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채” 에 대한 검색결과 9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7)

사전(30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8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공(尙功)의 지시와 감독을 받으며, 비단과 실, 그리고 솜을 맡았다. 그 뒤『경국대전』에 전등(典燈)‧...
  • TD_E4_D_0022 정책-제도 官品, 人品, 樵採, 改定, 文武, 兩班, 軍人 穆宗時 景宗, 穆宗 麗史 D_03_03_09 대동운부군옥 3권 3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3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8품 궁관(宮...
    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예아의 삼촌이다. 어리석고 탐욕스러운 인물로, 예아의 하녀 화연의 미색을 탐하여 예아를 돈 많은 집에 시집보낸 후 화연을 첩으로 들이려 한다. 그러던 중 후마의 주선으로 왕석작과 예아를 혼인시키기로 결정한다. 빚을 갚지 못해 옥에 갇히나 석작이돈을 주어 간신히 풀려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E4_D_0125 科 정책-제도 景宗, 文武 D_06_01_66 대동운부군옥 6권 1장 6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1장 6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17)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천 남자 경상북도 영천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동릉구(东陵区) 심정자진 심정자촌 5 1 ,...
    대표표제어전채 | 성씨
  • 방송국동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방송국동지 이 남자 경상북도 구미시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磐石县) 반석진 하남가 8조 360호 3 1 방송국...
    대표표제어방송국전채동지 | 성씨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7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二十鶴南里 5 第五統統首俊 第一戶 幼學俊年拾玖壬子本潭陽父學生慶一祖學生允顯曾祖學生永疇 外祖學生崔慶漢(本本)永川侍母崔氏年伍拾陸乙亥妻김氏年貳拾肆丁 未本김海父學生汶一祖學生尙臣曾祖學生禹根...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鶴南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85년_상부면(上府面) 1885년 상부면(上府面) 第二十二鶴西里 2 第二統統首俊 第一戶 幼學俊年參拾肆壬子本潭陽父學生慶一祖學生允顯曾祖 學生永疇外祖學生崔慶漢本永川妻李氏年貳拾捌戊午本淸安父 學生意淵祖學生運大曾祖學生德森外祖學生김達鍊本慶州婢命 丹前逃...
    연도_면이름1885년_상부면(上府面) | 면이름상부면(上府面) | 마을이름第二十二鶴西里
  • 방송국동지앞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방송국동지앞 이 남자 경상북도 구미시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磐石县) 하남가 8조 360호 3 1 방송국동...
    대표표제어방송국전채동지앞 | 성씨

신문·잡지(65)

  •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中族親間本人姓名으로僞造於音야外債를暗圖타가事狀이綻露야以若喪身으로迯躱엿시니無論內外國人고本人의於音을典執커나債拾면白失터이니母至見欺홈 金永佑 告白
    게재일1903년 3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中族親間本人姓名으로僞造於音야外債를暗圖타가事狀이綻露야以若喪身으로迯躱엿시니無論內外國人고本人의於音을典執커나債拾면白失터이니母至見欺홈 金永佑 告白
    게재일1903년 3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署河橋居金永佑가多有浪狽야를未報中族親間本人姓名으로僞造於音야外債를暗圖타가事狀이綻露야以若喪身으로迯躱엿시니無論內外國人고本人의於音을典執커나債拾면白失터이니母至見欺홈 金永佑 告白
    게재일1903년 3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楊根新坪羗字畓文券閪失三湖中諸公物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楊根新坪羗字畓文券閪失三湖中諸公物相關△告後日憑考事
    게재일1900년 11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본샤에셔 대한젼례를 조차 일슈(日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샤에셔 대한젼례를 조차 일슈(日收]를쥬고  뎐당업시도 빗을 쥬오니 잇는 쳠군은 와셔 의론시 無所회동병문안重信社
    게재일1902년 9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5)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244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7年4月~昭和8年3月 1932―07―30 206면 기;基 조선 제3회 1929년 3월 10일
    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165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大正15年4月~大正16年3月 1926 104면 기;基 조선
    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171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2年4月~昭和3年3月 1927―08―28 98면 기;基 조선
    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182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3年4月~昭和4年3月 1928―07―25 90면 기;基 조선
    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215 일본 廣島 廣島高等學校 廣島高等學校一覽 昭和4年4月~昭和5年3月 1929―09―15 139면 기;基 조선 제3회 1929년 3월 10일
    학교소재지역廣島 | 학교명廣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공의 지시와 감독을 받으며, 비단과 실, 그리고 솜을 맡았다. 그 뒤 ≪경국대전≫에 전등·전정과 같은 종8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 별사전시 / 別賜 [경제·산업/경제]

    일반 전시과에 비해 일종의 별정전시과(別定科)를 형성한 것인데, 1076년(문종 30)의 갱정전시과(更定科)에서 처음으로 제도화되었다.

  • 전시과 / [경제·산업/경제]

    고 하였다. 분급대상과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일반전시·공음전시(功蔭)·공해전시(公廨)로 구분할 수 있다.

  • 석전제시유생집사거안 / 釋時儒生執事擧案 [정치·법제]

    유생거안. 1909년(기유년) 2월 7일 성균관 문묘에서 석전제를 거행할 때 봉향, 봉로, 봉작, 전작, 사준, 진설, 관세위, 척기 등의 임무를 맡은 유생들의 명단이다.

  • 전등 / 典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직속상관인 상침(尙寢, 정5품)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등불과 촛불을 맡았다. 그 뒤 ≪경국대전≫에 ()·전정(典正)과 같은 종8품의 등급으로 법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