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운사” 에 대한 검색결과 1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

사전(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지 못하였다. [내용] 그러나 이들 향호(鄕豪)를 고려왕조에 편입시키면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통제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기인(其人)‧사심관제(事審官制)를 실시하고, 왕사적 성격(王使的性格)을 띤 금유(今有)‧조장(租藏) 등을 설치하며 를 파견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곡의 운반을 주관한 전운서(轉運署)의 관원. [내용] 조운사(漕運使)‧전운어사 (轉運御史)라고도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조운업무를 위하여 전운색(轉運色)이라는 관서를 두고 그 책임관으로 도(都使)를 임명하였는데, 세조...
    이칭별칭조운사|전운어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당(唐)나라에 처음 설치된 이래, 조세의 운송과 재정을 담당한 관리.
    정의중국 당(唐)나라에 처음 설치된 이래, 조세의 운송과 재정을 담당한 관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eonunsa | MR표기chŏnu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군저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원대에, 각지의 군량 생산 및 조달을 담당하던 관청
    정의중국 원대에, 각지의 군량 생산 및 조달을 담당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Gunjeo Dojeonun Sasa | MR표기Kunjŏ Tojŏnun Sa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14_D_1951 康戩 인물 人名, 少好學, 賓貢, 國學, 進士, 使, 翰林學士 太平興國五年 信州 休祐, 蘇易簡 宋史 D_11_04_38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3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54)

주제어사전(1)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곡의 운반을 주관한 전운서의 관원. 가 본격적으로 활동한 것은 1883년(고종 20) 전운서가 설치되면서 부터이다. 조선후기 들어 세곡의 임운제가 널리 유행하여 부정이 횡행, 개항과 더불어 선운업계에 침투한 일본 선운업자와의 갈등을 야기하였다. 전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