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연사” 에 대한 검색결과 1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의 일을 맡겼다. 그 뒤 1446년(세조 12) 1월 관제를 개정할 때 경복궁제거사가 로 개편되어, 제공 1인과 사연이 참봉으로 개칭되면서 참봉은 6인으로 증가되었다. 이어 1484년(성종 15)에는 제공이 직장으로 개칭되었다. 『경국대전』 공전...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조(工曹), 종사품(從四品) 아문(衙門)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446년(세조 12) 공조(工曹) [정의] 조선시대 궁궐의 수리와...
    상위어공조(工曹), 종사품(從四品) 아문(衙門)
  • 제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시정이 겸하였다. 그리고 또 전설사(典設司)에 2인, 전함사(典艦司)에 1인, ()에 1인이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 참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역원(司譯院)‧사재감(司宰監)‧()‧소격서(昭格署)‧사직서(社稷署)‧전생서(典牲署)‧혜민서(惠民署)‧전옥서(典獄署)‧활인서(活人署)‧오부(五部), 그리고 각 능(陵)‧전(殿)과 원(園)에 배속되었다. 그런데 돈녕부의 참봉은 1470년(성종 1) 4...
  • 제검(提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검 제검 提檢 무록관(無祿官), 사옹원(司饔院),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예빈시(禮賓寺), 전설사(典設司), (), 전함사(典艦司) 별검(別檢), 별제(別提), 별좌(別坐)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
    상위어무록관(無祿官), 사옹원(司饔院),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예빈시(禮賓寺), 전설사(典設司), 전연사(典涓司), 전함사(典艦司) | 관련어별검(別檢), 별제(別提), 별좌(別坐)

고서·고문서(96)

  • 趙丈至,追話川之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90_0110 趙丈至,追話川之遊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564년 이홍(李洪)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564년 2월 1일에 이조에서 명종임금의 명령을 받아 중추부녹사 학생 이홍을 종9품 장사랑 참봉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녹사는 품계를 지닌 녹사와 품계가 없는 녹사로 구분되는데, 이홍이 종9품에 임명된 것으로 보아 품계가 없는 녹사로 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2 第二統統首高雲翼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泰崗本永川率子達義年貳拾陸甲寅奴加音金前逃亡等丙子戶口相準 第二戶 鰥夫幼學尹濟年肆拾陸甲午本坡平父學生聖老祖學生必衡曾祖學生承緖外祖通德郞姜淵本晋 州奴馬堂金年陸拾柒一所生奴水任二所生奴水正奴四同等逃亡等丙子戶口相準 第三戶 幼學崔望守年伍拾伍乙酉本永川父學生擎箕祖學生柱南曾祖通德郞...
    연도_면이름175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藥水里
  • 2 第二統統首黃一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准 第二戶 鰥夫幼學崔秀恒年柒拾玖丁卯本永川父學生德仁祖及第士敏曾祖學生宗湖外祖學生金宜鑑本慶州率子 幼學斗星率婦李氏等二口慶州南面伊助里移去婢日禮前逃亡等壬午戶口相准 第三戶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崔擎奎年玖拾貳甲寅本永川父嘉善大夫漢城府左尹柱南祖通德郞直長掌 隸院判決肆尙厚曾祖奉直郞守軍...
    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藥水里
  • 13377 B01337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正祖實錄 十七年(1793) 九月 정조실록_11709028_002 ○召見京畿觀察使徐龍輔。 龍輔啓言: “豐德之西三面, 介在延、白、喬三邑之間, 其所被災, 幾無異於三邑。 禁御兩營江都留餉之越海輸納, 其勢尤難。 在失稔時, 以錢代...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大邱의 漢藥材 去來 자못 旺盛 比割以上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조선중앙일보 大邱의 漢藥材 去來 자못 旺盛 比割以上增 1936년 8월8일 대구 대구 대구상공회의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표표제어大邱의 漢藥材 去來 자못 旺盛 比前年四割以上增 | 연월일1936년 8월8일 | 지역대구
  • 동의 질적향상을 위하여 광산당부 밋 매개세포 매개당원은 가장 치밀한 게획밑에 선봉적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고없이 상기한바와가튼 위대한 승리를 쟁취하엿든 것이다. 황해제철소랑 연광산사리원방직을 위시하여 전체기업소내 당단체들은 가장 효과적인 사업을 조직하여왔으며 그...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23_1 | 책임주필이영작
  • , 사동탄광, (6일 북조선통신) 5월 2일 표창받은 모범로동자 농민 문화인 중 북조선인민위원회 상에 빗나는 인사들의 주요 공적은 다음과 갓다. △ 남포제련소 심두섭(26세)씨 광석을 건조하는 건조판을 개조하므로서 석탄을 용치 않게하여 일개월 3만6천원의 이...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511_01 | 책임주필이영조
  • 한 불붙는 적개심으로 충만되여있다. 그러나 친일파 민족반역자들을 □간으로 하여 조직된 소위 국방국은 이와 정이 다르다. 만일 그들에게 어떠한 습성과 정신이 있다면 그것은 곧 친일파 민족반역자들의 매국적 습성이며 일제나 패망 장개석의 침략사상과 인민학살의 습성일 것...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21_01_01
  • 원쑤들에 대한 불붙는 적개심으로 충만되여있다. 그러나 친일파 민족반역자들을 □간으로 하여 조직된 소위 국방국은 이와 정이 다르다. 만일 그들에게 어떠한 습성과 정신이 있다면 그것은 곧 친일파 민족반역자들의 매국적 습성이며 일제나 패망 장개석의 침략사상과 인민학살의...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21_01_01

