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시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
사전(169)
- 급전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전시과의 절급(折給)의 사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개설] 문종 때 처음 설치되어 병과 (丙科)‧권무(權務) 2인을 녹사로 하고, 이속으로는 기사(記事) 4인, 기관(記官) 1인을 두었다. [설치 목적] 설치 목적...
- 전시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관료와 국역 부담자의 과(科)를 나누어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나누어주던 제도.정의고려시대 관료와 국역 부담자의 과(科)를 나누어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나누어주던 제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eonsigwa | MR표기chŏnsig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田柴科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125 田柴科 정책-제도 景宗, 文武 D_06_01_66 대동운부군옥 6권 1장 6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1장 6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녹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에 녹봉(祿俸)을 보충할 목적으로 관리에게 나누어 주었던 토지. [개설] 고려 초기의 전시과체제(田柴科體制)가 붕괴된 다음에 나타나는 국가적 토지분급제도이다. [역사적 배경] 고려 토지제도의 주축인 전시과는 12세...
- 역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시과의 선구가 되었다. 『고려사(高麗史)』 『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강진철,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고서·고문서(7)
- 전제에 관련한 사항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1915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참사관실(參事官室)에서 우리나라의 전제(田制)에 관한 사실을 조사하여 작성한 보고서이다. 목재가숙찬휘려사(木齋家塾彙纂麗史), 동국통감(東國通鑑),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세 문헌에서 삼국시대로부터 고려...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으보아, 찾이, 말슴, 없다, 찾아, 바라, 지나면, 아희들, 모두, 학교, 공부, 미안, 말슴, 더립니다, 미안, 한글, 영어, 전시과, 녹음, 한글, 고전, 대망, 긑, 선생님대표표제어저 | 성씨김
- 흑룡강성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대표, 정부, 사의, 기회, 정부, 지도자, 뵈옵기싶은, 마음, 간절, 유언, 간절, 한국, 전시국, 전시과, 독립운동사, 연구소, 당연구소, 문의, 련계, 대단, 감사대표표제어흑룡강성 | 성씨김
- 結負考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上文一頃,雖若可據,下文一負,又將何解?結負之名,遠自新羅,非自麗始也。又景宗元年,【宋太宗元年丙子】 始定職官田柴科,紫衫一品田ㆍ柴各一百十結,丹衫一品田六十五結,緋衫一品田五十結,綠衫一品田四十五結。【〈食貨志〉】 上距太祖統一之年,不過四十餘年,此高麗之初也。結負之名,高古若此。但於此時,...권차명經世遺表 卷九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금당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子가 말한 井田은 모두 은나라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井田의 시작은 은나라임을 설명하는 글이다. 東國文獻考訂疑/田制 고려 태조가 세운 田制로부터 田柴科 및 麗末鮮初의 사전개혁까지의 역사를 간단하게 설명한 글이다. 東國文獻考訂疑/大同 貢物 大同法과 貢物의 역사를 설명...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23)
- 개헌론시비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정치가평론 개헌론시비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51년 8월 유진오 전시과학 1권 1호 평론 11 이 글은 유진오가 당시 벌어지고 있던 여러 개헌 관련 시비들에 대해 자신의 소견을 서술하고 있는 글이다. 유진오가 서술하고 있는 개헌대표표제어개헌론시비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유진오 | 출처전시과학 1권 1호 | 키워드개헌 시비, 책임 내각제, 대통령제, 양원제, 대통령 직접 선거
- 반도의광_1944_07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병への言葉 倉茂周藏 4 한_반도의광_1944_74_004~005파일분절요망 兵營生活 (4) 大村謙三 6 전시과학-...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반도의광_1944_07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근대병기의 경이 (2) 민내증 20 전시과학-피마자유 江本益煥 22 건강아를 길으는 모유의 영양문제 岡部卓 2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민주청년_1951_101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대표의 보충보고가 있었으며 끝으로 세계청년절을 앞두고 베를린 축전의 맹세를 실천하기 위하여 당면한 전시과업의 성과적 수행을 호소하는 평양시 청년들의 호소문을 채택하였다. 보고회는 평화를 목적한 온 세계청년들의 투쟁과 승리를 노래한 『세계민청전투적 행진곡』으로 끝마쳤다....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1_1011_01 | 책임주필리두진
- 반도의광_1943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木春山人 8 튼튼한 애기를 낫코 모유가 잘나게 하는 조선음식의 먹는 법 岡部卓 11 한_반도의광_1943_05_011로 파일분할요망 전시과학-공폭하의 생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3
기타자료(1)
- 충주직동고묘군 발굴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격이 약 5m씩 띄어서 자리잡고 있다. 이런 모습은 가족묘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내부에서 출토되는 유물이 보여주는 시대상은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짧은 시기에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고려시대 전시과라는 토지를 생각 할 때 꽤 유...발행연도1988 | 발굴기관충주공업전문대학박물관/충주시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1)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7)
-
전시과 / 田柴科 [경제·산업/경제]
고려 전기의 토지제도. 협의로는 문무관료 및 직역부담자에 대한 수조지 분급을 규정한 토지제도를 의미하고, 광의로는 이 토지제도를 기축으로 구성된 토지지배관계의 광범한 체계를 의미한다. 곡물을 재배하는 전지와 땔나무를 공급해주는 시지를 아울러 분급했기 때문에 전시과라
-
별사전시 / 別賜田柴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승직·지리업자에게 지급되던 토지. 고려의 전시과는 일반 문무양반·군인·한인(閑人) 등에게 지급되는 일반 전시과, 무산계에 지급되는 무산계 전시과, 승직·지리업에 지급되는 별사전시과, 5품 이상의 고급관료들에게 지급되는 공음전시과 등이 있었다. 별사전시과는
-
선휘사 / 宣徽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남반 4품 관직. 정원 미상. 998년(목종 1)에 개정된 전시과에서 제9과에 포함되어 전지 60결과 시지 33결이 지급되었으므로 그 이전에 이미 설치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기능도 분명하지 않다. 문종 관제나 1076년(문종 30)에 갱정된 전
-
급전도감 / 給田都監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전시과의 절급 사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문종 때 처음 설치되었다. 설치 목적은 각 품계에 따른 관리의 전시과(田柴科) 절급을 위한 것이었으나, 무신란 이후 폐지되었다가 점차 국가에 조세를 바쳐야 할 공전이 사전화되어 가고, 더욱이 몽고의 침입으로 국고가
-
공음전 / 功蔭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관료에게 지급되어 세습이 허용된 토지. 고려시대 전시과체제에 의하여 토지가 운용되었으므로, 토지수급자가 죽거나 관직에서 물러날 때는 그 토지를 반납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음전은 세습이 허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