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생서” 에 대한 검색결과 2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

사전(115)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궁중의 제향(祭享)ㆍ빈례(賓禮)ㆍ사여(賜與)에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관청. 세조 6년(1460)에 전구서(典廐署)라 하던 것을 ()로 고쳤다. 관원으로 제조(提調) 1명, 판관(判官) 1명, 주부(主簿) 1명, 직장(直長) 1명, 봉사(...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궁중의 제향(祭享)‧빈례(賓禮)‧사여(賜與)에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관서. 고려시대의 장생서(掌牲署)를 계승해 1392년(태조 1) 전구서(典廐署)를 설치했고, 1460년(세조 6) 로 개칭하였다. 관서는 서울의 남대문 밖 남산 남쪽 둔...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백부(宗伯府), 예조(禮曹) 전구서(典廐署) 사축서(司畜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이근호 1460년(세조 6) 1895년(고종 32) [정의] ...
    상위어종백부(宗伯府), 예조(禮曹) | 동의어전구서(典廐署) | 관련어사축서(司畜署)
  • 주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공인(貢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인 공인 貢人 공인(貢人) (), 각사자판(各司自辦), 사주인(私主人),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경제재정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최주희 대동법 시...
    상위어공인(貢人) | 관련어전생서(典牲暑), 각사자판(各司自辦), 사주인(私主人),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고서·고문서(112)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30_006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39년 안방준(安邦俊)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39년(인조17)4월 18일에 이조에서 안방준을 승의랑(承議郞) 행(行) 주부(主簿)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는 나라의 제사에 쓸 짐승을 기르는 일을 맡아본 관청이며, 주부는 종6품의 관직이다. 승의랑은 정6품의 품계이다. 이는 조선...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580년 김부륜(金富倫)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580년 1월 8일에 이조에서 선조임금의 명령을 받아 선무랑 행 참봉 김부륜을 선무랑 행 문소전참봉에 임명한 문서이다. 문소전은 조선 태조의 비인 신의왕후 한씨를 모신 혼전이다. 선무랑은 종6품 하계이고, 참봉은 종9품직이어서 행수법에 의해 ‘행’을 썼다. ...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76년 김부륜(金富倫)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576년 12월 16일에 이조에서 선조임금의 명령을 받아서 종사랑 행 참봉 김부륜을 승사랑 행 참봉에 임명한 문서로, 관직은 유지하면서 품계만을 높여 주었다. 연호 왼쪽에 ‘사가’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참봉으로 근무일수를 채웠기 때문에 품계를...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77년 김부륜(金富倫)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577년 3월 27일에 이조에서 왕명을 받아 승사랑 행 참봉 김부륜을 통사랑 행 참봉에 임명한 문서이다. 승사랑은 종8품이고, 통사랑은 정8품으로 품계가 한 단계 높여졌다. 품계를 높여주는 사유는 ‘정3별가’로 기록해 놓은 것으로 보아 ‘정’자가 들어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10)

  • / [과학기술/동물]

    조선시대 궁중의 제향·빈례·사여에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관서. 고려시대의 장생서를 계승해 1392년(태조 1) 전구서를 설치, 1460년(세조 6) 로 개칭하였다. 의 관원은, ≪경국대전≫에 의하면 타관으로 겸직하는 제조 1인과 주부 1인, 직장

  • 정개청 / 鄭介淸 [종교·철학/유학]

    1529(중종 24)∼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세웅, 어머니는 나씨이다. 북부참봉, 주부, 곡성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589년에 정여립의 모역사건 때 이의 처리과정상 연루자로 체포되어 함경도 경원 아산보로 유배되어 7월 그 곳

  • 황윤석 / 黃胤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운학자(1729∼1791). 1766년에 천거되어 장릉참봉에 임명, 뒤이어 사포서의 직장·별제를 거쳐 익위사의 익찬이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1779년(정조 3) 목천현감, 1786년 의 주부를 거쳐 전의현감이 되었다. 저서로《이재유고》·《이재

  • 봉사 / 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돈녕부와 각 시·사·서·원·감·창·고·궁에 있던 종8품의 관직. 봉사가 있었던 관서는 동반의 돈녕부·봉상시·사옹원·내의원·군기시·군자감·관상감·전의감·사역원·선공감·풍저창·광흥창·사도시·사재감·전연사·종묘서·제용감·사온서·평시서··내자시·내섬시·예빈시

  • 예방 / 禮房 [정치·법제/법제·행정]

    문관·예문관·춘추관·성균관·세자시강원·세손강서원·관상감·내의원·승문원·통례원·사역원··예빈시·빙고·혜민서·도화서·활인서·4학에 관계된 업무를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