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구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22)
- 정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17등급의 품계. [개설] 무산계(武散階)는 995년(성종 14)에 인용교위(仁勇校尉)와 인용부위(仁勇副尉)의 쌍계로 제정되었고, 문산계(文散階)는 1076년(문종 30)에 유림랑(儒林郎)과 등사랑(登仕郎)으로 정비...
- 정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9품 문산계만 종사랑(從仕郎)으로 정하고, 무산계는 정해지지 않았다.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했...
- 세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조선 시대 때 왕세자의 시위(侍衛)를 맡아보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속한 정구품 벼슬. 歲元正出膺洗馬啣 仍上直桂坊, 정병조(鄭丙朝), 35-12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堂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259 堂後 관직 密直司, 正九品 高麗 百官志, 本史 D_12_04_45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4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4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계사랑(啓仕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사랑 계사랑 啓仕郞 정구품(正九品) 시사랑(試仕郞), 영선사녹사(營繕司錄事), 참사(參事), 토관직(土官職)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토관(土官) 문반직...상위어정구품(正九品) | 관련어시사랑(試仕郞), 영선사녹사(營繕司錄事), 참사(參事), 토관직(土官職)
고서·고문서(20)
- 崔禹昌을 從仕郞으로 임명하는 告身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康熙 37년(1698) 2월 18일 1 최흥원 종가 한국학중앙연구원 康熙 37년(1698) 2월 18일에 學生 崔禹昌을 從仕郞으로 임면한다는 告身이다. 從仕郞은 正九品의 품계이다. 아버지 崔壽學이 副司果로 있으면서 丁丑年(1697) 9월과 10월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慶源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正八品】典食署典客署直長各一典禁署司醫局丞各一【從八品】支應署錄事一【正九品】工作局典食署典客署典醞署錄事各一典禁署副丞一【從九品】西班柔遠衛一領司直二【正從五品各一】副司直三【正六品一從六品二】司正四【正七品一從七品三】副司正五【正八品一從八品四】司勇八【正從九品各四】隊長五【從九品】隊副七【從九...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會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禿山【東準關門】關門【東準府東隅】土官東班都檢司都尉一【正五品】注禮司使一【從五品】都檢司副尉一【正六品】掌學署典倉署丞各一【從六品】都檢司典錄一【正七品】攴候署營造局待賓署注簿各一【從七品】攴候署直長一【正八品】掌食署待賓署直長各一掌禁署掌醫局丞各一【竝從八品】支候署錄事一【正九品】營造局掌食署...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人事門3_西厓斥僧道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鞭整班之際, 適然進立於東班正九品之東, 書狀與從九品作行, 而鴻臚掌班之官, 亦不呵禁. 顧視僧、道, 乃與譯官等同行矣. 再演及賀日, 皆依此隨班. 後考《大明集禮》, 則‘進貢藩使, 立在文官班位之東’. 蓋高皇帝制禮, 本不以衣冠之人, 辱之於僧、道之後, 而前此使臣, 未見此書, 只依序班...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第三十九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요 春官 夏官 秋官 冬官正은 從五品이요 丞은 從六品이요 注簿는 從七品이요 卜正 傳士 助敎는 從九品이러니 後改爲書雲觀하야 以監爲正하고 少監爲副正하고 陞丞爲從五品하고 注簿爲從六品하며 置掌漏從七品과 視日正八品과 司曆從八品과 監候正九品과 司辰을 從九品이며 本朝因之하고 太宗十四...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정구품 / 正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9품 문산계만 종사랑(從仕郎)으로 정하고, 무산계는 정해지지 않았다.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했다가 ≪경국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