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젓갈” 에 대한 검색결과 3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7)

사전(1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어패류의 근육‧내장 또는 생식소(生殖素)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하여 알맞게 숙성시킨 발효식품. [내용] 의 숙성은 원료가 되는 근육‧생식소 등의 조직 자체에 들어 있는 자가소화효소와 내장에 들어 있는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진행...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패류의 근육‧내장 또는 생식소(生殖素)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하여 알맞게 숙성시킨 발효식품.
    정의어패류의 근육‧내장 또는 생식소(生殖素)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하여 알맞게 숙성시킨 발효식품.[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tgal | MR표기chŏtk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명란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명태의 알을 소금에 절여 삭힌 . [내용] 명란을 먹기 시작한 것은 명태가 많이 잡히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명태어업은 조선말의 어획고에 있어서 단연 수위를 차지하던 중요한 어업이었다. 명란젓이 문헌에 기록되기는 『...
  • 조기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기 속에 소금을 채워 항아리에 넣은 다음, 끓여 식힌 소금물을 부어 삭힌 . [내용] 『해동역사(海東繹史)』 물산지(物産志)에 통일신라 이전까지의 어류 중 조기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조기는 일찍부터 식용되어왔던 것으로
  • 어리굴젓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굴에다 소금ㆍ고춧가루를 버무려 담근 . [내용] 다른 굴젓과 다른 점은 고춧가루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충청도지방에서도 특히 유명한 곳으로는 서산ㆍ당진ㆍ예산ㆍ간월도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간월도의 것을 손꼽는다. 그리하여 옛날에...

고서·고문서(122)

  • 병인년(丙寅年) 경순(景純) 서간(書簡)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병인년 11월 29일에 경순이 누군가에게 보낸 답장 편지로, 받는 사람은 알 수 없다. 경순은 요즘 뱃일을 아직 마치지 못해서 복잡한 심정이라고 하면서, 병어 을 보내주어서 고맙다고 적고 있다. 편지와 함께 새 달력 5부를 함께 보낸다고 적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광농업기술센터
  • 1563_355_196 1563년7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3년 7월 19일 을미. ○당(堂)에 머물렀다. ○목사가 2종류를 보냈다. 十九日乙未。 十九日乙未。 ○留。○牧伯送醢味二色。 1563년 7월 19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을축년(乙丑年) 경순(景純) 서간(書簡)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지와 함께 받은 과 석어를 잘 받았으며, 감사하다고 적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광농업기술센터
  • 1565_354_266 1565년10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5년 10월 1일 갑자. 맹동(孟冬) 10월 큰달 정해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백미 5말‧흰 자리[白席] 3장(長)을 보냈고, 판관의 부인도 [醢]을 보냈다. ○사평(司坪)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565_354_261 1565년9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5년 9월 26일 기미.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날전복 37개를 보내고 또 새우젓[蝦醢] 등의 [醢]을 보냈다. ○북산(北山) 논을 베었다. 廾六日己未。 廾六日己未。 ○...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14)

