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절미운동”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2)

  • 양곡관리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일(無米日)’ 제정, 혼식 등 행정명령에 의한 을 전개하였으며,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국제원자재가격 인상에 따라 식량무기화(食糧武器化) 경향이 대두되었다. 1973년부터 다수확 통일벼의 대대적인 보급과 더불어 녹색혁명(綠色革命)을 추...
  • 식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식량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혼식 장려를 골자로 전국요강(全國要綱)을 제정‧실시하고, 이와 병행하여 ‘양곡예매제와 교환제도’를 신설하였다. 그러나 이 제도만으로는 의도했던 만큼의 양곡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연이은...

고서·고문서(2)

  • 실시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木面 第 號 昭和 十五年 一月 二十二日 木面長 崔炳夏 殿 實施에 關한 件 首題件에 關하야 趣旨의 周知徹底及實行督勵 其他食糧需給 祚整上에 對한 當局의 方針 一般制 度의 宣傳周知徹底를 期코자 하오니 定刻에 參席 하시기를 爲要通知홈 記 一. 開催日時...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지원병제도 취지철저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場所 木面公立尋常小學校 三. 打合事項 (一). 志願兵制度 趣旨徹底에 關한 件 (二). 時局認識에 關한 件 (三). 에 關한 件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5)

  • 1947년 7월 13일 236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신고산, 안변군 정기태 (신고산 지국발) 안변군 신고산면 상일은리에서는 빈농가 40호에 대한 식량보조대책으로 정기태 씨 등이 선두에서 을 전개하였던 바...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713_04 | 날짜1947년 7월 13일
  • 기를 앞두고 비료운반에 전력을 기우리는 한편 농민들은 을 전개하여 지금 마잡곡 합하야 8천여두를 동농민동맹에 확보하여 보관하여 금년도 농산물 증산에 아무 지장없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 (고산면 통신원 김상겸)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 이천군 이천면 현물세 완납 경축대회 석상에서 열성농민 170여명이 집합하여 명년도의 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혼상제에 남용을 하지 말 것과 떡바리 밀주류 등을 상호 엄금하여 을 전개할 것을 굳게 결의하였으며 또한 회양군 회양면 여성동맹원들은 으로 모았던...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31_03 | 날짜1947년 10월 31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に就いて 鹽原時三郎 4 現時局下半島に於ける食糧問題に就いて 山本尋己 7 主食物の改善に就いて 野村稔 1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시키며 향학열은 또 날로 상승되고 있는 이 때에 회양중학교 건설공사는 그 동안 자재난과 기타 고나계로 정지상태로 생도들은 거리에서 방황하게 될 위기에 이르자 이에 분기한 면 여맹은 으로 모았던 옥수수 50두를 지난 8일 중학 건설비로 기증하여 일반에게 큰 감명을...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19_03 | 날짜1947년 10월 19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주제어사전(2)

  • / [사회/사회구조]

    쌀소비를 줄이기 위해 벌인 정부 주도의 국민운동. 한민족은 주식(主食)인 쌀의 생산량 부족으로 인해 기아와 초근목피의 삶을 살아왔다. 조선시대에도 쌀 부족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고 국가의 주요한 관심 사항이 되었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일환으로 (

  • 혼분식장려운동 / 混粉食獎勵運動 [사회/사회구조]

    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정부 주도의 식생활 개선 국민운동. 한국인의 주식(主食)은 쌀이었지만, 1970년대 후반 이전까지 쌀 생산량의 부족으로 쌀밥을 풍족하게 먹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이런 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일제시대부터 국가가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