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운옥편”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9)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어한문/국어 문헌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4 2권 1책, 2권 2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의] 정조(...
  • 신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감 등은 신문관 최성우(崔誠愚)의 힘이 컸다. 이 자전은 청나라의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대본으로 하고, 내외고금의 자전류를 참작하여 시대에 맞도록 빼고 더하고 바로잡아서 된 것이며, 국내 옥편은 1800년대에 성행하던 『()』을 기준으로 하였...
  • 속음(俗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주목된다. 한편, 정조대에 간행된 『()』에서는 610여 자의 정음과 속음을 다음과 같이 주기(註記)하였다. 1) 해당 자음을 제시하고 정음을 밝힌 경우(220여 자) 崇 종正슝 床 장正상 尨망正방 2) 해당 자음을 제시하고 속음을...
    상위어한자음(漢字音) | 관련어정음(正音)
  • 규장전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던 한자음을 속음으로 표시하였으나, ≪규장전운≫에서는 규범음만을 나타내었다. 이런 면을 보충하기 위하여 이른바 속음도 아울러 표시하는 ≪ ≫이 편찬되었는데, 이 옥편은 ≪규장전운≫을 저본으로 한 획인자전(劃引字典)이었다. ≪규장전운≫도 우리...
  • 자전석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에서 재판이 간행되었고, 1975년 아세아문화사에서 다시 영인,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자전석요≫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애용된 권위 있는 한자사전이었다. 종래의 한자사전으로는 ≪운회옥편 韻會玉篇≫‧≪삼운성휘옥편 三韻聲彙玉篇≫‧≪규장 奎章...

단행본(1)

고서·고문서(18)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

  • /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편자미상, 목판본, 2권 2책. 정조(正祖)의 명으로 편찬한《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을 바탕으로 만든 부획사전(部劃辭典)이다.

  • 자전석요 / 字典釋要 [언어/언어/문자]

    사에서 다시 영인,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자전석요≫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애용된 권위 있는 한자사전이었다. 종래의 한자사전으로는 ≪운회옥편 韻會玉篇≫·≪삼운성휘옥편 三韻聲彙玉篇≫·≪규장 奎章≫ 등이 널리 유포된 바 있으나, 이들은 그 이름이 보

  • 신자전 / 新字典 [언어/언어/문자]

    상 자획의 교감 등은 신문관 최성우(崔誠愚)의 힘이 컸다. 이 자전은 청나라의 『강희자전(康熙字典)』을 대본으로 하고, 내외고금의 자전류를 참작하여 시대에 맞도록 빼고 더하고 바로잡아서 된 것이며, 국내 옥편은 1800년대에 성행하던 『()』을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