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설” 에 대한 검색결과 5,1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47)

사전(1,79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설화(說話)의 한 형태. [내용] 학술적으로는 설화를 신화(神話)와 민담(民譚)과 로 분류한다. 은 민담과 달리 역사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증거물이 남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傳)이 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이속(吏屬) 중 잡류직(雜類職). [내용] 막사(幕士)와 같은 계통의 입사직(入仕職)으로 궁중의 진설(陳設 :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장만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경제적 처우로는 1076년(문종 30) 경정전시과(更定田柴科)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7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설(司設)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제(典製)‧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위장(幃帳)‧인석...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설화(說話)의 한 형태.
    정의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설화(說話)의 한 형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seol | MR표기chŏn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인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실제로 있었다고 인정되는 인물에 관한 이야기. [내용] 인물은 사물에 관한 과 구별된다. 은 증거가 따르는 이야기인데, 사물에서의 증거는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는 자연물‧유적‧유물 등이고, 인물의 경우에는 주인공의 성격...

단행본(2)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담은 옛날 이야기 [국립대만사범대학 한국학 전공 개편 신설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저자 : 이정민 외 ... | 출판사 : 凌宇出版 | 출판일 : 20210531
    第一, 本書所記載的傳說故事,是記載於韓國的小學課本,所以只要是韓國人,沒有人不知道這些故事。而透過這些故事,可以理解韓國的社會文化、風俗民情與韓國人的精神象徵。   第二, 本書以韓文故事與中文翻譯雙語方式刊行,對韓語學習者可學習到講故事的語體、詞彙與句型。   第三, 本書按故事...
  • 朝鮮王朝事大使行之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葉泉宏... | 출판사 : 上大聯合 | 출판일 : 2014.06.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第二章 明淸易代與事大交鄰政策的變遷 第一節 航海朝天使行與明淸易代的外交調整 第二節 吳允謙事大交鄰使行經驗的成就 第三章 易代時期朝鮮與中國關係的調適 第一節 〈明初濮眞征高麗〉探原與時代反映

논문(1)

고서·고문서(1,419)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백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녕안현(宁安县) 알수없음 3 3 , 부쳐, 조선, 로인들, 즐겨워, 서적, 좋겠는데...
    대표표제어전설 | 성씨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170 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十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補遺] 用 [用] 有國之大用, 莫如甎, 大而城郭宮室墳墓橋梁倉廩, 至於日用小小之物, 非甎莫成也. 一燔甎而萬物莫不正, 蓋爲體也, 正而萬物, 皆隨其面勢故也. 下官於燒甎之事, 平生苦癖, 而貧措大, 固無可試之術...
    대표표제어用甎說 | 목차[補遺]
  • 의 조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하와이 대학
  • 0705 P-SDK-00705-G-A-08-02 P-SDK-00705-G-A-08-02-1 P-SDK-00705-G-A-08-02-2 의 구룡연 LEGENDARY KYURYU-EN(NINE-DRAGON POOL), OUTER KONGO. 금강...
    자료명전설의 구룡연 | 발행처朝鮮總督府 鐵道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903)

  • 아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랑 전설은 이미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 고을의 대표적인 전설이다. 내용은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것인데, 이 이야기에 이어서 아랑에 대한 지방민의 의식 상태를 몇 가지 예를 들어 덧붙여 주었다. 전설에 대한 전승 자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모두 ...
    조사일시1981-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 제보자김동선
  • 용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용포는 치내부락 입구를 흐르고 있는 냇물에 있으며, 현재는 그 깊이가 많이 얕아졌다고 하면서 이 이야기를 해 주었다. *
    조사일시1980-05-27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 제보자임종악
  • 은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회관에서 함께 술을 마시고 있던 사람들 중 한 분이 은샘전설도 있지 않느냐고 하니까 들려 준 이야기이다. 자세히 모르는 듯 한 마디로 끝냈는데 곁에서 덧붙여 주었다.*
    조사일시1984-07-15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 제보자최경량
  • 효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웃 마을인 중정리(中丁里)에서 있었던 효자 이야기를 해 주었다. 화산면에서는 모두 다 알고 있는 일이라고 했다.*
    조사일시1984-11-03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 제보자채무석
  • 홍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음 구연을 시작할 때 이런 저런 이야기를 요청하다가 비가 엄청 많이 온 홍수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였다. 다른 제보자들은 근래의 장마를 이 야기 했지만 제보자는 홍수가 나서 인간 두명만 살아남은 이야기를 알고 있다고 하여 구연을 요청하였다.
    조사일시2011. 3. 11 (금)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 4리 남서울 아파트 | 제보자임석례

기초학문(52)

  • 道詵의 硏究 : 靈岩地域을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준곤, 게재일 : 1987
    06681 이준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高麗大學校 大學院 : 國語國文學科 1987 道詵의 硏究 : 靈岩地域을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1987
  • 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장자못〉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심우장, 게재일 : 2014
    47507 심우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문학회 2014 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장자못〉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서술방식과 역사적 상상력-세 유형의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세정, 게재일 : 2008
    23717 오세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 의 서술방식과 역사적 상상력-세 유형의 인물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神功皇后 과 日本人의 對韓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연민수, 게재일 : 2006
    35699 연민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일관계사학회 2006 神功皇后 과 日本人의 對韓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중국 인간희생신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선자, 게재일 : 2003
    33469 김선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 중국 인간희생신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605)

