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경부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
사전(87)
- 정경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태조 때 문무관 1품의 처를 군부인(郡夫人)이라 하였다. 그 뒤 태종 때 군부인을 정숙부인(貞淑夫人)으로 고쳤으나, 세종 때 정숙부인은 정숙왕후(貞淑王后)의 묘휘(廟諱)와 같아서 미편하다 하여 다시 정경부인으로 개정하여『경국대전』에 규정되었다. 또한...
- 정경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정경부인(貞敬夫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경부인 정경부인 貞敬夫人 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외명부(外命婦) 공인(恭人), 국부인(國夫人), 군군(郡君), 군부인(郡夫人), 단인(端人), 봉작(封爵), 부직(夫職), 숙부인(淑夫人), 숙인(淑人), 안인(安人)...상위어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외명부(外命婦) | 관련어공인(恭人), 국부인(國夫人), 군군(郡君), 군부인(郡夫人), 단인(端人), 봉작(封爵), 부직(夫職), 숙부인(淑夫人), 숙인(淑人), 안인(安人), 영인(令人), 유인(孺人), 의인(宜人), 정부인(貞夫人), 정숙부인(貞淑夫人), 정숙왕후(貞淑王后), 현군(縣君), 현부인(縣夫人)
- 정경부인초계정씨행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지어진 행장수필. [구성 및 형식] 필사본. 정경부인 초계정씨는 병자호란 때에 공조참의(工曹參議)로 인조를 모시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인들과 싸웠던 척화파 문신 나만갑(羅萬甲)의 부인으로, 우참찬 정엽(鄭曄)의 딸이다.
- 영수합서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장가로 이름을 날렸다. 두 딸 중 유한당(幽閑堂) 원주(原周)도 남자 형제에게 못지않은 시인이 됐다. 정경부인(貞敬夫人)의 칭호를 받았으며 사후 경기도 장단군(長湍郡) 공덕리(孔德里)에 남편과 합장됐다. 영수합 서씨는 성인군자의 예의와 범절 그리고 소인배의 행...이칭별칭 영수합(令壽閤)
고서·고문서(57)
- 1594년 정경부인(貞敬夫人) 김씨 분급문기(分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죽동 정경부인 의차 발기(竹洞 貞敬夫人 衣次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1594년 정경부인(貞敬夫人) 김씨(金氏) 분급문기(分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양진당
- 1596년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이씨(李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556년 이언적(李彦迪) 처(妻) 정경부인(貞敬夫人) 박씨(朴氏)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56년(명종11) 정경부인(貞敬夫人) 박씨(朴氏)가 남편의 첩 아들인 이전인(李全仁: 1516∼1568)에게 노비(奴婢) 2명을 특별히 상속한 문서이다. 남편은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을 말한다. 그는 처에게서...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신문·잡지(2)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公閔台鎬 追封坡城府夫人 貞敬夫人尹氏 追封鎭陽府夫人 貞敬夫人宋氏 封冝昌府夫人 貞敬夫人남氏 封海豐府院君 陸軍副將尹澤榮 封慶興府夫人 貞夫人兪氏 以上八月二十七日 韓天錫 九品金明洙 任度支部書記郞 免本官 度支部技手吳大圭 依願免本官 度支部技手柳在英 以上八月二十八日 景孝殿尙膳李吉善...게재일1907년 9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여원_1966_1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개화의 파이오니어 정충양 128 최초의 여성들-양장여인 ‧ 이옥경 개화한 정경부인 양재창 130 최초의 여성들-양화가 ‧ 나혜석 화단초기의 신세...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11)
-
정경부인 / 貞敬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 문무관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보국숭록대부의 적처와 종1품 숭록대부·숭정대부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
정경부인초계정씨행장 / 貞敬夫人草溪鄭氏行狀 [문학/고전산문]
조선 중기에 지어진 행장수필. 필사본. 정경부인 초계정씨는 병자호란 때에 공조참의(工曹參議)로 인조를 모시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인들과 싸웠던 척화파 문신 나만갑(羅萬甲)의 부인으로, 우참찬 정엽(鄭曄)의 딸이다. 이 작품의 내용을 크게 세가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부인 / 夫人 [사회/가족]
왕의 배우자 및 외명부의 호칭. 조선시대에는 내명부와 함께 외명부 제도도 더욱 정비되었다. ≪경국대전≫ 규정에 의하면, 종친처에게는 정1품 부부인(府夫人)에서 정3품 신부인(愼夫人)까지 문무관처에게는 정1품, 정경부인(貞敬夫人)에서 정3품 숙부인(淑夫人)까지 상위의
-
이서구 / 李書九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아버지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된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계비(繼妣
-
서포집 / 西浦集 [문학/한문학]
(序) 2편, 기 1편, 지(識) 1편, 권10은 선비정경부인행장(先妣貞敬夫人行狀)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