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03)
사전(537)
- 오음약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표시한다. 항상 정간보와 함께 사용되어 그 시가를 알게 하였다. 「한국음악의 기보법」(장사훈, 『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75) 「한국의 구기보법」(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
- 정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정(井)자 모양으로 그어진 괘선(罫線). 摹字玆先付便 而要以己意變通井間以呈 伏望參酌, 이면기(李勉耆), 7-1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정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2(숙종 18)∼1757(영조 3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초명은 권(權). 자는 도중(道中), 호는 명고(鳴皐). 원호(元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진(世振)이고, 아버지는 사징(思澄)이며, 어머니...이칭별칭 도중(道中)| 명고(鳴皐)|권(權)
- 정간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곡예‧묘기솟대타기 자 정간 ☞ 솟대타기대분류곡예‧묘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이사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82(우왕 8)∼1440(세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구직(丘直)이고, 아버지는 정간(貞幹)이다. 중랑장에서 누관하여 1424년(세종 6) 대사헌에서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가 되...이칭별칭 평간(平簡)
논문(1)
- 《精刊补注东坡和陶诗话》与苏轼和陶诗宋代的注本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卞东波 | 게재정보 : 《复旦学报》(社会科学版) 57권 3호, 게재일 : 2015.05유형논문
고서·고문서(729)
- Министерство Военного Главного штаба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이 한국의 자주권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이지 않지만 교묘하게 한국에 대한 내정간섭이 계속되고 있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군사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95.09.01~1895.09.05.
- Телграмма Г.Министра от 18-го Февраля 1898года.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선의 북부지역 점령과 러시아가 조선 내정을 간섭하자,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 | 발신일1898.2.18.
- 고정간첩 고영복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고정간첩 고영복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6409일 창간 간첩, 북한 1...대표표제어고정간첩 고영복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북한
- 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267일 창간 고정...대표표제어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고정간첩, 북괴
- 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268일 창간 공작...대표표제어눈을 固定間諜(고정간첩)으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공작선, 격침, 사살, 간첩단, 타진, 고정간첩
구술자료(5)
- 정간지의 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끝내고, 얘기는 ?시작하먼 시 자리는 해야된다?고 다시 정간지 이야기를 했다. 청중들도 제보자의 이야기를 흥미있게 들었다.*조사일시1980-02-2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이기백
- 임금관 훔친 정간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만곤 이야기에 이어 다시 정간지 이야길 했다. 청중들도 방학중, 정간지, 박만곤의 구별없이, 같은 잡보로 이름만 다르게 붙였다. *조사일시1980-02-2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이기백
- 대감 속인 정간지(계속)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학중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했다. 조사자가 정만서 이야기가 아니냐고 묻자 역시 그 사람이지 싶다고 하면서, 방학중이와 같은 잡보라고 했다. *조사일시1980-02-2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이기백
- 차영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차영수가 부른 적벽가 중 새타령이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차영수 강남중 선농월 임방울 홍갑수 원광호 심청가 권번 공연 무속가락 장고 굿거리 사랑가 창부타령 무속교습 판소리 춘향가 흥타령 꽹과리 적벽가 새타령 정간보 농악 국악 시조 민속 풍물 수궁가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시조;민요;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차영수
- 빨치산 치하의 힘들었던 날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시할머니는 여그 살던집이 작은 아버지 집에 가삐리. 그 렁게 친정에 아무 연락도 안허지. 범왕 시갓집이는 내가 친정간줄알고 수수쌀 한되를 놔두고 가대. 수수쌀 한되를 양식이란거이. 수수쌀 그놈 풀떼죽 끼리먹다 그게 떨어져삐린께 아무것도 없는 거 이 양식이. 그러믄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기초학문(11)
-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49134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경자, 게재일 : 200721759 조경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감성과학회 2007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기본박 찾기를 통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49214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10 기본박 찾기를 통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조선본 정간보주동파화도시화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서연, 게재일 : 201253744 홍서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2 조선본 정간보주동파화도시화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 ‧ 중 ‧ 일 3국의 양자 및 3자 투자협정간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2197 한국연구재단 대한국제법학회 2015 한 ‧ 중 ‧ 일 3국의 양자 및 3자 투자협정간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372)
