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이성”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6)

  • 운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07년경 9대손 학영(學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헌(柳道獻)의 서문이, 권말에 학영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만...
  • 국창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之)」 등 ()에게 보낸 다수의 시와 정윤목(鄭允穆)‧조윤방(曺允邦)‧노경임(盧景任) 등을 대상으로 지은 만시 등이 다양하게 실려 있다. 서 중 4편을 차지하고 있는 「여김계암서(與金溪巖書)」는 김령(金坽)에게 보낸 것으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집의...
  • 신석번(申碩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尹絳)과 정언 성초객(成楚客) 등은 당시 예론(禮論)의 논쟁(論爭)으로 인하여 서로 불화로 일이 빚어진 것이라고 하여, 장응일의 탄해하는 일에 참여하지 않았다.[『실록』] 당초에 경상도 용궁(龍宮)에 살던 전 부사(府使)()의 계모가 남편과 서로 반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악성종양의 하나. 인체에서 무절제하게 번식하여 장기를 파괴하는 조직의 일종을 종양이라고 하는데, 이 가운데 번식력이 강하며 이 높아 생명을 위협하는 신생물을 악성종양 또는 암이라고 한다. [내용] 인체에 생기는 바람직하지 않은 종양...
  • 기술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변화되었다. 즉, 기술혁신의 변화에 적응하며, 또한 변화를 만들어 나가는 ()과 창조성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요청을 받게 된다. 전근대의 기술교육의 방법은 거의 도제제도(徒弟制度)가 중심이었으나, 이후 직업교육기관이 생기고부터는 기술을 지식...

고서·고문서(41)

  • 大垈里五龍洞里中里羅珠洞里冷井洞里問尺里坪里金堀里馬多谷里龍池洞里軍器洞里狐洞里龜山里山所洞里牛口洞里新村里理岩洞里金馬洞里杜方里龍頭里大峙里 髙南面距官門四十里 吹笙里厳洞里楮峙里東花山 ...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7857 B047857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3年 11月 19日_023 ○吏批, 徐景雨爲知製敎, 金蓍國爲右承旨, 睦大欽爲左副承旨, 爲兵曹正郞, 吳瑞爲兵曹正郞, 趙贇爲兵曹佐郞外, 鄭宗溟爲江陵府使, 柳舜翼爲春川府使, 李井男爲通川郡守, 韓嶠爲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詩文門2_韓魏公祠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韓魏公祠詩 《禮》: “天子祭天地, 諸侯祭封內山川, 大夫祭五祀.” 外此, 皆非其鬼也. 今鄕校之外, 又有孔子書院, 此因滄洲釋俗也. 私室之禮, 不敢與國家侔擬, 亦非禮也. 旣是天下同尊之師, 而郡縣皆有聖廟, 士子伸敬有地, 何必特祀於閭巷, 然後可耶? 偶讀劉靜修《韓魏公祠詩》...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鄕藥集成方 第二十一 大小便門 冷淋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11 冷淋 聖惠方論曰夫冷淋者由藏腑虛冷其狀先寒顫然後尿是也此皆腎氣虛弱下焦受於冷氣入脬與正氣交爭寒氣勝則寒淋正氣勝則寒顫解故得小便也【聖惠方】治冷淋小腸不利莖中急痛 槲樹葉擣篩爲散每服三錢以...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67971 B067971 돈어 豚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英祖 3年 8月 11日_036 , 伯[霸]道之雜, 率皆洞見。 臣欽仰無已, 屛退之後, 得見朝報, 間或聞於道路, 則發號施令之間, 或未能純然一出於天理之公。 王道之正, 誠信孚感, 或有欠缺處, 三代以上, 信孚下。 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논문] 제3의 공간과 에 의한 결혼이주여성의 유동적.혼종적 정체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38564 한국연구재단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논문] 제3의 공간과 에 의한 결혼이주여성의 유동적.혼종적 정체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78년(선조 11)∼1646년(인조 24). 전위 아들이다. 1606년(선조 39) 병오년 식년시 병과 9위로 문과에 등제하여 제조랑을 지냈다. 두 번이나 번막을 보좌하였으며, 다섯 번 군현에 나아가 읍장이 되었다. 그의 시문집《운계집》 4권 2책이 있다. 1907

  • 운계집 / 雲溪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목활자본, 서: 유도헌(1906), 발: 전학영(1907), 4권 2책. 권1에는 시 90수가 수록, 권2는 부록으로 행장, 27편의 만사와 8편의 제문도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해휴록상편과 제. 기를 비롯하여 67수의 시 수록, 권4에는 해휴록하편

  • 한산두 / 韓山斗 [종교·철학/유학]

    1556년(명종 11)∼1627년(인조 5). 조선 중기 유생‧의병. 한서봉 후손, 고조는 한태, 증조는 한영년, 조부는 한필이다. 부친 한일취와 모친 진황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윤복의 딸이다. 교유한 인물로 이개립‧ 등이 있다. 아들로 한원진‧한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