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봉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
사전(101)
- 전봉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 않음) 등의 죄명을 씌워 재물을 약탈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만석보(萬石洑)의 개수에 따른 탐학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다. 1893년 12월 농민들은 동학접주 전봉준을 장두(狀頭:여러 사람이 서명한 소장의 첫머리에 이름을 적는 사람)로 삼아 관아에 가서 조병...이칭별칭 명숙(明淑)| 해몽(海夢)|녹두(綠豆)|녹두장군
- 전봉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전라도 고부의 아전 출신으로, 부친이 군수에게 죽은 사실에 분개하여 민란[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송희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동학의 지도자. [내용] 일명 덕인(德仁). 1894년 동학농민전쟁시 전주 도집강. 자는 칠서(漆瑞). 전봉준(全琫準)의 처족 7촌이다. 1894년(고종 31) 전봉준과 함께 기병하여 비서가 되었다. 그해 9월에 대...이칭별칭 칠서(漆瑞)|덕인(德仁)
- 전봉준공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이 법정의 심문에 답한 재판기록. [개설] 전 1책. 8,000자 안팎의 간략한 책자이다. 내용은 심문 순서에 따라 초초문목(初招問目)‧재초문목(再招問目)‧3초문목‧4초문목‧5초문목에 걸치고 있다. [내...
- 박석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상을 인솔, 참가하여 옥의대접주(沃義大接主)가 되었다. 이듬해 남접의 전봉준(全琫準)이 무장(茂長)에서 봉기하였을 때에는 교도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노력하였고, 9월 북접군이 봉기할 때는 유병주(柳炳柱)와 함께 옥천에서 기포(起包)하였다. 그러나 관군과의...
고서·고문서(12)
- 인명휘고보유초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인명을 조사하여 정리한 책이다. 생산연도 및 작성자를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필체로 보아 2인 혹은 3인이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표지를 포함하여 251면으로 되어 있으며, 일본어 필기체로 되어있다.분류인명사전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문제정답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정답 김 남자 평안북도 의주군 하북성(河北省) 알수없음 천안현 수강광업공사 차관처 2 2 문제정답, 전봉준...대표표제어문제정답 | 성씨김
- 외삼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연, 만주, 서울, 외삼촌, 손자, 시인, 동생, 성균관대학, 교수, 사업, 1985년, 사망, 희망, 애로, 감사, 오늘, 문제풀이, 프로, 정답, 전봉준, 2월, 22일, 병자호란, 요구, 조선력사교과서, 옛노래, 록음테프, 감사대표표제어외삼촌 | 성씨림
- 조선의 정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No.15 A.4567 보고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조선 남부에 파견되었던 일본군에 대한 열렬한 환영. 반란군 지도자 전봉준(Chong Pung Shun) 체포. 일본군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오야마(Oyama) 장군 사령부에 파견된 조선 대표. 조선의 대신...대표표제어조선의 정세 | 발신자Krien | 수신자Hohenlohe-Schillingsfürst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사업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전라도, 고부, 중심, 농민, 추쟁, 경솔, 갑오, 농민, 전쟁, 전봉준, 3월7일, 아침문제, 답, 사미인곡, 관동별곡, 정철, 3월8일, 아침문제, 박지원, 소설, 작품, 유명한, 허생전, 범의꾸중, 량반전, 마장전, 예럭선생전, 민옹전, 광문전, 김신선전, 우...대표표제어사업 | 성씨이
구술자료(2)
- 녹두장군 전봉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이곳이 전봉준 장군의 출생지임을 염두에 두고 그에 얽힌 이야기를 유도했더니 제보자가 자청하였다. 무릎을 세우고 앉아 청중들을 두루 바라보며 구연했다.*조사일시1985-04-2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산외면 | 제보자김영찬