기타자료(3)

  • 존문사 소야항가 등이 발해의 국서를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天皇附金之旨 祖父王欽承睿意 轉附朝唐賀正之使 令尋靈仙所在將送其金·待使復佇付金否 而隔海程途 過期不返 後年朝唐使人却廻之日 方知使等從海却歸 到塗里浦 疾風暴起 皆悉陷沒 亦悉往五臺覓靈仙 送金之時 靈仙遷化 不得付與 其金同陷沒 以此其後文矩入覲 啓中縷陳事由 冀達天皇 文矩不遂覲禮 將...
    대표표제어존문사 소야항가 등이 발해의 국서를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2년(壬戌/신라 문성왕 4/발해 이진 13 咸和 13/唐 會昌 2/日本 承和 9)
  • 존문사 소야항가 등이 발해의 국서를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謹遣政堂省左允賀福延奉啓 又別狀曰 彛震祖父王在日 差高承祖 入覲之時 天皇注送在唐住五臺山僧靈仙黃金百兩 寄附承祖 承祖領將 到國之日 具陳天皇附金之旨 祖父王欽承睿意 轉附朝唐賀正之使 令尋靈仙所在將送其金 待使復佇付金否 而隔海程途 過期不返 後年朝唐使人却廻之日 方知使等從海却歸 到塗里...
    대표표제어존문사 소야항가 등이 발해의 국서를 올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42년(壬戌/신라 문성왕 4/발해 彛震 咸和 13/唐 武宗 會昌 2/日本 仁明天皇 承和 9)
  • 발해왕 大彛震이 仁明天皇에게 보내는 王啓·別狀과 中臺省이 일본 太政官에 보내는 牒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兩 寄附承祖 承祖領將 到國之日 具陳天皇附金之旨 祖父王欽承睿意 轉附朝唐賀正之使 令尋靈仙所在將送其金·待使復佇付金否 而隔海程途 過期不返 後年朝唐使人却廻之日 方知使等從海却歸 到塗里浦 疾風暴起 皆悉陷沒 亦悉往五臺覓靈仙 送金之時 靈仙遷化 不得付與 其金同陷沒 以此其後文矩入覲 啓...
    대표표제어발해왕 大彛震이 仁明天皇에게 보내는 王啓·別狀과 中臺省이 일본 太政官에 보내는 牒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로 개편되어, 제공 1인과 사연이 참봉으로 개칭되면서 참봉은 6인으로 증가되었다. 이어 1484년(성종 15)에는 제공이 직장으로 개칭되었다.

  • 제검 / 提檢 [정치·법제/법제·행정]

    2인, 전함사(典艦司)에 1인, ()에 1인이 있었다.

  • 별좌 / 別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5품의 관직. ≪경국대전≫에 따르면, 교서관에 2인, 상의원에 1인, 군기시에 1인, 예빈시에 3인, 수성금화사에 6인, 전설사에 2인, 전함사··내수사·빙고 등에 각각 1인을 두어 모두 19인으로 되어 있었다.

  • 별제 / 別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6품 관직. ≪경국대전≫에 의하면 호조·형조·소격서·교서관·도화서·전설사·전함사··사축서에 각각 2인, 상의원·군기시·내수사·빙고에 각각 1인, 예빈시·수성금화사·장원서·와서·사포서에 각각 3인, 조지서·활인서에 각각 4인, 귀후서에

  • 봉사 / 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돈녕부와 각 시·사·서·원·감·창·고·궁에 있던 종8품의 관직. 봉사가 있었던 관서는 동반의 돈녕부·봉상시·사옹원·내의원·군기시·군자감·관상감·전의감·사역원·선공감·풍저창·광흥창·사도시·사재감··종묘서·제용감·사온서·평시서·전생서·내자시·내섬시·예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