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선색”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세조 때 군선과 조선(漕船)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조선 초기에 선박을 관리하는 기관을 처음에는 사수감(司水監)이라 하였다가 사재감(司宰監)‧사수색(司水色)‧수성(修城)‧전함사(典艦司) 등으로 명칭이 바뀌고, 146...
  • 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두었다. 1436년에는 수성으로 개편되어 축성분야를 관장하는 별감 4인을 더 두게 되었다. 수성은 1466년(세조 11)에 전함사(典艦司)로 명칭이 개정될 때까지 존속되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이조조선사...
  • 전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2년(태조 1) 사수감(司水監)을 설치하여 전함의 수리 및 운수에 관한 일을 감독하게 하였는데 1403년(태종 3) 관제개편으로 사재감(司宰監)에 병합되고, 다시 1432년(세종 14) 병선건조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사수색(司水色)으로 부활되었고, 1436년 수성...
  • 사수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시 수성(修城)으로 개편되어 축성분야를 관장하는 별감 4명을 더 두게 되고, 다시 1465년(세조 11)에는 전함사(典艦司)로 그 명칭이 고정되어 『경국대전』에 경외주함(京外舟艦)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조조선사(李朝造船...
  • 소맹선(小孟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依法用麻油塗之 使爲模樣 又令 俾錄製造規式 以爲儀軌 其麻浦赴役外方船匠 亦皆放遣 從之[『문종실록』 1년 5월 25일] 김재근, 『조선왕조 군선연구』, 일조각, 1982.
    관련어중맹선(中孟船), 대맹선(大孟船)

주제어사전(3)

  • /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세조 때 군선과 조선을 관장하였던 관서. 조선 초기에 선박을 관리하는 기관을 처음에는 사수감이라 하였다가 사재감·사수색·수성·전함사 등으로 명칭이 바뀌고, 1461년(세조 7)에는 한때 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으로는 조운을 관장하는 수운판관 2인과 해

  • 사수색 / 司水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원을 두었다. 사수색은 1436년에 다시 수성으로 개편되어 축성분야를 관장하는 별감 4명을 더 두게 되고, 다시 1465년(세조 11)에는 전함사로 명칭이 고정되어 ≪경국대전≫에 경외주함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기록되어 있다.

  • 전함사 / 典艦司 [경제·산업/산업]

    되어 사수색으로 부활, 1436년 수성으로 개편, 1465년(세조 11) 전함사로 그 명칭이 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