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운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
사전(43)
- 전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지 못하였다. [내용] 그러나 이들 향호(鄕豪)를 고려왕조에 편입시키면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통제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기인(其人)‧사심관제(事審官制)를 실시하고, 왕사적 성격(王使的性格)을 띤 금유(今有)‧조장(租藏) 등을 설치하며 전운사를 파견하였다...
- 전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곡의 운반을 주관한 전운서(轉運署)의 관원. [내용] 조운사(漕運使)‧전운어사 (轉運御史)라고도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조운업무를 위하여 전운색(轉運色)이라는 관서를 두고 그 책임관으로 도전운사(都轉運使)를 임명하였는데, 세조...이칭별칭조운사|전운어사
- 전운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당(唐)나라에 처음 설치된 이래, 조세의 운송과 재정을 담당한 관리.정의중국 당(唐)나라에 처음 설치된 이래, 조세의 운송과 재정을 담당한 관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eonunsa | MR표기chŏnu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군저도전운사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원대에, 각지의 군량 생산 및 조달을 담당하던 관청정의중국 원대에, 각지의 군량 생산 및 조달을 담당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Gunjeo Dojeonun Sasa | MR표기Kunjŏ Tojŏnun Sa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康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951 康戩 인물 人名, 少好學, 賓貢, 國學, 進士, 轉運使, 翰林學士 太平興國五年 信州 休祐, 蘇易簡 宋史 D_11_04_38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3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54)
- 태평치적통류_太平治迹統類18 宣仁垂殿聖政 (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042 중국 사서 태평치적통류 004 선종(宣宗) 2 1085 11 太平治迹統類18 宣仁垂殿聖政 (元豐八年) 十一月 朝議大夫鮮于侁爲京東轉運使 于是司馬光語人曰 今復以子駿爲轉運使 誠非所宜 朝廷欲求東土之弊 非子駿不可 此一路福星也 可以爲諸...국가중국 | 서명태평치적통류 | 왕대선종(宣宗) 2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361 神宗 元豐八年十一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038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149 선종(宣宗) 2 1085 11 續資治通鑑長編361 神宗 元豐八年十一月 (丁酉) 朝議大夫鮮于侁為京東轉運使 熙寧末侁已嘗為京東轉運使 於是司馬光語人曰 今復以子駿為轉運使 誠非所宜 然朝廷欲救東土之弊...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선종(宣宗) 2
- 원사_元史15 本紀15 世祖12 至元二十五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701 중국 정사 원사 본기 300 충렬왕(忠烈王) 14 1288 2 11 元史15 本紀15 世祖12 至元二十五年二月 改南京路為汴梁路 北京路為武平路 西京路為大同路 東京路為遼陽路 中興路為寧夏府路 改江西茶運司為都轉運使司 并榷酒醋...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14
- 문창잡록_文昌雜錄5 熈寧二年 朝廷始命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794 중국 필기 문창잡록 006 문종(文宗) 23 1069 文昌雜錄5 熈寧二年 朝廷始命兩浙福建等路轉運司 招接高麗入貢 時舟人傅旋至彼國 述朝廷之意 徽賦感天朝招接擬侍中華然燈夜述懐詩云 宿罪應深近契丹 歴年徒貢事多般 忽䝉舜日龍綸召 便侍堯天佛㑹...국가중국 | 서명문창잡록 | 왕대문종(文宗) 23
- 송사_宋史63 志16 五行志2上 火上 芝草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252 중국 정사 송사 지 001 성종(成宗) 16 997 2 宋史63 志16 五行志2上 火上 芝草 (至道) 三年二月 廣東轉運使康戩獻紫芝 恩賞‧進上, 개인, 5대ㆍ송, 외국정세, 宋 太宗 至道三年은 고려 성종 16...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성종(成宗) 16
주제어사전(1)
-
전운사 / 轉運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곡의 운반을 주관한 전운서의 관원. 전운사가 본격적으로 활동한 것은 1883년(고종 20) 전운서가 설치되면서 부터이다. 조선후기 들어 세곡의 임운제가 널리 유행하여 부정이 횡행, 개항과 더불어 선운업계에 침투한 일본 선운업자와의 갈등을 야기하였다. 전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