- 경천의 밀고로 잡힌 전봉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장리 제보자들의 소개를 받아 운교리 제보자 자택을 찾아갔다. 제보자가 출타 중이어서 제보자를 한참 기다린 끝에, 귀가한 제보자를 만났 다. 제보자는 자상하고 친절한 성품으로, 조사자의 취지를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 전라감사 이서구 이야기를...조사일시2010. 2. 2(화)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 운계로 68-27 정영수 제보자 자택 | 제보자정영수
신문·잡지(24)
- 민세안재홍전집 : 階級鬪爭의叛亂과 民族興亡의四類型 (2)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09 1948 12 30 2 2 安民世 安在鴻 階級鬪爭의叛亂과 民族興亡의四類型 (2)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설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東學黨, 全琫準, 甲申改革運動, 鄭鑑錄, 天津條約, 日淸戰爭, 맑스...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동학란 실기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동학란 실기 동학란 실기(東學亂 實記) 미기재 이규용(李圭瑢) 경성(京城) 조선_1929년 3월 20일 불허가 치안 언한문 동학 농민 운동, 전봉준 1929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동학란 실기 | 출판물명동학란 실기(東學亂 實記)
- 조선출판경찰월보 054호 민중의 적 천도교의 정체를 폭로한다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당시(當時) 제2세 교주 최시형(崔時亨)은 그 고제(高弟) 손병희(孫秉熙)로 하여금 정의를 위해서 투쟁하는 농민의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의 행동을 저지하게 하지 않았는가. 우리는 농민 노동자를 각성시켜서 정당한 길로 인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린(崔麟)의 화사정(...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54호 민중의 적 천도교의 정체를 폭로한다 | 출판물명민중의 적 천도교의 정체를 폭로한다(民衆ノ敵 天道敎ノ 正體ヲ暴露ス)
- 코리아평론_1986_28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治>について 高木正幸 21 地方自治だけが国力の浪費を防げる 金栄枰 30 全琫準 金声翰 裵康煥 38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6
- 신인간_1926_01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명 김도현 10 김옥균에서 전봉준으로 김진구 11 일보를 진하야 공탁 19 신인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주제어사전(15)
-
전봉준 / 全琫準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동학인·지도자(1855∼1895). 일명 녹두장군. 1890년(고종 27) 35세 전후에 동학에 입교 제2세 교주 최시형으로부터 고부지방의 동학접주로 임명됐다. 1892년 고부군수 조병갑이 탐학을 자행하자 농민과 동학교도를 이끌고 관아를 습격, 세곡을 농
-
갑오동학란과전봉준 / 甲午東學亂─全琫準 [역사/근대사]
.내용은 모두 4절로 나뉘어, 제1절은 조선 말세의 대세와 동학의 시초, 제 2절은 전봉준의 기병과 동학란의 기세, 제3절은 청일전쟁의 풍운과 동학당의 실패, 제4절은 전봉 준과 최후의 운명으로 되어 있다.구체적 사실의 정확성은 당시 동학의 학문적 연구수준을 반영 하듯
-
전봉준선생고택지 / 全琫準先生故宅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사적 제293호. 장내리의 조소마을에 있는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전봉준의 옛집이다. 전형적인 초가 3칸의 돌담집으로 서 있는데 남향으로 터를 잡아 동쪽으로부터 부엌·큰방·윗방·끝방 순서로 되어 있다. 1974년
-
고부민란 / 古阜民亂 [역사/근대사]
1894년 1월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이 농민들을 규합하여 일으킨 농민 봉기. 고부민란은 당시 고부 군수의 수탈로 농민의 경제생활이 파탄 지경에 달하였는데, 이에 대한 농민들의 전면전이었다. 고부민란은 동학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
금강 / 錦江 [문학/현대문학]
전봉준(全琫準)을 주인물로 하고, 동학농민운동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영웅서사시이자 민족·민중서사시적인 범주에 속한다.「금강」은 크게 세 토막으로 전개된다. 서사는 7장까지로, 각종 민란의 발생과 동학의 태동, 그리고 우리 역사에 대한 화자의 소감과 60년대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