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3)
사전(231)
- 전악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정6품 잡직(雜織). 전악은 아래로 종6품 부전악(副典樂), 정7품 전율(典律), 종7품 부전율(副典律), 정8품 전음(典音), 종8품 부전음(副典音), 정9품 전성(典聲), 종9품 부전성(副典聲) 모두를 거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전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09년 (태종 9) 전악이라는 체아직 녹관이 처음으로 생겼는데, 그 당시 종5품의 사성랑(司成郎) 전악 1인씩을 전악서(典樂署)와 아악서(雅樂署)에 두었다. 성종 때에는 정6품의 전악 1인을 장악원에 두었고, 1505년(연산군 11)에는 이를 협궁(協宮)이라 고쳐부...이칭별칭협궁(協宮)
- 전악(典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663 제도 전악(典樂) 전악 典樂 사절단의 행렬 ∙ 의식 ∙ 연회 등의 음악을 담당한 관원. 장악원(掌樂院)에 소속되어 있고, 정6품 잡직(雜職)의 하나로 체아직(遞兒職)이다. 전악은 원래 진연(進宴) 시 모라복두(冒羅幞頭)를유형분류제도
- 전악(典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악 전악 典樂 정육품(正六品) 장악원(掌樂院), 집박전악(執拍典樂), 집사전악(執事典樂), 풍물차지전악(風物次知典樂) 문화예술/음악 집단 기구 조선시대 배인교 [정의] 조선시대 장악원(...상위어정육품(正六品) | 관련어장악원(掌樂院), 집박전악(執拍典樂), 집사전악(執事典樂), 풍물차지전악(風物次知典樂)
- 금전악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차주환, 범학도서, 1976) 금전악만 / 고려사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금전악만. 금전악만은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전래된 사악의 한 곡명으로 현재 악보는 전하지 않는다. 가사는 송나라의 소식이 지었고 임...
고서·고문서(156)
- 도전악(倒顚岳)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981 B063981 도전악 倒顚岳 산악 濟州邑誌1 濟州 建置沿革 山川 ... 20100]之奇里岳(在東南二十二里) 踏印岳(在州東南二十五里) 禿岳(在州東南二十五里) 雲雨路岳(在州東南二十五里) 思美岳(在州東南二十八里) 倒顚岳(在州東南二十里) 悅安岳(在州南二十里) 御...출처전거濟州邑誌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전악(倒顚岳)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982 B063982 도전악 倒顚岳 산악 濟州邑誌2 濟州 四界 山川 ... 凝岳(東南距二十里) 之奇里岳(東南距二十二里) 踏印岳(東南距二十五里) 禿岳(東南距二十五里) 雲雨露岳(東南距二十五里) 思美岳(東南距二十八里) 倒顚岳(東南距三十里) 御乘生岳南距二十里其巓有大池...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文昭殿樂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七 樂章 文昭殿樂章 정인지(鄭麟趾) 11 樂譜 / 樂章 / 文昭殿樂章 / 桓桓曲 ◎ 桓桓曲 桓桓聖祖受命溥將功光古昔符應休祥 天人協順奄有東方貽謀裕後惠我無疆 樂譜 / 樂章 / 文昭殿樂章 / 亹亹曲 ◎ 亹亹曲 亹亹太宗天實篤生扶翊聖祖...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文宣王釋奠樂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七 樂章 文宣王釋奠樂章 정인지(鄭麟趾) 11 樂譜 / 樂章 / 文宣王釋奠樂章 / 奠幣 南呂宮 ◎ 奠幣 南呂宮 自生民來誰底其盛惟王神明度越前聖粢幣俱成禮容斯稱黍稷非馨惟神之聽 樂譜 / 樂章 / 文宣王釋奠樂章 / 正位 酌獻 南呂宮 ...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44년(영조21) 10월부터 1745년 5월에 걸쳐서 악기조성청에서 인정전의 악기를 만든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악기가 연주되었다. 창덕궁 인정전에는 전정헌가악기(殿庭軒架樂器)가 배설되는데, 1744년 10월 14일 밤 창덕궁 인정...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1)
- 전낙쾌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전낙쾌 대담 全樂快 전명규 全明圭 예술·체육 작품 현대 A-190 1849 미상 대담조사자료 1) 전남 광주 명창인 전낙쾌에 대해 대담한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낙쾌
기초학문(1)
