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의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8)
사전(184)
- 전의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司醫署)‧전의시(典醫寺) 등으로 명칭이 변화되어오다가 조선 건국 초 관제개혁에 의하여 전의감으로 개칭되었다. 서울 중부 견평방(堅平坊: 지금의 종로구 견지동)에 위치하였다. 전의감은 의료행정 및 의학교육의 중추기관으로서 왕실과 조관(朝官)들의 진시(診視: 진찰...
- 전의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정의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uigam | MR표기Chŏnŭi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의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원대에 황태자의 건강 관리를 담당하던 관청정의원대에 황태자의 건강 관리를 담당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Jeonuigam | MR표기Chŏnŭi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의감(典醫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의감 전의감 典醫監 태의감(太醫監), 전의시(典醫寺) 활인서(活人署), 혜민서(惠民署), 내의원(內醫院), 삼의사(三醫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조선 조선 김성수 1392년(태조 1) 18...동의어태의감(太醫監), 전의시(典醫寺) | 관련어활인서(活人署), 혜민서(惠民署), 내의원(內醫院), 삼의사(三醫司)
- 장재만(張在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574 인물 장재만(張在萬) 장재만 張在萬 ? ? 조선 후기의 인물. 의원(醫院). 1710년 12월에 전의감(典醫監)에서 첩정(牒呈)을 올려 장재만(張在萬)을 통신사 당차의원(當次醫員)으로 차정(差定)하였다.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84)
- 典醫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80 典醫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건홍합(乾紅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664 B018664 건홍합 乾紅蛤 수산물 江原道邑誌 杆城郡邑誌 杆城郡 貢案 田稅大略與他邑同故不載淸蜜奉常寺禮賓寺法油義興庫黃蜜奉常寺典醫監義興庫川椒內贍寺末醬禮賓寺蕎麥米中脯奉常寺司宰監小脯司宰監乾文魚乾大口魚乾紅蛤圓全鰒乾連魚乾猪乾獐司宰監栢子生梨掌苑署芝艸五味子紅花濟用監人蔘司...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귤(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278 B031278 금귤 金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濟州 四界 進貢 ... 奉常寺納蔈古 榧子 軍器寺納故失馬背力 二年木 內贍寺納蔈古 牛毛 義盈庫納常藿 繕工監納榧子板 掌苑署納金橘 洞底橘 柑子 乳柑 尙衣院納梔子 濟用監納梔子 典醫監納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귤(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282 B031282 금귤 金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大靜縣誌 四界 進貢 ... 0205]榧子板 典醫監納陳皮․靑皮․香附子․海桐皮․安息香․半夏․ 梔子 惠民署納榧子․酸橘․金橘․乳柑․洞庭橘 濟用監納梔子 內需司納常藿․蔈古․草席․錢文 濟安大君傍納正木․錢文 錢文出陸貿納)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정귤(洞庭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830 B077830 동정귤 洞庭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旌義縣誌 四界 進貢 ... 05]梔子 尙衣院納梔子 司贍寺納蔈古 牛毛 義盈庫納常藿 繕工監納榧子板掌苑署納乳柑 榧子 洞庭橘 典醫監納 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惠民署納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6)
-
전의감 / 典醫監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는 의약의 공급과 임금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의학교육과 의학취재 등의 사무도 겸하여 관장하였다. 고려 때는 태의감·사의서·전의시 등으로 명칭 변경. 조선 건국 초 관제개혁에 의하여 전의감으로 개칭되었다. ≪경국대전≫에는
-
의과 / 醫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전의감·내의원·혜민서 소속의 의관을 뽑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잡과시험.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초시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초시는 상식년 가을에 전의감에서 실시하였고, 복시는 전의감이 예조와 함께 설행하였는데, 그 시취액수는 초시에
-
내약방 / 內藥房 [과학기술/의약학]
전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전의감(典醫監)에 속해 있는 관서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내의원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
-
생약포 / 生藥鋪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약재를 비치하여 백성의 필요에 대비한 관서. 1429년 전의감·혜민국·제생원과 같이 생약포의 관인들이 교대로 명나라에 가서 구매하여 오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1458년(세조 4) 6월 생약포 관원의 근무소홀과 부주의로 약재가 부족하고, 약재의 구입에 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