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규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1)
- 정규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옥간정 경북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70호. 조선 숙종 때 성리학자인 정만양과 정규양 형제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717년에 세운 정자이다.이칭별칭 숙향(叔向)| 지수(??)
- 여대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1(숙종 7)∼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자고(子高), 호는 능천(綾泉). 아버지는 상제(尙齊)이며, 어머니는 강양이씨(江陽李氏)로 숙달(叔達)의 딸이다. 정만양(鄭萬陽)ㆍ정규양(...이칭별칭 자고(子高)| 능천(綾泉)
- 정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墩)의 딸이다. 정만양(鄭萬陽)ㆍ정규양(鄭葵陽) 형제 및 이형상(李衡祥)의 문인이다. 경사에 통달하고 전고(典故)와 예제(禮制)에 밝았다. [내용] 1727년(영조 3) 생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31년 승정원주서가 되고, 이...이칭별칭 도옹(道翁)| 매산(梅山)
- 정만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4년(현종 5)∼1730년(영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경상북도 영천 출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경순(景醇), 호는 훈수(塤叟)‧기암(企菴)‧정재(定齋). 아버지는 생원 석주(碩胄)이며, 어머니는 의성...이칭별칭 경순(景醇)| 훈수(塤?), 기암(企菴), 정재(定齋)
- 성하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6년(영조 2) 식년문과에 급제,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로 기용되었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정규양(鄭葵陽)을 의병장으로 삼고 반도 소탕에 가담하였다. 뒤에 성균관학정과 사헌부감찰, 예조의 좌랑과 정랑을 지내고, 1734년...이칭별칭 방언(邦彦)| 죽오(竹塢)
고서·고문서(10)
- 1694년 호수(箎叟) 정규양(鄭葵陽)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李鳳翼爲說書, 朴珣爲司饔直長, 鄭葵陽爲顯陵參奉嚴漢重爲成歡察訪, 鄭雲柱爲珍山郡守, 鄭澔爲三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원사_元史94 志43 食貨2 商稅 商稅額數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078 중국 정사 원사 지 112 기타 元史94 志43 食貨2 商稅 商稅額數 商稅額數 大都宣課提舉司 一十萬三千六錠一十一兩四錢 大都路 八千二百四十二錠九兩七錢 上都留守司 一千九百三十四錠五兩 上都稅課提舉司 一萬五百二十五錠五兩 興和路 七百七十錠一...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기타
- 通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5.5 1매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효자 정중록에 대한 효행을 적어놓은 문서이다. 정중록(1678-1732)은 고 감찰 碩明의 아들이고 증 승지 宜藩의 현손이다. 정규양의 문하에서 교유하였고, 부모에게 지극히 효도하여 부친에게 送終의 여러 절차를 성심...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勿替堂記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40 1517_01 勿替堂記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시문류, 시문 한자 고문서 HJ360.JPG 勿替堂記 시문 鄭葵陽 丁丑年 8월 51.1 89.5 1 정세아 종가 한국국...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개성신문_1952_0308_05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에 의하여 집을 잃어버린 정규양 농민에게 제공된 방공호는 온돌 두 간으로 된 깨끗하고도 아담한 지하주택이다. 『나는 이와 같이 고마운 군대를 70평생에 처음 보았다. 들판에서 헤매게 되였던 나에게 이와 같이 훌륭한 방공호를 지어준데 대하여 무엇으로 보답해야 좋을지 모르...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308_05 | 날짜1952년 3월 8일
기타자료(1)
- 정규령;丁奎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정규령;丁奎靈 경상남도 남해 소화18년12월2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정규양 / 鄭葵陽 [종교·철학/유학]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주, 어머니는 김방렬의 딸이다. 종조부 시연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형 만양과 함께 수학하였다. 경사는 물론 성리학·예학·천문·지리·역학·정치·경제·율려·과제 등에 두루 정통하였다. 형제간의 우애를 기
-
권렴 / 權濂 [종교·철학/유학]
1701년(숙종 27)∼1781년(정조 5). 조선 후기 학자. 부친 권후준의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권순과 동생 권호·권집이 있다. 제산 김성탁의 문인으로, 훈수 정만양·지수 정규양 형제와 함께 학문을 토론하기도 하였으며, 1729년(영조 5)에는 밀암
-
정사하 / 鄭師夏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79년(정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석중, 생부 정만중과 생모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 후에 북계정사에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문집으로 현손 정두영이 편집간행, 유치명이 서문을 쓴 4권 1책의
-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권해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만양·조선장·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
정석복 / 鄭碩馥 [종교·철학/유학]
인은 정규양의 장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