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국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1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7)

사전(139)

  • 장한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5(세조 11)∼1535(중종 30).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무과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다. 1605년(중종 1) 중종반정 당시 반정군에 참여하여 () 4등에 책봉되었다. 그 뒤 포도장대에...
  • 권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여 금대(金帶)를 하사받는 등 신임이 두터웠다. 그러나 연산군의 실정이 심해지자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4등에 녹공되고, 영창군(永昌君)에 봉해졌다. 그 뒤 의정부좌참찬을 거쳐 1508년(중종 3) 형조판서를 지내고 좌찬성에 올랐다. 그러나 신진...
    이칭별칭 정경(正卿)| 유연당(悠然堂)| 충성(忠成)|영창군(永昌君)|영창부원군(永昌府院君)
  • 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표 안내문을 지었고, 추천시(?韆詩)로써 연산군에 아첨하였다. 그 뒤 의정부우찬성을 거쳐 판중추부사로서 경상도관찰사를 겸임했고, 연산군에 충성을 서약하는 경서문(敬誓文)을 지어 올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뒤 중종반정에 협력해 () 2등에 책록되고...
    이칭별칭 자헌(子獻)| 일재(一齋), 선동(仙洞)| 문경(文敬)|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 조계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명에 반대하다가 의금부에 수금되고 이어 파직되었다. 1506년 박원종(朴元宗)ㆍ성희안(成希顔) 등이 중종반정을 도모하자, 여기에 가담하여 () 2등에 책록되고 창녕군(昌寧君)에 봉하여졌다. 그 뒤 홍문관부제학으로 있으면서, 연산군이...
    이칭별칭 종성(宗聖)| 충정(忠貞)|창녕군(昌寧君)
  • 정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를 거쳐, 1502년 공조참판ㆍ지돈녕부사ㆍ한성부판윤을 지내고, 1504년 의정부참찬으로 판의금부사를 겸하였다. 1506년(중종 1) 우찬성이 되어 중종반정 때 공으로 () 3등이 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랐으며, 해평부원군...
    이칭별칭 기수(耆?)| 우재(愚齋)| 소평(昭平)|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고서·고문서(8)

  • 語藤梨謂之炟艾 王以忠獻爲三韓大匡大中大夫上將軍柱國忠粹爲輸誠濟亂功臣三韓正匡中大夫鷹揚軍大將軍衛尉卿知都省事柱國晉材爲刑部侍郞贈元浩英烈佑聖功臣三重大匡門下侍中 忠獻又流樞密院使崔漣于昇州⁄初太子娶昌化伯祐女爲妃至是忠粹欲以女配 ...
    출처전거高麗史 권129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壽、朴楗、金壽卿、尹湯老、申浚也。】四等則五十餘人, 皆無功冒錄者也。 李堣等皆已削籍,【堣、尹章、曺繼衡。】則此亦削去何難? 若面對則下情可盡達也。” 上御思政殿, 臺諫全數入對。 趙光祖曰: “, 已至十年之久, 事多虛僞。 成希顔, 不甚庸者, 而其器不遠大。 雖有大功, 其人不足尙也...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중공2에는 “沒”., 貞顯大妃 妃: 초1, 중규1, 중공2본에는 “妣”, 초국2본에는 “妃”.與文定王后, 憐而撫育之。 十歲, 受封, 十二歲, 釐降于宋公寅, 授以礪城尉。 宋是礪山大姓, 前朝忠臣中贊、貞烈公諱松禮之後。 中廟朝、領議政、礪原府院君、肅靖公諱軼, 是王考; 贈...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에게는 魏國公을 進封하고, 食邑 7천戶를 더하였으며, 賜號를 내려 ‘忠貞啟聖’이라고 하였다. 保鑾都將․黔中節度使 李鋋은 檢校司徒․平章事로, 保鑾都將 陳珮는 檢校司空․廣州刺史․嶺南東道節度使로 하였다. 藩鎮諸侯에게는 관계를 올렸는데 [각각] 차이가 있게 하였다. 宰...
    권수구당서 권19 하 | 편명본기19하 | 대표표제어희종_017
  • [서]를 내려 第8男 [李]秘를 景王으로, 第9男 [李]祚를 輝王으로, 第10男 [李]祺를 祁王으로, 第11男 [李]禛을 雅王으로, 第12男 [李]祥을 瓊王으로 봉하였다. 3월 병자일이 초하루였다. 무인일 제[서]를 내려 韓建을 昌黎郡王으로 進封하고 ‘資忠’으로...
    권수구당서 권20 상 | 편명본기20상 | 대표표제어소종_01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정치]

    1506년 중종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 병충분의협책익운에 유자광·신윤무·박영문·장정·홍경주 등 5명, 2등 병충분의익운에 운수군 효성·심순경·변수·최한홍·윤형로 등 13명, 3등 병충분의에 고수겸·

  • 반정공신 / 反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중종반정으로 인한 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이 있다. 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으로

  • 윤형로 / 尹衡老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곤 증손, 할아버지는 삼산, 아버지는 탄, 어머니는 이효장의 딸이다.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는 그의 사촌누이동생이다. 2등에 책록되고 영양군에 봉하여졌으며, 1507년에 한성부우윤이 되었다.

  • 기묘록별집 / 己卯錄別集 [역사/조선시대사]

    내용은 첫째, 1517년(중종 12) 김식(金湜)이 짓고 이충건(李忠楗)과 연명(連名)으로 제출한 것으로, 폐비 신씨를 복위시켜야 한다는 봉사문이다. 중종비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愼氏)는 연산군 때 좌의정 신수근(愼守勤)의 딸인데, 중종반정 후 ()에 의

  • 윤여필 / 尹汝弼 [종교·철학/유학]

    1466(세조 12)∼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보, 중종 비 장경왕후의 아버지이다. 1504년(연산군 10)의 갑자사화 때 죄인 윤필상의 족친이라 하여 유배, 1506년의 중종반정에 참여, 3등에 녹훈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