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운옥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9)
- 전운옥편(全韻玉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운옥편 전운옥편 全韻玉篇 언어한문/국어 문헌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4 2권 1책, 2권 2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의] 정조(...
- 신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감 등은 신문관 최성우(崔誠愚)의 힘이 컸다. 이 자전은 청나라의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대본으로 하고, 내외고금의 자전류를 참작하여 시대에 맞도록 빼고 더하고 바로잡아서 된 것이며, 국내 옥편은 1800년대에 성행하던 『전운옥편(全韻玉篇)』을 기준으로 하였...
- 속음(俗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목된다. 한편, 정조대에 간행된 『전운옥편(全韻玉篇)』에서는 610여 자의 정음과 속음을 다음과 같이 주기(註記)하였다. 1) 해당 자음을 제시하고 정음을 밝힌 경우(220여 자) 崇 종正슝 床 장正상 尨망正방 2) 해당 자음을 제시하고 속음을...상위어한자음(漢字音) | 관련어정음(正音)
- 규장전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던 한자음을 속음으로 표시하였으나, ≪규장전운≫에서는 규범음만을 나타내었다. 이런 면을 보충하기 위하여 이른바 속음도 아울러 표시하는 ≪전운옥편 全韻玉篇≫이 편찬되었는데, 이 옥편은 ≪규장전운≫을 저본으로 한 획인자전(劃引字典)이었다. ≪규장전운≫도 우리...
- 자전석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에서 재판이 간행되었고, 1975년 아세아문화사에서 다시 영인,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자전석요≫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애용된 권위 있는 한자사전이었다. 종래의 한자사전으로는 ≪운회옥편 韻會玉篇≫‧≪삼운성휘옥편 三韻聲彙玉篇≫‧≪규장전운옥편 奎章全韻玉篇...
단행본(1)
- 전운옥편 [한국 한자학 전문 교육 과정 개설과 연구자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 | 華東師范大學 (East China Normal University)]저자 : 왕평... | 출판사 : 도서출판3 | 출판일 : 201604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18)
- 전운옥편(全韻玉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운서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전운옥편(全韻玉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전운옥편(全韻玉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全韻玉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188 0091_01 全韻玉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구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玉篇, 全韻玉篇, 奎章全韻, 韻書 한자 전적 HK006.JPG 목판본 正祖 命編 선장본 己卯新刊 29.5 19 2책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全韻玉篇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189 0091_02 全韻玉篇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구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玉篇, 全韻玉篇, 奎章全韻, 韻書 한자 전적 HK006-1.JPG 김굉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연구과제(1)
-
한국 근대시기 한자자전(옥편)의 정본화와 DB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하영삼 | 경성대학교 | 2014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3)
-
전운옥편 / 全韻玉篇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편자미상, 목판본, 2권 2책. 정조(正祖)의 명으로 편찬한《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을 바탕으로 만든 부획사전(部劃辭典)이다.
-
자전석요 / 字典釋要 [언어/언어/문자]
사에서 다시 영인,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자전석요≫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애용된 권위 있는 한자사전이었다. 종래의 한자사전으로는 ≪운회옥편 韻會玉篇≫·≪삼운성휘옥편 三韻聲彙玉篇≫·≪규장전운옥편 奎章全韻玉篇≫ 등이 널리 유포된 바 있으나, 이들은 그 이름이 보
-
신자전 / 新字典 [언어/언어/문자]
상 자획의 교감 등은 신문관 최성우(崔誠愚)의 힘이 컸다. 이 자전은 청나라의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대본으로 하고, 내외고금의 자전류를 참작하여 시대에 맞도록 빼고 더하고 바로잡아서 된 것이며, 국내 옥편은 1800년대에 성행하던 『전운옥편(全韻玉篇)』을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