  • 南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령남신을 거즉 젼군슈 민병셩씨가 재임량재에 아젼은 간계교를 발뵈지못고무난가 머리를 들지못애 인민이 안도고외교를 잘야 갈등이업더니 톄임된후 군인민이 원류기로긔십명이 상경고 민씨 문부를 슈졍 관어 나가 즁민이 환위야 나가지못계 져음에 ...
    게재일1907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無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본잡보란에 게바 유음이란 졔목함에 협률샤쟝 최상돈씨가 창녀등의 셔방을 고 유음케라고경무쳥에 쳥원얏다말은 당쵸에 무근지셜 이기로 졍오홈
    게재일1907년 3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可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호즁으로온 친구의 젼셜을거즉 금년에 년 흉년이오 젼졍은 비록 젼죠각이라도 구경슈업고 간간이 일인이 죠셰 독쵹난 도젹이업난가 업셔셔 혹 셩군작당야 다니난도잇고 혹 일이명식다니며 일이원가진쟈와도만난즉 춍을노아쥭이고 아가난 쥬막집은 쳐쳐에 공허얏고...
    게재일1905년 11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多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위이대병뎡 량삼돌이가 밤파슈보다가 춍을견실고 하의게 집탈되야 춍갑으로돈일쳔칠오십량을 가륵장야 판랍후 그춍을다시 차진고로 량삼돌이가 하의게 춍갑시던지 춍이던지 한아은 도로츌급라되 칭탁고 쥬지안이다말을 일젼 본신문에 긔얏더니 그실을다시...
    게재일1906년 12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報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남도 관찰 리즁하씨가 부로 보고하기 지화와 동화교환하난 폐단되일을이왕도 보고하엿거니와 동젼을 용한지가년구하엇 당초에 관젼과 사젼을 구별지 이하고 일년 이년에 관젼은 졈졈 희소하고 사젼은 졈졈만아져 근통용하 돈에 사젼이십분에 팔구분은 되...
    게재일1905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04)

  • 한국의 과 무속_3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으로계승,발전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1주차. 오프닝/ 한국문화의 특징 2주차. K컬쳐와 한국의 신화 3주차. 한국의 과 무속 4주차. 역사극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치사상과 이상적 리더관 5주차. 한국문화의 상징세계 6주차. 한국의 세
    강좌제목K컬처와 한국철학 | 강의자김준태
  • 한국의 과 무속_3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으로계승,발전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1주차. 오프닝/ 한국문화의 특징 2주차. K컬쳐와 한국의 신화 3주차. 한국의 과 무속 4주차. 역사극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치사상과 이상적 리더관 5주차. 한국문화의 상징세계 6주차. 한국의 세
    강좌제목K컬처와 한국철학 | 강의자김준태
  • 한국의 과 무속_3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으로계승,발전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1주차. 오프닝/ 한국문화의 특징 2주차. K컬쳐와 한국의 신화 3주차. 한국의 과 무속 4주차. 역사극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치사상과 이상적 리더관 5주차. 한국문화의 상징세계 6주차. 한국의 세
    강좌제목K컬처와 한국철학 | 강의자김준태
  • 한국의 과 무속_3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으로계승,발전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1주차. 오프닝/ 한국문화의 특징 2주차. K컬쳐와 한국의 신화 3주차. 한국의 과 무속 4주차. 역사극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치사상과 이상적 리더관 5주차. 한국문화의 상징세계 6주차. 한국의 세
    강좌제목K컬처와 한국철학 | 강의자김준태
  • 한국의 과 무속_3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으로계승,발전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1주차. 오프닝/ 한국문화의 특징 2주차. K컬쳐와 한국의 신화 3주차. 한국의 과 무속 4주차. 역사극을 통해 본 한국인의 정치사상과 이상적 리더관 5주차. 한국문화의 상징세계 6주차. 한국의 세
    강좌제목K컬처와 한국철학 | 강의자김준태

기타자료(68)

  • 밤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밤의 밤의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신강기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강기 | 사료철명교육경남
  • (내고장 ) 할매바위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내고장 ) 할매바위의 (내고장 ) 할매바위의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일현 | 사료철명강원교육
  • (내고장의 ) 화선굴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내고장의 ) 화선굴의 (내고장의 ) 화선굴의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심상경 | 사료철명강원교육
  • (내고장) 어라연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내고장) 어라연의 (내고장) 어라연의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인주 | 사료철명강원교육
  • (내고장 ) 고려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내고장 ) 고려장 (내고장 ) 고려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학근 | 사료철명강원교육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23)

  • / [문학/구비문학]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설화(說話)의 한 형태. 학술적으로는 설화를 신화(神話)와 민담(民譚)과 로 분류한다. 은 민담과 달리 역사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증거물이 남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傳)이 뜻하는 바와 같이 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전해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7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에 내관을 정비하면서 사설(司設)로 설정된 것이 후에 칭호만 변경되어 ≪경국대전≫에 전제(典製)·전언(典言)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위장(幃帳)·인석(茵席)·쇄소(灑掃)·장설(張設) 등의 일을 맡

  • 인물 / 人物 [문학/구비문학]

    실제로 있었다고 인정되는 인물에 관한 이야기. 인물은 특정 인물에 대한 사실을 전하는 과정에서 생겼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인물은 여러모로 예사 사람과 다르기 때문에 성격·능력·행적 등을 실감 있게 전하기 위해서 설화적인 상상을 동원하고, 사실의 범위를 넘어서 창

  • 사 / [정치·법제/법제·행정]

    , 1414년에 충호아로 개칭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사로 개칭되었다.

  • 지명 / 地名 [문학/구비문학]

    특정 지명의 지리적 특징·명칭의 유래·습관의 기원 등에 관한 . 어떤 이 장소를 잡고 증거물을 고착시켜 제목처럼 단순화시킨 것과, 그 반대로 본디부터 있는 지명이 합리적인 설명을 하는 을 퍼뜨리는 것을 말한다. 떠돌아다녀서 지역적인 근거가 없는 설화도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