- 1744년(영조 20) 仁政殿 화재와 1745년 《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313983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44년(영조 20) 仁政殿 화재와 1745년 《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24)
- 松田樂二(-)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松田樂二(-) 부산 松田樂二 - 大倉町1-22 - - 양복 - 25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松田樂二(-)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양복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민주청년_1952_1227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 림소향 고전악배우 4, 문예봉 영화배우 5, 박영신 연극배우 6, 배 용 연극배우 7, 안기옥 고전악배우 8, 정남의 고전악배우 9, 최승희 무용배우 10, 황철 연극배우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2_1227_02 | 책임주필리두진
- 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줄 불명)의 노래 문화선전성 문화예술부원 ”2등 김옥성 압록강 인민군 협주단 단원 ”2등 정률성 인민군 행진곡 어부의 합창 국립음악대학 교수 ”2등 리조영 소년단의 노래 국립레코-드제작소 ”2등 안기옥 고전악 법성포의 뱃노래 기타 작곡에 대하여 국립예술극장 협률단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 책임주필강길모
- 조선인민군_1950_09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경팔 유은경 백고산 등 저명한 음악인들과 안성희 김백봉 등 무용가들을 포함한 1백여명의 예술가들로 구성되여있다. 일행은 제1차로 오는 31일부터 3일간에 걸쳐 서울시에서 음악 무용 고전악 등의 다채로운 예술공연을 개최하여 북반부에서 이루어진 찬란한 예술의 제 성과들을...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903_01 | 책임주필오기찬
- 조선인민군_1950_07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87 오기찬 레닌그라―드발 따쓰통신에 의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상 허정숙 녀사를 수반으로 하는 조선예술대표단은 6월 30일 레닌그라―드에 도착하였다. 동 대표단은 쏠로가수들 합창단 교향악단 무용단 조선고전악단 등으로 구성되여 있다. 동...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04_01 | 책임주필오기찬
주제어사전(20)
-
전악 / 典樂 [정치·법제]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 임시로 봉급을 주기 위해서 두었던 체아직 녹관, 장악원으로부터 1년에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1409년 (태종 9) 전악이라는 체아직 녹관이 처음으로 생겼는데, 그 당시 종5품의 사성랑
-
부전악 / 副典樂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고, 전악서와 아악서에 1인씩 배속되었다. 당시의 품계는 종6품의 조성랑이었다. 그 뒤 성종 때에는 장악원에 2인이 배속되었고 품계는 같았다. 임무는 정6품의 전악을 보좌하
-
대악서 / 大樂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음악에 관한 일을 맡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관서의 하나. 설립연대 미상. 다만 고려 초기 목종 때 대악서에 영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늦어도 목종 때 대악서가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예부 밑에 속하여 있었으나 1308년(충렬왕 34) 전악서
-
악사 / 樂師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아악서·전악서·장악원의 악공이나 악생 중에서 우두머리 구실을 하였던 원로음악인들로서 잡직을 담당하였던 벼슬아치. ≪경국대전≫이나 ≪대전통편≫을 보면, 악사 2명은 정6품의 전악 및 종6품의 부전악이라는 잡직을 가졌는데, 이러한 잡직은 체아직으로서 장악원에서
-
문선왕악장 / 文宣王樂章 [문학/고전시가]
공자의 위패를 모신 문묘(文廟)의 석전(釋奠)에 쓰이던 음악의 노랫말. 조선조의 「문선왕 악장」은 모두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14장의 『송사(宋史)』 「석전악장」, 8장의 『대성악보(大成樂譜)』 「석전악장」, 6장의 『명사(明史)』 「석전악장」, 16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