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광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2)
- 정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정광성(1576-1654) 1576(선조 9)∼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에 수...이칭별칭 수백(壽伯)| 제곡(濟谷)
- 정광성(鄭廣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광성 정광성 鄭廣成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선조~효종 이현숙 이범직 2012 수백(壽伯) 제곡(濟谷) 양반 남자 1576년(선조 9) 1654...
- 연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그리운 모습. 邇間頻夢戀儀 晤語分明 覺來未嘗不撫枕傷心, 정광성(鄭廣成), 4-9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하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무슨 방법으로. 어떻게. 何由奉拜 得展情抱, 정광성(鄭廣成), 4-9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숭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잠깐. 원래 새벽부터 아침 먹을 때까지를 말함. '숭(崇)'은 '종(終)'과 같은 뜻. 日者渡江之訪 實出意表 驚荷盛意 崇朝相對 若有所得 及其別來.然如失, 정광성(鄭廣成), 21(義)-9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6)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218 B01521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3年 2月 14日_003 ○傳于鄭廣成曰, 江華府尹·定平府使·永川郡守·康津縣監引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224 B01522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3年 2月 14日_003 ○傳于鄭廣成曰, 江華府尹·定平府使·永川郡守·康津縣監引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597 B06959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4年 3月 3日_008 ○政院啓曰, 今日啓下東萊府使鄭良弼狀啓內事意, 回啓已急, 而禮曹數字缺參判鄭廣成, 判書相避, 不得行公, 判書金 數字缺回啓無人, 似當令廟堂定奪, 敢稟。 傳曰。 半行缺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71 B000671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12年 3月 22日_005 ○各處迎慰使, 安州行大護軍金光炫, 平壤行護軍洪霙, 黃州行刑曹參判朴, 開城府行副護軍呂爾徵, 碧蹄行僉知中樞鄭廣成, 中路問安。 假承旨僉知中樞府事宋克認, 椵島別問安使行司猛李俔, 差出。...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145 B01514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3年 11月 17日_008 ○鄭廣成, 以戶曹言啓曰, 卽見牙山倉三運田稅押領差使員馳報, 漕船三隻, 來到江華, 江氷已合, 不得上來, 作米載運三隻, 亦已來到云, 勢將收捧于江華府, 解氷後當爲取來矣。 本曹郞廳, 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정광성 / 鄭廣成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54(효종 5). 조선 중·후기의 문신. 복겸 증손, 할아버지는 유길, 아버지는 창연, 어머니는 한세건의 딸이다. 참판 광경의 형이고, 영의정 태화의 아버지이다. 1603년(선조 3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 교리, 지평, 지돈녕부사
-
윤지완 / 尹趾完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엄 증손, 할아버지는 민헌, 아버지는 강, 어머니는 정광성의 딸이다. 좌의정 지선의 아우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함경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윤지선 / 尹趾善 [종교·철학/유학]
1627(인조 5)∼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엄 증손, 할아버지는 민현, 아버지는 강, 어머니는 정광성의 딸이다. 우의정 지완의 형이다. 1662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설서·사헌부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4년에 헌납·이조좌랑을 지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