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21)
사전(973)
- 도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樞)로서 임명된 듯하다. 이전의 도순문사는 본래 군사지휘관의 성격을 가지는 외관이었지만 공민왕 후년부터 민사(民事)도 함께 관장하였으므로 그 후신인 도절제사 역시 군사‧민사 모두를 관장하였다. 또한 1388년(창왕 1)에 남도(南道)의 안렴사(按廉使)가...
- 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외직(外職). [정의] 1389년(공양왕 1)에 도순문사를 고쳐 도절제사를 삼고, 원수를 고쳐 절제사를 삼았다. 이때에는 왜구의 침범 등으로 전국에 군사상의 업무가 많았기 때문에 1도에 절제사 3원(員)을 두었으나, 민폐가 커...
- 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수가 1389년(공양왕 1) 절제사로 개칭되었다. 조선 건국초 왕자와 중신들이 삼군절제사 또는 각 도의 절제사로 시위군의 일체 지휘권을 행사한 까닭에 시위군이 이들의 사병(私兵)으로 지칭되었다. 이미 1393년(태조 2) 이들을 통제하기 위한 의흥삼군부...
- 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지방에 파견되던 관직. 고려말의 원수 가운데에는 계수관(界首官)으로 파견되어 수령을 겸하면서 도순문사의 휘하에서 국방을 담당하는 직책도 있었는데, 이들은 1389년(공양왕 1) 절제사로 개칭된 뒤, 예컨대 ‘광주등처병마절제사(廣州等處兵馬節制使...
- 절제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말의 외직(外職).정의고려 말의 외직(外職).[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ljesa | MR표기chŏlch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947)
- 강화절제사(江華節制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293 B017293 강화절제사 江華節制使 정치행정 太祖實錄 二年(1393) 五月 태조실록_10205004_001 ○戊申 / 以朴永忠爲江華節制使, 李承源爲喬桐節制使。출처전거太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절제사(喬桐節制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548 B028548 교동절제사 喬桐節制使 정치행정 太祖實錄 二年(1393) 五月 태조실록_10205004_001 ○戊申 / 以朴永忠爲江華節制使, 李承源爲喬桐節制使。출처전거太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해년(癸亥年) 절제사(節制使) 존문단자(存問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계해년에 절제사가 발급한 존문단자로, 수취인은 확인할 수 없다. 존문시에 단자와 소주 1대, 쇠고기 1근을 함께 보냈다.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현소장처영광농업기술센터
-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同僉節制使 兼 監牧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92 1552_01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同僉節制使 兼 監牧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SP004.JPG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同僉節制使 兼 監牧...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773년 첨사행산산진병마첨절제사(僉使行蒜山鎭兵馬僉節制使) 임재대(任載大) 보장(報狀)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보장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타자료(1)
- 병영성지-울산왜성∙병영성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고 동 사업지구내에 포함되어 있는 병영성지 일부에 대한 학술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해 줄 것을 당관에 의뢰하였다. 병영성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 이 곳에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이 자리한데서 생긴 것이며 열마 전까지만 해도 병영면, 병영동 등의 지명으로 사용되어 왔으나...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72)
-
도절제사 / 都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양계지역에 파견되었던 외관직. 1389년(공양왕 1)에 도순문사(都巡問使)가 개정된 것이다. 그 후 1390년(공양왕 2)부터는 양계에도 도관찰출척사를 두고 도절제사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고려가 멸망하기 3개월 전인 1392년 4월에 전국의 도관찰출척
-
절제사 / 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에 파견되던 관직. 병마도절제사는 1466년(세조 12) 병마절도사로, 수군도절제사는 1420년(세종 2) 수군도안무처치사로 직함이 변경, 1466년 수군절도사로 각각 개칭되었다. 2품 수장(守將)으로서 변방에 파견되던 병마절제사는 1455년 전국을 군
-
동지절제사 / 同知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의흥친군위와 의흥삼군부에 두어졌던 군직. 조선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이성계가 직접 거느리던 친군을 의흥친군위로 편성하여서 종2품 이상의 종실과 훈신을 그 절제사로 임명하여 지휘하도록 하였는데, 동지절제사는 이 절제사의 직급 가운데 하나이다.
-
동첨절제사 / 同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 병마부사가 먼저 1423년(세종 5) 병마동첨절제사로 직함이 바뀌었으며, 지방군사조직이 진관체제로 개편된 뒤인 1466년(세조 12) 병마단련부사도 병마동첨절제사로 개칭되기에 이르렀다.
-
병마절제사 / 兵馬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수령이 겸대한 서반 관직. 조선 초기 양계에는 군익도(軍翼道)가 편성되어 있었고, 그 군사책임자 직함이 도병마사·도절제사·병마절제사 등으로 일정하지 않던 것을 1415년(태종 15) 병마절제사로 통일하였다. ≪경국대전≫의 규정에서는 경주와 전주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