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형필”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1962. 문화재 수집가.
    이칭별칭 천뢰(天賚)| 간송(澗松), 지산(芝山), 취설재(翠雪齋), 옥정연재(玉井硏齋)
  •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사립 미술관. [연원 및 변천] 1966년 ()의 수집품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민족미술연구소(韓國民族美術硏究所) 부설 미술관으로 발족하였다. 은 1929년부터 우리 나라의 전적 및 고미...
  • 괴산외사리석조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이를 매입, 수습하여 간송미술관에 옮겨 세웠다. 화강암석재의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부도로서 4매의 네모난 판석으로 짜인 지대석 위에 놓여 있다. 구조는 하대 위에 중대‧상대를 놓고, 그 위에 탑신(塔身)‧옥개(屋蓋)‧상륜(相輪)이 있는 일반...
    연계항목괴산외사리석조부도(槐山外沙里石造浮屠)
  • 이기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비문, 간송 () 선생의 동상명 등을 남겼고, 전각 작품으로 예술원장의 동인(銅印)과 이승만‧윤보선‧박정희 대통령 등 역대 대통령의 인장을 두루 새겼다. 국전(國展)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한국서예가협회 회장‧한국전각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묘소는 경기...
    이칭별칭 태섭(兌燮)| 송암(松?), 철농(鐵農)
  • 한국미술사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미술사학 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 단체. [내용] 김원룡(金元龍)‧진홍섭(秦弘燮)‧황수영(黃壽永)‧()‧최순우(崔淳雨)‧홍사준(洪思俊) 등이 1960년 8월 15일 결성한 고고미술동인회(考古美術同人會)가 그 전신이다. 고고학...

신문·잡지(3)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63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2면 ; 경성부 종로4정목 112 제4회 192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715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72면 1. 제12. 졸업생;10) 법과 제6회 졸업생 (1913년 3월 29일) 28인 ; 정평군 廣德面 文昌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56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2면 2. 제8. 졸업자;10) 제6회 법과 28인 (1913년 3월 29일) ; (원적)함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54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5면 1. 본년도 회원 씨명;5학년 갑반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교육]

    1906년∼1962년. 문화재 수집가. 본관은 정선. 서울 출생. 1926년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9년 일본 와세다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귀국, 문화재수집에 힘썼다. 1940년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인수, 교장직을 맡았다. 1954년 문화재 보존위원, 1956년 교

  • 괴산 외사리 승탑 / 槐山外沙里僧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만든 8각원당형 불탑.승탑. 보물. 보물 제579호. 높이 3.5m. 원래 충청북도 괴산군 외사리 절터마을의 산기슭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해외로 반출하려던 것을 간송(澗松) (,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