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감록” 에 대한 검색결과 1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

사전(59)

  • 이완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락요원 박경호(朴敬鎬)에게 인계하려다가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1921년 10월 징역 4년형을 선고받고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그 뒤 지하운동을 계속하였으며, 1938년 12월 21일 『(錄)』 비결 중 ‘왜(倭)는 호호망어선(胡胡亡於鮮)’이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이래 민간에 널리 유포되어온 예언서. [내용]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예언서이다. 여러 가지의 감결류(鑑訣類)와 비결서(秘訣書)의 집성이며 이본(異本)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에 포함되는 문헌으로는 각종 이본들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이래 민간에서 널리 읽힌 반왕조적‧현실부정적 예언서.
    정의조선시대 이래 민간에서 널리 읽힌 반왕조적‧현실부정적 예언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eong Gam nok | MR표기Chŏng Kam n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예언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민중운동 및 신종교운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신앙은 봉건체제의 해체기에 들어선 조선 후기에 형성된 우리 나라 고유의 민간신앙 내지 민중적 이데올로기이다. 그 사상적 연원은 멀리 고대 중국의 자연철학적...
  • 청구비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에 유행한 참요(讖謠). [내용] 『(錄)』에 수록되어 있으며, 청구, 즉 우리나라의 운세에 관한 무학대사(無學大師 : 自超)의 비결이라 전한다. 오언 54구의 청구비결과 칠언 18구의 청구칠언비결로 되어 있다.

단행본(2)

  • 한국의 술수과학과 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박권수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920
    ‘술수과학(術數科學)’이라는 말은 과연 가능한가? ‘술수과학’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로 모순적인 말처럼 들릴 수가 있다. ‘술수’와 관련된 지식들은 통상 비과학적인 것으로만 취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술수의 지식들은 일종의 과학적 지식이면서 동시에 비과학적 지...
  • 저자 : 이창일 ... | 출판사 : 모시는 사람들 | 출판일 : 20180510
    유형단행본
    이 글은 보통사람들이 주권자로서의 자각을 지니고 국가의 주인이라는 지위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는 현대의 대한민국이 성립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사상의 힘에 대한 탐구이다. 흔히 현대의 대한민국을 성립시킨 사상의 힘은 서구민주주의사상이 가장 큰 것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외...

고서·고문서(14)

구술자료(8)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젊을 때 주역과 함께 정감록비전(鄭鑑錄秘傳)을 많이 읽었다면서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본 설화의 내용 중 마지막 부분은 전일에 제공받은 준?남편을 살린 두 부인?과 내용이 유사했다.*
    조사일시1979-06-20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강성도
  • 과 이성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응하씨가 했던 사명당 이야기에서 비롯된 논쟁이 비결의 문제로 옮겨가자 오정섭씨의 반론이 뒤따랐다. 그것이 독립된 이야기로 취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서 다음에 소개한다.*
    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 제보자오정섭
  • 의 예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김대중 대통령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이야기를 또 하겠다고 하면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1차에 이어 2차로 제보자를 찾아 가서 조사가 진행되었는데, 여전히 연세에 비해 열의가 넘쳤고, 적극적이었다.
    조사일시2011.01.14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이영숙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하지 않음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황해도 옹진, 연평도, 인천, 유구, 󰡔󰡕, 유구성결교회 한글 연세대학교 무직
    구술자이영숙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방주월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평도로 배를 타고 온 가족이 모두 피난함 - 군인을 따라 서산읍 덕적도로 이주하여 쌀장사를 하며 생계를 유지 - 아버지가 고향에서부터 󰡔󰡕을 읽었기 때문에 온 가족이 유구로 피난함 - 고향에서 직조기술을 배운 적은 없었고 유구에 왔을 때 수직기 하는 공장들이
    구술자방주월 | 직업직조업 | 지역황해도

신문·잡지(14)

  • 민세안재홍전집 : 階級鬪爭의叛亂과 民族興亡의四類型 (2)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809 1948 12 30 2 2 安民世 安在鴻 階級鬪爭의叛亂과 民族興亡의四類型 (2)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설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東學黨, 全琫準, 甲申改革運動, , 天津條約, 日淸戰爭, 맑스...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천도교 선천 청년동맹 성명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미신(迷信) 타파(打破)? ()을 이용해서? 정도회(鄭道會)를 음용(音用)해서? 정도령(正道領)을 진행해서? 금일의 신앙 의식이 확고한 일반 교인을 억압하는 것인가? 이것이 미신 타파인가. 명일(名日) 천도교 우리 교회에 대한 오손(汚損)이다. 이것은 우리에...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천도교 선천 청년동맹 성명서 | 출판물명성명서(聲明書)
  • 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미완성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미완성 미완성(未完成)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조선_1937년 6월 불허가 미기재 미기재 미완성, 문록역, -금지이유 문록역(文祿役)[임진왜란]에서의 한국무...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미완성 | 출판물명미완성(未完成)
  • 18 의 과학적 비판 이명선 19 과학하는 마음 이강문 24 권리 의무의 선후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 76 삼민주의의 인식 호한민(胡漢民), 윤영춘 역 82 모택동론 에드가.스노-, 김동환 역 87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민간신앙]

    조선 중기 이후 성행한 예언서. 70여 종이 있다. 대체로 정감과 이심의 문답을 엮어놓은 감결, 산수비기, 도선비결, 무학비결, 남사고비결, 정북창비결 그리고 토정 유형원, 원효, 이서계, 율곡, 서산대사 등 수십 명이 저술한 비결들이 실려 있다.

  • 계룡산신도안 / 鷄龍山新都안 [지리/자연지리]

    종교적 성지로 여겨지고 있는 계룡산 남쪽 지역. <>에서 주장하는 신도읍지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신도안의 장터를 중심으로 하여 서북쪽 일대를 대궐터라고 부르는데, 여기에서 동쪽으로 제자봉이 있고 그 밑의 지역 일대를 동대궐, 신도초등학교가 있던 서북쪽 일대를

  • 홍경래 / 洪景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반란 수괴(1771∼1812). 경서·병서·술서와《》등에 통달했으나 사마시에 실패하자, 과거제도의 부패·안동김씨의 세도정치·삼정의 문란 등의 사회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10여년간 동지들을 모아 1811년(순조 11)에 거병하여 사회변혁을 시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