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5)
사전(222)
- 전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강학(講學)하는 곳을 말함. 후한(後漢) 때 황새가 두렁허리를 물고 양진(楊震)의 강당 앞에 날아와 모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侍生久蒙.席之誨 感服之心 何嘗食息忘也, 정유점(鄭維漸), 48-10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이조판서. 然此是機會 若失此 而令叔入銓席 則尤無得期, 유성룡(柳成龍), 22-5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이외에도 20두를 1석으로 하는 표준양기를 제정하여 이것을 전석이라 하여 15두를 1석으로 하는 평석과 구별하게 하였다. 또, 이 20두를 1석으로 하는 것을 대곡(大斛)이라고도 하였다. 따라서 전석의 용적은 세종영조척으로 3,920입방촌이었는데 그것은 11...
- 銓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788 銓席 관직 時英, 序遷, 麗制, 都目政 歲杪 牧隱 D_20_01_112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田錫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S_0112 田錫 인물 韓琦 田表聖, 韓穉圭 S_18_01_19 성호사설 18권 1장 19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213)
- 田錫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宋名臣言行錄 前集 卷九 田錫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田錫 字表聖嘉州人中進士第事太宗真宗位至諫議大夫 公自布衣已有意於風化上書闕下請復鄉飲籍田禮及知睦州下車建孔子祠教民興學表請入紙國子學印經籍給諸生詔賜之還其紙 太宗嘗與侍臣論皇王之道錫奏曰皇王之道微妙曠闊今師平太原逮兹二載未賞...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擲磚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840 與猶堂全書補遺○備禦撮要 ITKC_MP_0597A_1840_030_0210 擲磚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備禦撮要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門1_田錫韓琦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田錫韓琦 田表聖焚章疏, 避人臣賣直之嫌; 韓稚圭存諫稿, 現人主從諫之美. 存旣有義, 焚更難能. 然事繫時務, 言合示後, 未宜全泯. 至若彰君過, 而自悅於民, 則古有定論. 二者之間, 自有方便合度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字典釋要〉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언어 〈字典釋要〉 해제 ■ 정의 이 자전은 1909년에 송촌(松村)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기존의 〈全韻玉篇〉의 틀과 내용을 바탕으로 당시에 보급되고 있던 신지식과 신학문을 규범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국한문 지식을 한자 자전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대표표제어〈字典釋要〉 해제 | 편저자池錫永 編 | 권수玉部-龠部 241면)
- 16 第十六統統首軍器下典石乙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7년_청양면(靑良面) 1687년 청양면(靑良面) 第十新里 16 第十六統統首軍器下典石乙伊 統第一陞戶私奴連山今故代子私奴府案付軍器下典石乙伊年肆拾壹丁亥本蔚山父連山祖私奴連希曾祖宗伊外祖金 成山本蔚山妻良女分進年肆拾壹丁亥本寧海父正兵金永斗祖良人大云曾祖正兵鐵白外...연도_면이름1687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新里
구술자료(3)
- 한상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는 북한이 깊은 곳으로부터 통일을 지향하도록 남한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강명도, 강석봉, 김병기, 김용기, 김옥희, 김형모, 김활란, 박근혜, 안봉근, 이종은, 전석환,구술자한상순 | 직업사업가 | 지역황해도
- 타자와코호수 물 마시고 용이 되어버린 타츠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타자와호, 타츠코히메, 아름다움, 탐미, 욕망, 파멸, 삼호 전설, 대구시, 중구 용신 이야기 할까요? 이것도 아키타현(秋田県) 전설인데, 동북지방 전체 전설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아키타에 타자와코(田沢湖)라는 호수가 있고요, 그리고 아오모리(靑森)에 토와타코국가일본 | 제보자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 이주노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쟁 중에도 보고 싶던 남편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까 문을 껌은 카텡으로 가려요. [조사자1 : 오-.] 요 앞만, 운전석만 보이구서 고 개를 넘어가. 그래가지구서 그때는 차멀미를 하든 어떻게 하겄어. 학교서두 뭐 하꼬방 학교니까는 뭐 저거허지 뭐. 학교 소사가 짐을 받으러, 짐이라고 뭐 있나? 이불보따리 한 동하고,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8일
기초학문(6)
- 考古学和历史学之整合性问题与儒家经典诠释(고고학여역사학지정합성문제여유가경전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8001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2008 考古学和历史学之整合性问题与儒家经典诠释(고고학여역사학지정합성문제여유가경전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_박사학위논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석균, 게재일 : 199410346 전석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_박사학위논문 https://www.krm.or.kr/krmts/link.h유형논문 | 게재일1994
- 문화적 민감성과 전문직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우리날 재활교육의 재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46507 한국연구재단 전석복지재단, 직업평가연구회 2004 문화적 민감성과 전문직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우리날 재활교육의 재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4
- 精神分裂症 患者의 再活을 위한 社會技術訓練 프로그램의 效果性에 관한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석균, 게재일 : 199506697 전석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숭실대학교; 서울 1995 精神分裂症 患者의 再活을 위한 社會技術訓練 프로그램의 效果性에 관한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1995
- 교정과 로봇(robot) 사용의 연관 문제 - 소통 안에서 ‘구술적 감성(an orally constituted sensibility)’의 변모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석환, 게재일 : 201247606 전석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아시아교정포럼 2012 교정과 로봇(robot) 사용의 연관 문제 - 소통 안에서 ‘구술적 감성(an orally constituted sensibility)’의 변모 과정을 중심으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14)