- 昨日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쟉일에 졍부대신변동된 건을 급히 통지기 위야 호외신문을 반포 급각으로 밋쳐 경무 고문부에검열을 것치지못 에 쟉일신문은 뎡간라 령을 당야 금일이야 간오니 쳠군 용셔시오게재일1907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慶節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명일은 국긔원졀이라 경츅기위야 신문을 뎡간얏다가 명일 의례발간터이오니 죠량시오게재일1906년 9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慶日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일은 황뎐하 가례경일이라 희귀 경일에 일반국민의 경변지심은 동연고로 본샤에셔도 부득불 신문을 일일뎡간고 명일 발오니 죠량시옵게재일1907년 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慶節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일은 계텬긔원 경졀인고로 젼례를 의야 무를 뎡지고명일은일요일인고로월요일에신문을편즙야화요일 [본월륙일) 에 발간오니 구람군 용셔시오게재일1906년 11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陰曆停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샤에셔도 음력셰시 명졀로 구례를의야 명일부터 음력졍월삼일지 뎡간얏다가 일부터 발간삽게재일1907년 2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3)
- 의성 탑리-수정간 도로확장구간내 의성 산운리‧수정리유적 kk4-0276_#1 유구 사진6. 구릉부 원경(1), 건물지 전경(2) 2015-01-30_0.2235834_사진6. 구릉부 원경(1), 건물지 전경(2).jpg kk4-0276_#2제목의성 탑리-수정간 도로확장구간내 의성 산운리‧수정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전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이서~용정간) 문화유적 발굴조사-완주 갈동유적(II)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전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이서~용정간) 문화유적 발굴조사-완주 갈동유적(II) yy3-0201_#1 유구 yy3-0201 완주 갈동유적(II)_유구1_도면21.조선시대 1호수혈 2015-01-19_0.9750788_yy3-0201 완주 갈동유적제목전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이서~용정간) 문화유적 발굴조사-완주 갈동유적(I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8세기 중반 峴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峴/대간/정간/정맥 없음 여지도서, 산경표 없음 자연_003_18세기_중반_峴 자연_003_18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浦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浦/대간/정간/정맥/수계 없음 여지도서, 산경표 없음 자연_008_18세기_중반_浦 자연_008_18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灘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灘/대간/정간/정맥/수계 없음 여지도서, 산경표 없음 자연_009_18세기_중반_灘 자연_009_18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35)
- 鄭乾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74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延禧同門會報 제22호 1941―02―28 5면 1. 소화16년 3월 모교졸업예정자들;2)상과 鄭乾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정간;松本正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273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1 328면 2. 학생 및 생도 (1941년 6월 말일 현재);8) 예과생도;(12) 이과 1학년 갑류 1조(41명) 송본정간;松本正幹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정간;松本正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74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44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42년 10월 말 현재);9) 예과생도;(7) 이과 2학년 갑류 1조 송본정간;松本正幹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건택;鄭乾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575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정건택;鄭乾澤 평남 용강군 서화면 동상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건택;鄭乾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202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73면 1. 숭전·숭실 졸업생;3) 다, 자行部 정건택;鄭乾澤 용강군 서화면 동상리 3...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7)
-
정간 / 鄭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7). 1725년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역임했다. 경연관으로 재직 중《춘추》를 진강하여 말 1필을 하사받았다. 동래부사로 재직 중 선정을 베풀어서, 왜인들이 나무로 세운 청덕비가 있다.
-
가정간독 / 家庭簡牘 [교육/교육]
1909년 이정환(李鼎煥)이 짓고 발행한 작문교과서. 1책. 인쇄본. 순국문체. 책명 앞에 작은 글씨로 ‘신찬국문’이라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은 엄밀한 뜻에서 국어교과서로 보기는 어렵고,가정에서 편지쓰기를 예문을 들어 설명한 책이다. 체재에서 특이한 점은 띄어쓰기 할
-
장백정간 / 長白正幹 [지리/자연지리]
우리나라 지형을 동서로 크게 갈라놓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함경북도의 지형을 두만강유역과 동해안유역으로 갈라놓은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맥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동방학연구소 찬, 영인본, 연희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4, 불분권 1책(악보 84장, 부가사별재 8장, 목록 등 4장). 명종(明宗) 이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정간보법(井間譜法)으로 작성된《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
주청사 / 奏請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외교관계로 보내던 비정규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 주청의 내용을 보면, 중국측의 항의에 의한 해명, 정치적 중대사건에 대한 보고, 고명·인신의 수령 등과 같이 요청할 일이 주가 되고, 이밖에 연호 사용, 내정간섭에 대한 항의, 왜정 등의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