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청음”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전청(全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당한다. 은 각 음의 기본음 역할을 하는 평음의 위치에 놓이므로, 은 각 위치의 계열음 중에서 가장 중성적인 성향을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각각 ‘ㄱ[君]’, ‘ㄷ[豆]’, ‘ㅂ[彆]’, ‘ㅅ[戌]’, ‘ㅈ[卽]’, ‘ㆆ[挹]’ 등으로...
    상위어청음(淸音) | 관련어차청(次淸), 전탁(全濁), 불청불탁(不淸不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제자해(制字解)에서는,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은 모양을 본떠서(象舌根閉喉之形) 이 글자를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이 소리를 아음(牙音)의 ()에 소속시켜, 이 소리가 무성무기음(無聲無氣音)인 것을 보였다. 그러나 이 소리는 어두(語頭)에서는 무성음으로...
    이칭별칭기역
  • 차청(次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세 국어의 차청 계열음들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구성되었다.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에 따르면, 차청음 즉 유기음에는 ‘ㅋ, ㅌ, ㅍ, ㅊ, ㅎ’이 있는데,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의 평음 즉 중에서 각각 하나가 차청음이 되었다고 한다. 그...
    상위어청음(淸音) | 관련어전청(全淸), 전탁(全濁), 불청불탁(不淸不濁)
  • 삼운성휘(三韻聲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모 순서로 하고 7음 즉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 반치음’과 어긋나지 않는 것은 그대로 두었다. 셋째, ‘순경음, 정치음, 반치음, 후음의 , 아음’의 ‘불청불탁음’은 우리나라에서 발음하기 어려운 자음들이어서, 각각 하나의 음 안에서 발음이...
  • 자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타내는 구조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예컨대 종(從)의 서열, 즉 ()‧차청음(次淸音)……하는 것은 제2차조음에서 변별되는 성문폐쇄(聲門閉鎖)‧후두긴장(喉頭緊張)‧성대진동(聲帶振動)‧비강공명(鼻腔共鳴) 등의 자질을 나타내고, 횡(橫)의 서열, 즉 아음‧설두음……...

주제어사전(3)

  • / [언어/언어/문자]

    중국의 등운학(等韻學)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무성무기장애음(voiceless unaspirated obstruent)을 가리키는 말. 중국 등운학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청(全淸)은『운경(韻鏡)』의 36자모(字母) 중에 幫[p]·非[f]·端[t]·知[ʈ]·見[k

  • 가획 / 加劃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초성을 제자할 때, 동일 조음 위치의 음들 중 이미 만든 글자의 음보다 더 센 음의 글자를 만들기 위해 가(加)하는 획(劃). 기본자의 음보다 더 센 음의 글자는 각 기본자에 가획하여 만들기로 하고, ‘음의 세기[厲]’는 ‘불청불탁음〈〈차청음’,

  • 초성해 / 初聲解 [언어/언어/문자]

    초성(初聲)의 분포적 특성, 초성이 중성·종성과 어울려 음절을 이루는 방법 등을 설명한 『훈민정음』 ‘해례’의 두 번째 장. 「초성해」에서는 이어서 음절의 초성이 될 수 있는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을 ‘, 차청음, 전탁음, 불청불탁음’의 순으로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