- 多田碩次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多田碩次郞(-) 인천 多田碩次郞 - 栗木里 15 - - 금융업 질옥 16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多田碩次郞(-)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西田石炭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西田石炭商會) 서울 - 西田石炭商會 蓬萊町 1-114 연료품 - 석탄(石炭) 도매 1870.7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西田石炭商會) | 지역서울 | 품목연료품 | 영업종목석탄(石炭)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1 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 형태서지 [藤田豊八 撰] [日本] [日本] 1911年(明治 44) 1冊 ...대표표제어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1 | 대표서명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 한글서명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 | 서지형태형태서지
-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2 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 형태서지 慧超往五天竺國傳殘卷 藤田豊八 日本 日本 鉛印本 1909年(明治...대표표제어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2 | 대표서명慧超往五天竺國傳箋釋 | 한글서명혜초왕오천축국전전석 | 서지형태형태서지
- 田澤湖傳說(第十回文展出品) (다자와 호수 전설(제10회 문전 출품))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일본 문전平福百穗(1877-1933)작품명_원문田澤湖傳說(第十回文展出品) | 게재일19161104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2-3
멀티미디어(3)
- 18세기 중반 전석(磚石)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04_18세기_중반_전석(磚石) 경제_1804_18세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석과 막새 2014-11-25_0.2573358_출토유물-전석과 막새.jpg제목경주지역 유적 시‧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_0.2779352_사진 95 C지구 출토 기와와 청동향완.JPG yy3-0007_5 유물 사진 89 B지구 출토 기와(166), 전석(167~168), 청동저(169) 2014-12-01_0.2943231_사진 89 B지구 출토 기와(166), 전제목강진 삼흥리요지 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64)
- 전석린;全錫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96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전석린;全錫麟 제10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석홍;全錫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12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0年~明治41年 1907―12―30 110면 전석홍;全錫弘 한국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석홍;全錫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41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3年~明治44年 1910―12―24 96면 전석홍;全錫弘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석홍;全錫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48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4年~明治45年 1911―11―26 97면 전석홍;全錫弘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석홍;全錫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56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元年~大正2年 1912―12―30 92면 전석홍;全錫弘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한국 근대시기 한자자전(옥편)의 정본화와 DB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하영삼 | 경성대학교 | 2014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21)
-
전석 / 全石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초기에 곡식 등의 양을 재던 단위. 고려 문종 때 제정된 4종류의 제가이량기제도(齊價異量器制度)가 조선 세종 28년에 개혁되어 단일 양기제도로 되었다. 전석의 용적은 세종영조척으로 3,920입방촌이었는데 그것은 11만9285㎤에 해당하였다. 15두를 1석으로
-
자전석요 / 字典釋要 [언어/언어/문자]
사에서 다시 영인, 간행되었다. 이와 같이, ≪자전석요≫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애용된 권위 있는 한자사전이었다. 종래의 한자사전으로는 ≪운회옥편 韻會玉篇≫·≪삼운성휘옥편 三韻聲彙玉篇≫·≪규장전운옥편 奎章全韻玉篇≫ 등이 널리 유포된 바 있으나, 이들은 그 이름이 보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慶州芬皇寺模塼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27대 선덕여왕 당시 건립된 석조 불탑.모전석탑. 국보. 높이 9.3m. 국보 제30호. 돌을 벽돌[塼]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서, 634년(선덕여왕 3) 분황사의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고 생각되
-
구례 윤문효공 묘전석등 및 석비 / 求禮尹文孝公墓前石燈─石碑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윤효손의 묘비 앞에 세워진 석등.석비. 시도유형문화재. 석등 높이 249㎝, 석비 높이 213㎝.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7호. 조선 성종대 문신 윤효손(尹孝孫)의 묘 앞에 있다.석등은 윤효손의 묘비 바로 앞에 세워져 있는데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康津月南寺址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백제계열의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298호. 이 탑은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된 월남사지에 남아 있으며 멀리 월출산 천왕봉을 뒤로 하고 과거 법당이 있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 민가에서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