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설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115)
- 전설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장막 설치의 임무를 맡겨 오다가 세조 12년(1466) 관제(官制)를 개정할 때 전설사(典設司)로 고쳤다. 各邑如無帷帳則以典設司所上受去進排爲白乎矣一路乙良國葬都監山陵則山陵都監專掌檢飭施行爲, (빈전1834/063ㄱ04~06)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분전설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장을 당했을 때 전설사(典設司)의 일을 분장하기 위해 임시로 따로 둔 분사 기구. 조선 시대 병조에 속하여 장막(帳幕)을 치는 따위의 일을 맡아보던 관아가 전설사이다. 국상을 당했을 때 장막을 효율적으로 치기 위해 임시로 분사 기구인 분전설사를 설치하였다. 供上...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전설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다가 1403년(태종 3)에 충순호위사(忠順扈衛司), 1414년에 충호아(忠扈衙)로 개칭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전설사로 개칭되었다. 초기관원으로는 제조(提調) 1인, 수(守, 정4품) 1인, 제검(提檢, 정‧종4품) 2인, 별좌(別坐, 정‧종5품)...
- 전설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식전(式典)에 사용하는 장막(帳幕)의 공급을 관장하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식전(式典)에 사용하는 장막(帳幕)의 공급을 관장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seolsa | MR표기Chŏnsŏl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설사(典設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설사 전설사 典設司 병조(兵曹), 속아문(屬衙門) 수(守), 제검(提檢), 별좌(別坐), 별제(別提) 의례(儀禮), 행행(行幸), 왕실(王室), 궁궐(宮闕), 제사(祭祀), 다례(茶禮), 충호위(忠扈衛), 주정소(晝停所), 행재소(行...상위어병조(兵曹), 속아문(屬衙門) | 하위어수(守), 제검(提檢), 별좌(別坐), 별제(別提) | 관련어의례(儀禮), 행행(行幸), 왕실(王室), 궁궐(宮闕), 제사(祭祀), 다례(茶禮), 충호위(忠扈衛), 주정소(晝停所), 행재소(行在所), 행궁(行宮), 종묘(宗廟), 사직(社稷), 능원(陵園), 희우랑(喜雨廊)
고서·고문서(44)
- 典設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170 典設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새벽에 다시 이조(吏曹)의 로 출근하니 와서 벌주(罰酒)를 행하고, 파하고는 전설사(典設司)로 들어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37_150_149 1537년6월 ○새벽에 다시 이조(吏曹)의 로 출근하니 와서 벌주(罰酒)를 행하고, 파하고는 전설사(典設司)로 들어갔다 1537년 6월 2일 기유, 비가 내림. ○새벽에 다시 이조(吏曹)의 □□로 출근하니 □□ 와서 벌주(罰...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842년 기정진(奇正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42년(헌종8)8월 29일에 기정진(奇正鎭)을 통훈대부 행 전설사별제(通訓大夫行典設司別提)에 임명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의 품계이고, 전설사별제는 의식에 쓰이는 장막을 공급하는 일을 담당하는 전설사의 종6품 관직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683년 김택삼(金宅三)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83년3월에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아 전설사별검(典設司別檢)으로 있던 김택삼(金宅三)을 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에 임명하는 고신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김형복
- 1652년 윤인미(尹仁美)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52년(孝宗3) 7월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윤인미를 전설사 별검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신문·잡지(1)
- 투보_1951_062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였다. 이것은 전체 조선인민의 한결같은 갈망인 평화적인 조국통일 방책을 반대하는 매국노 리승만 역도들이 그의 상전 미제국주의자들의 지시에 의하여 그들이 항상 □□□대는 “북한점령”이란 무모한 38도선 이북침범에 의하여 목발되였다. 이리하여 공화국 북반부의 평화적 전설사...대표표제어투보_1951_0622_01
주제어사전(12)
-
전설사 / 典設司 [정치·법제/법제·행정]
, 1414년에 충호아로 개칭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전설사로 개칭되었다.
-
별검 / 別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종8품 관직. 전설사(典設司)의 종8품, 빙고(氷庫)·사포서(司圃署)의 정8품 또는 종8품의 벼슬인데 무록관(無祿官)이다. 전설사에 1인, 빙고에 2인, 사포서에 1인을 두었다. 빙고(氷庫)와 사포서(司圃署)의 정8품직으로 무록관이다.
-
다회 / 多繪 [생활/의생활]
(尙衣院)에 4인, 전설사(典設司)에 6인을 둔 기록이 있다.
-
수 / 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설사·풍저창·광흥창의 장관과 종친부의 정4품 관직. 1392년(태조 1) 7월 관제를 최초로 제정할 때 전설사·풍저창·광흥창의 장관으로 종5품 사(使)를 두었으나, 1466년(세조 12) 1월 관제개혁 때 수로 개칭하고 그 품계 또한 정4품으로 승격하여 ≪
-
제검 / 提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4품 관직. 무록관으로 정원은 관청에 따라 인원을 달리하였다. 그 소속관청을 보면 사옹원에 2인, 예빈시에 2인,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에 4인을 두었는데, 이 중 1인은 사복시정·선공감정·군기시정이 겸하였다. 그리고 또 전설사(典設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