  • 물속에 물고기가 있고 논에는 쌀이 있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조사자 3인 박현숙, 김현희, 김민수 제보자가 〈금망둑어 쁠라부텅(2)〉 구연을 마치자, 조사자가 〈금망둑어 쁠라부텅(2)〉에서 시체로 을 담근 내용과 관련하여 태국의 음식문화와 에 대해 질의응답이 오고 갔다. 그러다가 자연스럽게 과 관련된 조사자의 질문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다르다고 하였다. 그리고 태국 동부 쪽 사람들이 을 좋아해서 민물생선으로 을 만들어 먹는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옛날 어느 남자가 두 아내와 살았는데, 두 아내와의 사이에서 각각 으아이와 아이라는 딸을 두었다. 어느 날 남자가 한 아내와 낚시를 갔다가 금색물고기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발이 된 잔나에게 머리카락을 흑발로 만드는 비법을 알려주었다. 잔나는 머리카락을 다 뽑고 두피를 벗긴 뒤에 하얀 항아리를 쓰고 7일간 참으면 머리카락이 흑발이 된다는 노파의 말을 믿고 따라하다가 아픔을 못 이겨 죽고 말았다. 우타이테위는 잔나에게 복수를 한 뒤 왕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차영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루 가게를 봐달라고 하면서 장사를 시작하게 됨 6.친구의 소개로 해군바자회에 을 납품하게 되었고 그 후 전국 대기업과 호텔, 국회를 상대로 사업하였음 7.어머니 지인이 납품해주는 을 판매하다가 직접 팔기 위해 경매를 하려고 하였으나 여자는 자신 혼자였기 때문에
    구술자차영신 | 직업자영업 | 지역평안남도
  • 등이 되어 있어 몰래 보니 열매가 아가씨로 변해 딸처럼 지냈다. 임금이 지나가다 떰을 알아보게 되어 궁으로 다시 데려 왔다. 깜은 언니에게 어떻게 더 예뻐졌냐고 물어보자 떰은 끓는 물에 들어가 보라고 했다. 깜을 로 만들어 새엄마에게 가져다주었더니 새엄마는
    국가베트남 | 제보자부티프엉 [베트남, 여, 1990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호남지역의 과 장아찌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세훈
    13805 문세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호남문화연구소 호남지역의 과 장아찌에 관한 조사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東아시아 의 出現과 베트남의 느억 맘(NuOC MAM)-韓國과 베트남의 起源과 普及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덕경, 게재일 : 2012
    42532 최덕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12 東아시아 의 出現과 베트남의 느억 맘(NuOC MAM)-韓國과 베트남의 起源과 普及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4)

  • 경무 셔상룡씨가 각셔에 신칙기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 셔상룡씨가 각셔에 신칙기 츌번총슌과 권임슌검이 연강에 나가셔 무명잠셰 밧쟈 일병 착상며 금단라 엿더니 궁부에셔 지령기 소금과 슈세 이믜 본부에셔 허가것이니 금단치 말나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식습관 형성과 각국 식습관의 개관 우정애 65 양배추의 세균 및 기생충검사 권옥희, 박종영 73 류에 대한 조사 이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주생활의 아이디어집 386 마켓트유람 402 올해의 계획 유계완 404 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농로의 개척자 김재식 지사 여원 전남지방 취재반 136 메탄가스를 연료로 쓴다 박진희 140 풍류호남론 과 차와 묵화와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기타자료(1)

  • 로, 도기류는 부엌이나 장독, 창고에서 곡물, 장류, , 물 등을 담아두는 그릇으로 그 쓰임새가 나뉘어져 있었을 것이다. 넷째, 자기류는 그릇꼴이나 무늬, 유색의 특징으로 볼 때 광주시 북구 충효동이나 화암동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연과학방법으로 광...
    발행연도1994 | 발굴기관조선대학교박물관/광주직할시 | 발굴지역광주광역시

주제어사전(3)

  • / [생활/식생활]

    어패류의 근육·내장 또는 생식소(生殖素)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가하여 알맞게 숙성시킨 발효식품. 의 숙성은 원료가 되는 근육·생식소 등의 조직 자체에 들어 있는 자가소화효소와 내장에 들어 있는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진행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관계가 깊은 효

  • 명란젓 / 明卵─ [생활/식생활]

    명태의 알을 소금에 절여 삭힌 . 명란을 먹기 시작한 것은 명태가 많이 잡히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명태어업은 조선말의 어획고에 있어서 단연 수위를 차지하던 중요한 어업이었다. 명란젓이 문헌에 기록되기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부터이고, 제조법은 1800

  • 새우젓 / [생활/식생활]

    새우를 소금에 절여 만든 . 조선시대는 새우가 많이 잡혀서 을 담가 전국적으로 많이 소비하였다.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에는 미리 젓을 담글 독과 소금을 어선에 싣고 출어하여 새우가 잡히는 대로 선상에서 새우젓을 담갔다는 기록이 있고, ≪세종실록≫에는 백하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