뒤에 ()의 후지(後識)와 그의 간단한 인적사항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 추기된 것으로 보이는 논설과 시가 소개되어 있다....
  • 쌍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의 시문집. [내용] 5권 4책. 목판본. 1809년(순조 9) 후손 상문(相文)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형상(李衡祥)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 영남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도 정인 이상 이발기발로 나누어 말하는 것은 의심이 가는 것이라 하였다. 이 학파에 속하는 저명한 인물로는 김응조(金應祖)‧전식(全湜)‧유진(柳袗)‧조임도(趙任道)‧노형필(盧亨弼)‧신적도(申適道)‧()‧선우협(鮮于浹)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장현...
  • 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장현광의 유파로서 ‘사소분파(四小分派)’를 이루었다. 정구의 문하에서는 이후경(李厚慶)‧서사원(徐思遠)‧황종해(黃宗海)‧허목(許穆) 등이 나왔고, 장현광의 문하에서는 김응상(金應相)‧()‧유진 등이 나왔다. 퇴계학파는 대개 남인계열이 되었다.
    이칭별칭유술|유도

고서·고문서(9)

  • 1625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 등 상서(上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본문을 살펴보면 옥산서원의 둔답이 밀양에 있으나 그 열에 아홉은 잃고 농사를 짓지 못한 것이 오래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지난 가을에 처음으로 조사를 해보니 청도에 거주하는 반국해라는 자가 서원 소유의 땅을 몰래 감추고서는 해마다 멋대로 경작해 왔던 것이 밝혀졌다. ...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651년 영일정씨(迎日鄭氏) 삼읍동종계절목(三邑同種契節目)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문건은 1651년에 가 흩어진 친족들을 결집하여 친족의 화목을 다지고자 만든 계로서 문서의 첫머리에는 5대조에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 영천, 흥해, 경주 등지로 후손들이 흩어져 우거하는 경위를 설명한 후 이로 인해 나타나는 괴리감을 해결하고자 이 계를 만들었...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절목 | 형식분류고서-문집
  •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서원지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쌍봉선생문집(雙峯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습명의 후손, 아버지는 삼외이다. 일찍이 장현광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는데, 장현광은 그의 비범함에 감탄, 붕우의 예로 대하였다. 또, 그는 정구의 문인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문묘사향지>, <역년통고>,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