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옥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
사전(90)
- 전옥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형옥(刑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서. 고려 초기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995년(성종 14) 대리시(大理寺)로 개칭되고 관원으로 평사(評事)가 두어졌다가, 문종 때 다시 전옥서로 고쳐졌다. [내용] 관원으로는 영(令, 정8품)...
- 전옥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죄수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서울 중부 서린방(瑞麟坊 : 현재 종로구 세종로 1가 부근) 의금부 옆에 있었다.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관제를 정할 때 고려의 전옥서를 답습하여 관원을 정하였다. 관원으로 영...
- 전옥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죄수를 관장하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죄수를 관장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okseo | MR표기Chŏnok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典獄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334 典獄署 관직 大理, 評事 麗初, 成宗十四年 百官志 D_13_04_160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6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전옥서(典獄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옥서 전옥서 典獄署 형조(刑曹) 감옥서(監獄署), 사옥서(司獄署), 의금부(義禁府)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근호 1392년(태조 1) 1894년(고종 31) 형조(刑曹)...상위어형조(刑曹) | 관련어감옥서(監獄署), 사옥서(司獄署), 의금부(義禁府)
고서·고문서(46)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828 B014828 강음현 江陰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6年 7月 7日_016 ○禁府啓曰, 逆賊李繼先, 閔濧等停屍處, 當初各其屍身逢授人推問事, 捧甘結于典獄署矣。 卽者, 典獄署牒報于本府, 繼先, 則黃海道江陰縣埋處, 閔濧, 則往十里外埋置云。 竝發遣都事掘來, 依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839 B014839 강음현 江陰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6年 7月 7日_016 ○禁府啓曰, 逆賊李繼先, 閔濧等停屍處, 當初各其屍身逢授人推問事, 捧甘結于典獄署矣。 卽者, 典獄署牒報于本府, 繼先, 則黃海道江陰縣埋處, 閔濧, 則往十里外埋置云。 竝發遣都事掘來, 依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301 B033301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哲宗 2年 6月 27日_007 ○金敬鉉啓曰, 臣敬鉉敬奉聖敎, 馳往義禁府, 取考囚徒案, 則時囚罪人徐星祿, 以前任南桃浦萬戶時, 錢四百兩乾沒, 係是輕囚, 故放送, 仍往典獄署, 取閱囚徒案, 則罪人宋重根等二十九名, 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4446 B024446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5月 12日_013 ○刑曹啓曰, 古今島定配罪人辛興煥, 草記批旨間, 還囚典獄署矣。 卽接該署主簿秦錫好牒報, 則罪人辛興煥, 因病物故云。 使之摘奸, 果爲的實, 不得發配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2370 B06237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1年 8月 11日_024 ○又以刑曹言啓曰, 因傳敎, 島配罪人趙寬燮, 去夜自現, 纔已就囚矣。 卽接典獄署所報, 則今日寅時量, 因病物故云, 故使之擲奸[摘奸]果爲的實, 囚徒案頉下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경주 서부동 19번지 유적 발굴조사보고서(통일신라 도로∙건물지, 조선 옥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확인되었는데, 문지로 추정된다. 초석의 배치가 정연하지 않아 문지의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문지의 앞쪽으로는 해자가 설치되지 않았다. 옥사의 축조시기는 15세기 중반경으로 추정된다. 이유는 발굴된 옥사의 기본적인 배치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옥사인 한양의 전옥서(...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7)
-
전옥서 / 典獄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죄수를 관장하던 관서. 태조가 관제를 정할 때 고려의 전옥서를 답습하여 관원을 정하였다. 관원으로 영 2인, 승 2인, 사리 2인을 두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 체제가 정비되면서 6품기관으로 정착되어 조선 말기까지 계승되었다. 관원으
-
나장 / 羅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병조 소속의 중앙 서리. 의금부·형조·사헌부·사간원·오위도총부·전옥서·평시서 등 중앙의 사정(司正)·형사업무를 맡는 관서에 배속되어 죄인을 문초할 때 매를 때리거나 귀양가는 죄인을 압송하는 일 등을 맡았다.
-
감옥서 / 監獄署 [정치·법제/법제·행정]
1894년부터 1907년까지 감옥을 관장하던 관서. 1894년 갑오경장 때 좌우포청을 합쳐 경무청을 설립하여 내무아문에 소속시키고 경무사로 하여금 감옥 사무를 관장하게 하는 동시에 종래의 전옥서를 감옥서로 개칭하고 '감옥규칙'을 새로이 제정하였다. 감옥에 관한 사무는
-
봉사 / 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장원서·혜민서·전옥서·의영고·장흥고·양현고·경모궁과 서반의 훈련원 등이다.
-
전법사 / 典法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법률·사송·상언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서.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6부의 하나인 상서형부를 전법사로 고치고, 1298년에 형조로, 1308년에 언부로 고치고, 거기에 감전색·도관·전옥서를 병합하였으며, 그 관원으로 전서 2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