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광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고서·고문서(2)
- 자봉유고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默會’두 글자로써 학문에 정진한 모습을 회상하였다. 또 강학을 통하여 사문을 흥기하고자 한 정필규의 노력을 칭송하고 있다. 祭族姪景章 38 저자의 족질 정광묵을 위해 지은 제문이다. ‘경장’은 정광묵의 자이다. 정광묵의 죽음을 애통해하면서, 세상에서 그의 외면만...분야문학 | 유형문헌
- 비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月城李氏로 通德郞 李仁健의 딸이다. 공은 태어나면서부터 빼어난 자질이 있었고, 부모가 한번 경계하면 두 번하지 않았다. 장남 鄭必忠은 문과에 급제하여 縣監을 지냈고, 차남은 鄭必弘이다. 손자 鄭亨國의 아들 鄭光黙은 문과에 급제하여 持平을 역임하였다. 공은 항상 겸손하여...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정광묵 / 鄭光黙 [종교·철학/유학]
1777~1825(정조1~순조25). 아버지는 형국, 어머니는 순천김씨, 부인은 풍양조씨이다. 난 지 여덟 달만에 부친을 여의고 어머니의 엄격한 훈육을 받으며 자랐다. 1814년 문과에 급제하여, 학유에 보임되어 가주서기주가 되었고, 이어 전적에 배명되어 봉상시주부가
-
졸와집 / 拙窩集 [종교·철학/유학]
정광묵의 문집. 석인본, 서: 권상규(1944), 발: 김철희, 정승모(1959), 정진한(1959), 2권 1책. 권1에는 시가 17제 25수, 소 1편, 서 6편, 잡저에 사단칠정설 1편, 책문에 문독서 1편이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만사 15인, 제문 18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