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제” 에 대한 검색결과 4,6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54)

사전(1,90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7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제(司製)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설(典設)‧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의복의 재봉(裁縫...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논밭에 관한 제도
    정의논밭에 관한 제도 | 문광부표기jeonje | MR표기chŏn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M1_S_0013 농업 井, 水田, 溝洫, 經界, 導水, 丘陵, 奇斜, 平野, 水田, 留蓄, 廢井, 關外, 周遊, 規制, 諸侯, 開鑿, 形制, 遍天下, 天下, 距川, 親歷, 立法, 完成, 甸服, 四海, 五長, 立制, 都鄙, 鄕遂, 九一, 什一,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0권 1장 3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사구문사전 : 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3697 되다 되다I -되다1 -- 되어(돼), 되니, 되고 일반동사 vi (어떤 조건이) 특정한 사물이나 현상을 이루기 위하여 앞서 내세워지다. (of a condition) to be given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3698 하다 하다I -하다1 -- 하여(해), 하니, 하고 일반동사 vt (사람이 어떤 조건을) 특정한 사물이나 현상을 이루기 위하여 앞서 내세우다. (of a person) to give a co...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단행본(2)

  • 『반계수록』「」「후록」 영역 [『반계수록』「전제」「전제후록」 영역 사업 | 서울시립대학교]
    저자 : Woosung Bae, ... | 출판사 : Routledge | 출판일 : 20221130
    Pan’gyesurok (or “Pan’gye’s Random Jottings“) was written by the Korean scholar and social critic Yu Hyŏngwŏn(1622-1673), who proposed to reform the J...
  • 6. 인도네시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인도네시아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전제성, 유완또... | 출판사 : 이매진 출판사 | 출판일 : 2013.04.19
    분야국제 | 유형단행본
    1장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계 발전 2장 인도네시아 속의 한국 – 한인 투자와 한인 사회 1. 인도네시아 한인 사회의 형성 2. 한인 기업 노사갈등의 양상과 원인 3. 인도네시아

고서·고문서(1,425)

구술자료(3)

  • ‘지장보살’, 지장. [조사자1: 아, 지장보살.] 아, ‘카사지조오’예요. [조사자2: 카사지조.] [조사자3: 카사가 갓.] 아, 로 이야기하면 일본 거리에 지장보살 불상, 많이 좀 많이 있는 곳이 많아요. 보통 여섯, 여섯 개. 여섯 명 계시는 거예요. 아마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 이주노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진시황제가 여자를 믿지 못했던 이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는 거죠. 그러고 그 밭, 정 하고, 밭을 이런 이런 계약을 굉장히 한데 굉장히 엄격하게 해서, 상앙 자신도 마지막에 그 법에 의해서 예를 들면 거기 있잖아요. 여관에 묵을 때는 그 당시 현재로 말하면 신분증 같은 거 제출해야 하는데 상앙도 마지막에 도망쳐 나오다가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주경옥 [중국(한국계),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신들은 아버지를, 당신들의 집안의 선조들을 원망하지 않았냐?’ 조상이, 당연히 그 조상에 죄인이 되지 마라란 것은 조상이 훌륭하다 하는 를 하고 얘기하는 거잖아요잉? ‘훌륭하다. 무조건 따라야 된다.’ 그러니 조상이 하는 일에 있어서, 생각에 있어서 어 디 감히 뭔
    조사지역전남 순천 | 조사일2014년 7월 11일

기초학문(62)

  • 와 부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웅, 게재일 : 1999
    07994 이기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1999 와 부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e146a201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조선초기 賜牌田의 확대와 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숙경, 게재일 : 2001
    09134 이숙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1 조선초기 賜牌田의 확대와 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윌슨 '통섭'의 로서 뇌과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호영, 게재일 : 2009
    47933 안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9 윌슨 '통섭'의 로서 뇌과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압축성장을 위한 조건의 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7743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소 2003 압축성장을 위한 조건의 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유교의 민본사상과 조선의 정 수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8598 한국연구재단 퇴계학부산연구원 2009 유교의 민본사상과 조선의 정 수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931)

