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보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에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내용] 공민왕 때 흥복도감(興福都監)ㆍ숭복도감(崇福都監)과 함께 설치하고 인원과 품계를 정하였다. 인원은 판관을 종 5품으로 하였고, 그 밑에 이속으로 녹사(錄事)를 두었으며, 이는 권무(權務 : ...
  • 숭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에 두었던 임시 관사(官司). [내용] 공민왕 때 흥복도감(興福都監)ㆍ()과 함께 설치되었다. 1365년(공민왕 14)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별세하자 그 상사(喪事)를 관장하기 위하여 4도감ㆍ13색(色)을...
  • 홍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밖에 국가의 큰일이 있을 때 설치하는 임시기구가 도감이라는 사실에 비추어볼 때, 이 기구는 흥복도감(興福都監)‧숭복도감(崇福都監)‧()과 함께 노국공주의 장사를 주관하고,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설치된 관청으로 보인다. 직제로는 공민왕 때 판...
  • 흥복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에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숭복도감(崇福都監) 등과 마찬가지로 그 소임을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노국공주(魯國公主)가 죽은 다음에 4도감 13색(色)을 설립하여 상사(喪事)를 관장하게 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 종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1년의 관제로 환원되고 사헌부의 잡단은 지평(持平)으로 개칭되었다. 한편, 공민왕 때에는 구복도감(求福都監)‧홍복도감(弘福都監)‧흥복도감(興福都監)‧()‧숭복도감(崇福都監)의 판관이 종5품 관직으로 설치되었고, 장흥고‧상만고의 사는 종6품으로...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공민왕 때 흥복도감(興福都監)·숭복도감(崇福都監)과 함께 설치하고 인원과 품계를 정하였다. 인원은 판관을 종 5품으로 하였고, 그 밑에 이속으로 녹사(錄事)를 두었으며, 이는 권무(權務 : 임시로 맡아보는 사무직)로 하였다. 1380년