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자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11)
- 전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 소속의 잡직 관원. [내용] 정원은 2인이다. 화원(畵員)의 일종으로 궁중이나 각 관청에서 전서를 쓰는 일에 종사하였다. 특히, 옥보(玉寶)‧금보(金寶)‧옥책(玉冊)‧죽책(竹冊)과 왕족의 명정(銘旌), 각 ...
- 통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널리 알림. 日前自官有下帖於留鄕 自陶院有通諭四鎭, 이만인(李晩寅),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자(篆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篆大學)』, 전액(篆額), 『전운편람(篆韻便覽)』, 전자관(篆字官), 『전중용(篆中庸)』, 『전해심경(篆海心鏡)』 교육 출판출판/인장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시대 성인근 [정의] 예서(隸書) 이전 고대 한자 서체의 통칭. ...상위어서체(書體), 자체(字體) | 하위어구첩전(九疊篆), 무전(繆篆), 상방대전(上方大篆), 소전(小篆), 지영전(芝英篆), 진전(秦篆) | 동의어전서(篆書) | 관련어계회도(契會圖), 『보전서사관(寶篆書寫官), 비액(碑額), 원목부(圓木符), 전대학(篆大學)』, 전액(篆額), 『전운편람(篆韻便覽)』, 전자관(篆字官), 『전중용(篆中庸)』, 『전해심경(篆海心鏡)』
- 도화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관(篆字官) 2인을 더 두고 화원의 정원도 30인으로 증원해 놓았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러 화원의 임무가 그만큼 많아졌음을 뜻하며, 일찍부터 재능 있는 자를 한 번에 키워서 우수한 화원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무 주관자인 별제...
- 서사관(書寫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승문원이나 교서관의 전자관(篆字官)이 쓰기도 하였으나 도감의 전문서사관이 쓴 사례가 많다. 전문서사관은 당대에 전서에 능숙한 고위직을 채용하였으며 이들은 당시 전서의 대표적 명필이기도 하였다. 각종 의궤에는 전서의 서사에는 탄력이 좋은 황모필(黃毛筆)과 기름을 태워...하위어전문서사관(篆文書寫官), 해자서사관(楷字書寫官) | 관련어서자관(寫字官)
고서·고문서(28)
- 덕리(德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八戶男二百口女七十口上柳田自官門距一百步編戶四十戶男七十七口女四十五口下柳田自官門距五十步編戶八十五戶男一百五十七口女一百四十口上大德里自官門距一百步編戶四十三戶男八十八口女七十六口下大德里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이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름 이 남자 충청남도 논산시 요녕성(辽宁省) 금주시(锦州市) 화광전자관정 동력과 2 2 이름, 박씨, 나이, 9...대표표제어이름 | 성씨이
- 덕리(德里)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174 B049174 덕리 德里 정치행정 輿地圖書 平安道 龍岡 龍岡 ... 編戶七戶男十七口女十九口鄕校洞自官門距三里編戶三十一戶男六十一口女五十口城內里自官門距五里編戶九十八戶男二百口女七十口上柳田自官門距一百步編戶四十戶男七十七口女四十五口下柳田自官門距五十步編戶八十五戶男一百五十...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2 저, 중공대륙, 젊은사나이, 김씨아들, 서울, 마음속, 그리고, 조선문, 전기학관한책, 반도체조립, 전자관라지오조립책, 텔레비죤조립수리책, 전자자동설비책, 요구, 간절, 부탁대표표제어저 | 성씨김
- 중국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생활, 번영, 장성, 현대화, 실현, 노력, 유감, 현대화, 기술, 수록, 과학, 서적, 부족, 난감, 고국, 선진, 기술, 용감성, 놀라움, 육아, 교육, 발전, 추진, 무선전, 기술, 유관, 전자관, 라디오, 녹음기, 텔레비, 회로집, 유아, 교학대표표제어중국 | 성씨김
기초학문(1)
- 지역문화관광 e-knowledge 네트워크 기반 전자관광시장의 e-비즈니스 모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9134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02 지역문화관광 e-knowledge 네트워크 기반 전자관광시장의 e-비즈니스 모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2)
- 연변청년_1957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질투 김학철 43 전자관이란 무엇인가? 일인 45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57
- 전파과학_1965_07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SSB 통신의 개요 (3) 이정복 61 암프 회로의 도해 설계 (5) 66 전자관의 중요성 조응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주제어사전(1)
-
전자관 / 篆字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 소속의 잡직 관원. 정원은 2인. 화원의 일종으로 궁중이나 각 관청에서 전서를 쓰는 일에 종사하였다. 특히, 옥보·금보·옥책·죽책과 왕족의 명정, 각 능의 표석, 서울과 지방 각 관아의 인장에 전자를 쓰는 일을 전담하였다. 전자 전공의 화원들은 매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