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75)
사전(99)
- 전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정선(旌善).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보인(輔仁)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24년(충숙왕 11) 밀직부사가 된 뒤에 감천군(甘泉君)에 봉해졌다. ...
- 전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7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궁(尙宮, 정5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과 왕에게 아뢰는 일을...
- 全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615 全彥 인물 孝子, 太常齋郞, 追服, 母喪, 孝行, 次第職 顯宗 D_16_01_45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4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4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전언(典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언 전언 典言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7품 궁관(宮...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 전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7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설(司設)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제(典製)‧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위장(幃帳)‧인...
단행본(1)
- 朝鮮時代女性時文集全編 [남경대학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윤해연(남경대학), 장백위(남경대학)... | 출판사 : 鳯凰出版社 | 출판일 : 2011.08분야교육 | 유형단행본1.前言 2.凡例 3.正編 4.附編 5.附錄
고서·고문서(1,522)
- 서전언해(書傳諺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서전언해한언문(書傳諺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유교경전언역총서(儒敎經典諺譯叢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주해집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68년 전언엄씨(典言嚴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伊藤被刺殞命應電唁日政府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이등이 총상을 입고 사망함에 따라 일본 정부에 응당 조전(弔電)을 보애야 한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宣統01年09月13日;1909-10-26
구술자료(2)
- 경상남도 고성군_ 상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경남지방 논매기의 다수형이다. 구명수 창은 군말이 붙되 더욱 생소하다. * 동해면 대천리 대천마을의 논매기소리도 “상사디여”라고 함께 자리한 사람이 전언하였으나, 구명수 인지는 명확하지않다.녹음지역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 녹음날짜1989.4.2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마을 사람들의 억울한 죽음을 목격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재를 그렇게 고정, 이렇게 했는데, 거 욕심나니까. [조사자1: 거, 면서기가?] 어, 응 거 아니 거 서기 거 안전언질 질 하는 아버지가 양봉하는데, [조사자1: 아, 안전언질 하는 아버지라는 사람이? 네.] 어어 아버지가. 절 그러니까 주 지한테, “그거 왜 그 고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2년 6월 15일
기초학문(3)
- 경남지역 노인들의 전언을 통한 유아생활예절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숙, 게재일 : 200536847 김영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경남지역 노인들의 전언을 통한 유아생활예절모델 개발 및 적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경남지역 노인들의 전언을 통한 유아생활예절모델 개발 기초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숙, 게재일 : 200536848 김영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경남지역 노인들의 전언을 통한 유아생활예절모델 개발 기초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5
- 袁珂의 ??古神話選釋?? 「前言」을 통해 본 학문과 권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윤희, 게재일 : 201446955 홍윤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14 袁珂의 ??古神話選釋?? 「前言」을 통해 본 학문과 권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2)
- 森田彦左衛門(生駒)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森田彦左衛門(生駒) 부산 森田彦左衛門 生駒 大倉町3-18 - - 요리 - 221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森田彦左衛門(生駒)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石田彦三(石田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石田彦三(石田商店) 원산 石田彦三 石田商店 綠町 - - 화장품,방물(小間物)상,털실 판매 11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石田彦三(石田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화장품,방물(小間物)상,털실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17. 네루 총리의 전언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17. 네루 총리의 전언 국제 문헌 현대 프랑스, 베이징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인도의 동향 보고 프랑스, 베이징, 네루, 쇼벨, 오를리 공항, 각서,...대표표제어17. 네루 총리의 전언 | 자료유형외교문서(보고서) | 작성연월1951년 1월 | 작성일20일
- 橫田彦左エ門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橫田彦左エ門 (-) 전주 橫田彦左エ門 - 曙町 - - 식염 - 8 -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橫田彦左エ門 (-)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식염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79. 유엔군 사령관의 전언 내용 추정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79. 유엔군 사령관의 전언 내용 추정 국제 문헌 현대 미국, 한국, 개성, 홍콩 기타자료 휴전협정 관련 미국의 동향 보고 히커슨, 미국, 리지웨이,대표표제어79. 유엔군 사령관의 전언 내용 추정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1년 9월 | 작성일5일
기타자료(56)
- 청전언이;靑田彦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1101 남한 경북 안동농업학교 2-34 제6회졸업앨범 1942―12 7면 청전언이;靑田彦二 제6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안동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은언기;殷彦基;길전언기;吉田彦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4208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16면 은언기;殷彦基;길전언기;吉田彦基 제4회 1915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구려가 당에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파사·소륵·우전·언기·고창·임읍·곤명 및 먼 변방 오랑캐의 추장들이 서로 차례로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舊唐書』 3 本紀 3 太宗 下) 【원문】 (唐書曰) (貞觀十三年十二月) 高麗新羅西突厥吐火羅康國安國波斯棘勒于闐焉耆高昌林邑昆明及荒服蠻酋 相次遣使朝貢 (『太平御...대표표제어고구려가 당에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39년(己亥/신라 선덕왕 8 仁平 6/고구려 영류왕 22/백제 무왕 40/唐 太宗 貞觀 13/倭 舒明天皇 11)
- 옛날 등원조신진순이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渤海使楊承慶朝禮云畢 欲歸本蕃 眞楯設宴餞焉 承慶甚稱歎之 (…) (『續日本紀』 27 稱德 天平神護2年 3月 丁卯)대표표제어옛날 등원조신진순이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66년(丙午/신라 혜공왕 2/발해 문왕 大興 30/唐 代宗 永泰 2, 大曆 1/日本 稱德天皇 天平神護 2)
- 옛날 후지와라노 아손 마타테(藤原朝臣眞楯)가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慶朝禮云畢 欲歸本蕃 眞楯設宴餞焉 承慶甚稱歎之 (…) (『續日本紀』 27 稱德 天平神護2年 3月 丁卯)대표표제어옛날 후지와라노 아손 마타테(藤原朝臣眞楯)가 발해사신 양승경을 위해 잔치를 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66년(丙午/신라 혜공왕 2/발해 문왕 30 大興 30/唐 永泰2·大曆1/日本 稱德 天平神護 2)
주제어사전(8)
-
전언 / 典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7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궁(정5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과 왕에게 아뢰는 일을 맡아 보았다. ≪경국대전≫에 전설·전제와 같은 종7품
-
서전언해 / 書傳諺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서류(書類). 선조(宣祖) 명찬. 목판본, 규장각 1820년(순조 20) 5권 5책. 표제는 서해(書解)이다.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서전(書傳)》의 원문에 한글로 한자음과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 표지에 편목
-
전언엄씨교지 / 典言嚴氏敎旨 [정치·법제]
1868년(고종 5) 12월. 고종이 전언인 엄씨를 상침(尙寢)으로 삼는 교지. 전언은 상궁의 명을 받아서 왕명을 전달, 보고하는 일을 담당한 내명부의 종7품 벼슬이다. 상침은 내명부 정6품으로 평소 왕을 알현하거나 왕이 입고 먹는 일의 차서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
서경언해 / 書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서경(書經)』을 언해한 책. 5권 5책. 활자본. 선조 때나 광해군 때에 간행된 다른 경서언해들은 표기법상의 특징인 ㅿ이나 ㆁ이 한자음(漢字音)의 표기에서나마 나타나지만, 현재 전하는 『서경언해』 중에는 그러한 예를 보이는 판본은 하나도 없다. 다른 경서언해들은 내사
-
전설 / 典設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7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설(司設)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제(典製)·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위장(幃帳)·인석(茵席)·쇄소(灑掃)·장설(張設) 등의 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