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분육등법”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과 연분(年分) 파악방식의 대개혁을 불가피하게 하고 있었다. 그 개혁은 1444년의 새로운 전세제도인 공법수세제로 정립되어 항구화하게 되었는데, 여기서는 이전의 상‧중‧하 3등전품제를 고쳐서 1‧2‧3‧4‧5‧6의 6등전품제, 즉 을 채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칭별칭양척동일법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국의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여섯 등급으로 구분하여 세금을 달리 내도록 하던 제도
    정의전국의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여섯 등급으로 구분하여 세금을 달리 내도록 하던 제도 | 문광부표기jeonbun yukdeungbeop | MR표기chŏnbun yuktŭngb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공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시를 위한 최종안이 채택되었다. 공법의 중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전적(田積)이 종래의 3등전에서 ()으로 마련되며, 양전척(量田尺)도 종래의 수등이척지척(隨等異尺指尺)에서 새로운 수등이척주척(隨等異尺周尺)으로 개정되었다. ② 세액...
  • 연분구등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집계는 사실상 토호와 향리의 수중에서 자의적으로 운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세종 때 제정된 일종의 정액세법인 공법전세제는 이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진된 것으로, 1444년에 ()‧연분구등법을 골자로 하는 공법전세제가 확정되었다. ...
  • 영정법(永定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정법 영정법 永定法 전세(田稅) 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 전세(田稅), 공법(貢法), 전분6등법(), 연분9등법(年分九等法), 비총법(比摠法) 경제재정/전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이장우 ...
    상위어전세(田稅) | 동의어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 | 관련어전세(田稅), 공법(貢法), 전분6등법(田分六等法), 연분9등법(年分九等法), 비총법(比摠法)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토지의 질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수세의 단위로 편성한 기준. 1444년(세종 26)에 새로운 전세제도로 확정된 공법수세제는 전품을 토지의 질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각 등급에 따라 전지의 결·부의 실적에 차등을 두는 수세 단위로 편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