  • 文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에셔 문관임용령을시로젼고문졔을마련엿데 년긔 이십이상으로야 쵸시험에글와 속법으로 시고 에 법학통론과 디지산슐로시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膓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누욕항구 큰부쟈 위일님류휘씨가 구라파에가셔 유명 그림몃장을 사가지고 돌아왓 누욕관에셔 셰금을밧으랴고그 그림갑을 몰은즉 장에 일만삼쳔오원식야 도합오만쳔원 이라 관관리의말이 그림장에이만원식은 무려니 셰금팔만원을라고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決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론돈뎐을 거즉 아국은 슈구당에 셰력이 졈졈회복되야 각신문의 혁쟈 언론을 엄금고  아국황뎨셔 각 국무대신에 야 황 위야 젼졔졍치 보젼기로 결심을 말셧다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29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白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에셔 슈입 동디 이百만원을 관에 유치엿다가 일만원은 슈일뎐에 뎐환국으로 슈입고 일百만元은 일간에 마져슈입야 다 동젼을 졔죠다더라
    게재일1902년 3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를 몰아내는 글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를 몰아내는 글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5호 驅文 1905. 04. 01. 문원 117 357~361 편집부 대한제국 정치의 배척을 논하는 글 정치, 중국, 사회계약론, 입...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멀티미디어(50)

  •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_1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가 한류라는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해 관심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신의 근원이 되는 불교와 유교의 한국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가 되기도 한다. 1주차.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 2주차. 불교와 유교가 말하는 중(
    강좌제목한국의 불교와 유교 | 강의자문광스님
  •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_1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가 한류라는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해 관심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신의 근원이 되는 불교와 유교의 한국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가 되기도 한다. 1주차.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 2주차. 불교와 유교가 말하는 중(
    강좌제목한국의 불교와 유교 | 강의자문광스님
  •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_1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가 한류라는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해 관심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신의 근원이 되는 불교와 유교의 한국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가 되기도 한다. 1주차.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 2주차. 불교와 유교가 말하는 중(
    강좌제목한국의 불교와 유교 | 강의자문광스님
  •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_1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가 한류라는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해 관심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신의 근원이 되는 불교와 유교의 한국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가 되기도 한다. 1주차.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 2주차. 불교와 유교가 말하는 중(
    강좌제목한국의 불교와 유교 | 강의자문광스님
  •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_1주차_5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전 세계가 한류라는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해 관심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신의 근원이 되는 불교와 유교의 한국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가 되기도 한다. 1주차. 한국불교와 한국유교의 특징 2주차. 불교와 유교가 말하는 중(
    강좌제목한국의 불교와 유교 | 강의자문광스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72)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573 일본 仙臺 東北帝國大學 東北帝國大學一覽 昭和10年~昭和11年 1936―03―28 390면 현;鉉 조선
    학교소재지역仙臺 | 학교명東北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587 일본 仙臺 東北帝國大學 東北帝國大學一覽 昭和11年度 1937―02―10 404면 현;鉉 조선
    학교소재지역仙臺 | 학교명東北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599 일본 仙臺 東北帝國大學 東北帝國大學一覽 昭和12年度 1937―11―10 432면 현;鉉 조선
    학교소재지역仙臺 | 학교명東北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618 일본 仙臺 東北帝國大學 東北帝國大學一覽 昭和13年度 1938―10―25 293면 현;鉉 조선
    학교소재지역仙臺 | 학교명東北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667 일본 仙臺 東北帝國大學 東北帝國大學一覽 昭和14年度 1939―12―18 583면 현;鉉 조선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仙臺 | 학교명東北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4)

주제어사전(79)

  •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7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제(司製)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설(典設)·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의복의 재봉(裁縫)에 관한 모든 일을 담당하였다.

  • 상정소 / 詳定所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세종 때 공법의 제정과 실시를 위해 설치된 관서. 세종 즉위 초부터 과전법에 규정한 삼등전품제와 답험손실법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그러다 마침내 1430년(세종 12)에 본격적으로 세법 개정에 착수하였다. 이 때 마련된 공법 절목을 둘러

  • 시유생집사거안 / 釋時儒生執事擧案 [정치·법제]

    유생거안. 1909년(기유년) 2월 7일 성균관 문묘에서 석를 거행할 때 봉향, 봉로, 봉작, 전작, 사준, 진설, 관세위, 척기 등의 임무를 맡은 유생들의 명단이다.

  • 공법상정소 / 貢法詳定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1436년(세종 18)에 공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설치했던 임시 기구. 과전법에서 국가적인 법제로 정착되었던 상·중·하의 3등전품에 따른 양와 전세제도는 제도 자체의 운영 과정에서 많은 결함이 드러났다. 이에 1444년 다시 결부제를 바탕으로 하고, 전

  • 명전 / 名田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전시과에 규정된 액수의 토지. 명전은 원래 한(漢)나라의 한(限)와 관련되어 사용된 용어로서, 그 의미에 대해서는 명전을 특정의 토지명칭으로 보고 ‘관(官)에 의하여 그 소유가 인정된 토지’로 해석하는 견해와, ‘명(名)’을 동사로 해석하여 ‘토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